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가오면 뼈가 시리는건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은 생각보다 습도와 기압, 온도 등에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맑은 날씨일 때는 공기 중에 있는 외부 압력과 관절 내의 압력이 평형을 유지하지만,비가 오기 전이나 비가 올 때에는 외부 기압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관절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됩니다.이에 압력의 평형 상태가 무너지면서 조직이 팽창하고 붓기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뼈 안이나 관절막에 있는 신경들이 자극을 받아 평소보다 통증이 더 심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또 일반적으로 비가 오면 기온은 떨어지게 됩니다.기온이 낮아지면 근육이 수축되면서 근육 속에 있는 혈관도 수축하게 되고 관절로 오는 혈류량이 줄어드게 됩니다.혈류량이 줄어들게 되면 염증 유발 물질이 늘어나고,또 혈액 순환이 잘되지 않기 때문에 관절에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심해생물들은 어째서 투명한 색을 띄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는 햇빛이 전혀 들지않는 깊은 곳, 햇빛을 전혀 받을 수가 없는데요,이 때문에 전혀 색을 표현할 수 없기에 자연스레 색소역시 퇴화해서 그런다고 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조선시대 과학자 장영실이 발명한 측우기는 어떠한 과학적 원리들이 숨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원래 측우기가 쓰이기 이전에는 각 지방의 강우량의 분포를 알아내는 데 매우 불편하였읍니다.즉, 비가 내림으로써 흙속 깊이 몇 치까지 빗물이 스며들었는지를 일일이 조사해 보아야 하는데, 이때 흙에는 마르고 젖음이 같지 않아 강우량을 정확히 알아낼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그런데 발명된 측우기는 일정기간 동안 그속에 괸 빗물의 깊이를 측정하여 그 곳의 강우량으로 하기로 되어 있읍니다.측우기는 안지름이 14.7 cm, 높이 약 1.5척의 원통으로 되어 있는데, 비가 올 때 이 원통을 집밖에 세워 두면 빗물을 받을 수가 있었읍니다.측우기에 괸 물의 깊이는 자[尺]로 측정하는 원리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밤에 휘파람 불면 왜? 뱀 나온다고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파충류는 소리를 들을때 허파로 오는 진동으로 소리를 구별한답니다.하지만 뱀은 50~700z까지 들을수 있다는데 휘파람소리는 1000z를넘어 못듯습니다.따라서 이 속담은 미신인것 같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불장난하면 밤에 오줌 싼다고 하는데~ 근거있는 이야기인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밤에 오줌 싸는 이유는ㅍ야뇨의 확률이 높다는 결론이었으며, 불장난으로 인해 유발된 흥분상태를 그 원인으로 삼았습니다. 야뇨(夜尿)의 원인에 대해서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낮 시간 동안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그 원인 중의 하나임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불장난을 하는 것이 왜 흥분 상태를 유발하는 것인지 생각해 보지 않으면 안됩니다.우리는 불장난을 하거나, 캠프파이어 등을 할 때 자신도 모르게 느껴지는 묘한 긴장과 흥분은 어느 정도 불이 불러 일으키는 동물적 본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러한 흥분과 긴장 상태는 생체 조절 물질에 영향을 미쳐 항이뇨호르몬에 작용하여 배뇨를 줄이거나, 혹은 반대로 요의(尿意)를 느끼게 하기도 합니다. 전자(前者)의 경우 긴장 상태가 풀리는 수면 중에 반사작용으로 배뇨를 유발할 수 있으며, 후자(後者)의 경우 수면 중에까지 상태가 지속될 수 있으므로, 어느 쪽이건 야뇨와 관계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는 아직 배뇨조절 능력이 성숙하지 못하였으므로, 이렇게 불장난으로 인해 밤에 오줌을 싸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문어의 IQ가 높다고 하던데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문어의 iq는 80~90이라고 합니다.그리고 문어는 무척추 동물중에선 지능 아주 뛰어난 동물로 천적들을 피해 색을 바꾸며 잘도망치기로 유명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소는 보통 한번에 몇마리의 송아지를 낳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소는 임신기간은 평균 285±9일이며 대부분의 소는 늦어도 295일이면 분만하는데 재태일수가 300일이 넘어도 분만하지 않으면 분만지연 또는 장기재태로 보아야 합니다.소는 전체 평균 잡아서 1년에 1마리 꼴로 임신하는게 보통입니다. 그러나 세계 최고 기록에 오른 소는 4년에 약 16마리의 송아지를 낳은 기록도 있습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현대의 음료수캔은 누가발명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애멀 프레이즈(Ermal Fraze)는 가족들과 피크닉을 갔는데, 당시에는 캔 따개가 없으면 캔을 개봉할 수 없었습니다. 그는 자동차 보닛의 받침 철사를 이용해 겨우 캔을 따면서 캔도 자동차 보닛처럼 열고 닫힌다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생각한 것이 지금 음료수 캔의 시초가 되었습니다.캔의 윗부분에 구멍이 날 수 있도록 금을 낸 뒤, 지렛대를 고정시켜 이렇게 만들어진 최초의 캔 뚜껑이 풀 탭(Pull-Tap)입니다. 이를 최초로 도입한 피츠버그의 양조회사의 Iron Beer는 매출이 200%가 올랐고. 2년 만에 미국 캔맥주의 75%가 그의 캔 뚜껑을 사용합니다.하지만 풀 탭은 절단한 부분이 날카로웠고, 캔을 열고 나서 뚜껑이 쓰레기로 남았습니다.1977년 그는 캔의 뚜껑이 음료수 캔 안으로 말려들어가는 팝 탑(Pop-top) 방식을 내놓고 현재 우리가 마시는 캔 뚜껑의 형태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반딧불이를 과학적인 접근으로 바라본다면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는 생물발광이라는 생물학적 과정으로 인해 빛을 발합니다. 이 과정에는 살아있는 유기체에 의한 빛의 생성 및 방출이 포함됩니다. 반딧불이에서 이 빛은 하복부에 위치한 광세포라고 하는 특수 세포에서 생성됩니다. 빛은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와 루시페린이라는 색소 사이의 화학 반응을 통해 생성됩니다. 이 반응에서 생성된 에너지는 빛으로 방출됩니다. 반딧불이가 내는 빛의 목적은 주로 의사소통과 짝짓기 신호로 사용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임신을 하면 왜 신게 땡긴다고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비타민 C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물론 임신을 하게되면 두명분의 영양소를 섭취해야 되기 때문에 많은 영양소가 부족하게됩니다.신기하게도 우리몸은 부족한 영양소가 있을때 그 영양소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요구하게됩니다.임신부가 신것을 먹고 싶은것도 같은 이유입니다.신것에는 비타민 C가 많이 들어있읍니다.
86878889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