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뱀은 120km떨어진 곳에 지진발생 5일 전에 예측할수 있다고 하는데,,,어떤 원리로 예측이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에는 일정 준비 기간이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지진은 압력 증가로 인해 변형, 붕괴 및 특정 화학적 활성 물질 방출을 겪을 수 있습니다. 표면에 방출되는 이러한 화학적 활성 물질은 공기와 반응하여 양전하를 띤 이온을 발생시켜 동물과 파충류의 상태에 영향을 미칩니다. 때때로 두통이나 메스꺼움을 유발하거나 세로토닌이 살아있는 유기체의 혈류로 방출되도록 자극합니다.물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감지한 양서류는 그래서 저수지에서 도망칩니다. 육지의 도마뱀과 뱀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지진 전날 지각의 작은 변화와 공기, 토양 및 물의 화학적 구성 변화로 인해 동물은 재앙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낮과 밤의 시간의 길이는 왜 변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이 공/자전을 할 때 지구가 삐딱하게 기울어져 돌고있기 때문입니다. 그 현상을 우리가 보면 해가 뜨고 지는 장소가 다르지요.여름에는 동북 쪽에서 뜨고 대낮에는 그림자가 짧을 만큼 머리위에 있고 해가 질 때는 역시 서쪽에서 북쪽으로 많이 기우러진 곳으로 넘어 가지요.겨울엔 그 반대로 해가 남쪽에 치우쳐서 뜨고 질 때도 같습니다.이런 현상은 지구가 태양에 대하여 자전축이 약 23.5 도로 기울어졌기 때문에 일러나는 현상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방탄복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알려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방탄복의 원리란 단순하게 총알을 막아서 몸에 상해를 입지 않게 재료를 다르게 해서 옷을 만드는 것입니다. 방탄복의 원리라기 보다는 구조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방탄조끼는 특수합금으로 된 얇은 강철판을 천으로 싸고, 그 사이에 솜 같은 것을 넣어 재킷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원래는 경찰관이 권총을 가진 흉악범을 체포할 때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방탄능력의 표준은 약 5 m 거리에서 발사되는 보통의 권총탄을 관통시키지 않는 것입니다.. 오늘날은 제1선 전투부대원이 소총사격에 대한 방호용으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으며, 방탄능력도 합금기술의 발달에 따라 향상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달을 보면 흰색인 이유가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노란 빛에다 파란 빛을 더해서 하얀 빛에 가깝게 된거죠.태양처럼 엄청나게 강한 노란 빛이면 하늘의 색이 있거나 말거나 노랗게 보일텐데, 달은 그저 태양의 빛을 반사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하늘의 파란색이 영향을 확실히 줍니다. 빛은 더하면 더할수록 하얗게 되는 것 아시죠? 색은 검게 되고.밤에는 하늘의 색이 없으므로 그냥 달빛이 보이죠.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인공눈처럼 인공비도 만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강우는 이런 자연강우의 원리를 이용해 구름이 낀 날씨에 인공적으로 물방울의 응결핵이 될만한 물질들을 구름위에서 살포해서 강제적으로 구름의 물방울이 응집되도록해서 강우가 내리도록 하는 원리임.일반적으로 온도가 0도 이하인 한랭구름에는 빙정핵으로 아이오딘화은(요오드화은, AgI)이, 그리고 냉각물질로 드라이아이스가 활용됨.따라서 인공강우의 성공여부는 구름이 낀 날씨여야 하고 그 구름이 수증기나 물방울을 많이 포함한 구름일수록 유리함.(참고로 인공강우 실험이 성공한 것은 1946년이며 미국 GE(General Electric)사의 쉐퍼(Schaefer)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과냉각수적(영하로 내려간 상태에서 얼지 않고 있는 물방울)이 포함된 양떼구름에 드라이아이스를 살포하여 인공적으로 비를 내리는데 최초로 성공함. 1947년 보네거트(Benard Vonnegut)는 아이오딘화은이 얼음결정과 비슷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사해에서는 정말 물위에서 책을 볼 수 있는 과학적 현상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염분이 높으면 밀도가 큽니다.사해는 염분이 100%에 가깝죠밀도가 높기 때문에 부력이 크게 작용하므로 그렇습니다.부력이란 중력이 작용할 때 유체(流體) 속에 있는 정지 물체가 유체로부터 받는 중력과 반대방향의 힘으로 쉽게 말하면 물에 뜨려는 힘을 말합니다.부력의 크기는 유체 속에 있는 물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를 가진 유체의 무게와 같으며, 이것은 아르키메데스가 발견했기 때문에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라고도 합니다.아르키메데스가 발견한 원리인 유체속에 잠긴 부피와 같은 물의무게가 사해는 일반 바닷물에 비해 크므로 부력의 힘도 따라서 커지기 때문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최초로 자전거를 개발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자전거의 초기 형태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인물은 독일의 칼 드라이스였습니다.그는 1817년 ‘드라이지네’(Draisine)라는발명품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오늘날 자전거의 원형이자 인간의 힘으로 움직이는 최초의 개인용 교통수단이었습니다.드라이스는 사륜마차의 바퀴를 작게 만들어 두 개를 앞뒤로 배열하고이를 가로목으로 연결시킨 다음 그 가운데에 안장을 달았습니다.탑승자는 상체를 세운 채 마치 걷거나 뛰는 것처럼 좌우로 땅을 번갈아 차면서 이 기구를 전진시킬 수 있었습니다.요즘 아이들이 자전거를 배우기 전에 타는 밸런스 바이크와유사한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몇일전 우박이 떨어 졌는데 우박은 어떻게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박은 적란운 내부에서 얼음 결정이 상승/하강을 반복하다가과냉각 물방울과 합쳐지고 크기가 커져서 만들어집니다. 과냉각 물방울이란, 온도가 영하로 떨어져도 얼지 않은 물방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홍어는 썩어도 배탈 없이 먹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홍어같은 연골어류는 미생물 작용으로 암모니아가 생성되는데 그 암모니아로인해 유해한 미생물들이 사라지고 식감도 부드러워져 삭힌음식을 먹어도 탈이나지 않는거죠.그럼 독소인 암모니아를 먹는데 문제가 안되냐?네, 괜찮습니다. 왜냐면 우리가 고기를 먹어도, 계란을 먹어도장에서 단백질이 분해되며 암모니아가 생성됩니다.뱃속에는 언제나 암모니아가 발생되고 있다는거죠.그리고 심하지 많지만 않으면 그정도 암모니아는 몸에서 분해됩니다. 간에서, 근육에서 분해되서 최종적으로 글루타민으로 분해됩니다.홍어도 같은 이유로 문제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금성은 지구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궤도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단순계산으로 하면금성의 원일점(태양에서 가장 멀때)=0.7AU 지구의 근일점(태양에서 가장 가까울때)=0.98AU0.98-0.7=0.18AU=0.000002688광년(2.688×10^-6)0.072광년은 멉니다. 해왕성 공전궤도 지름이 0.00047광년입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