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화학
화학 이미지
Q.  1차 전지, 2차 전지는 어떤 것을 말하며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1차전지와 2차 전지를 구분하는 것은 충전 가능성에 그 기준을 둡니다.다시 에너지를 가해주었을때 전지의 가역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가를 판단해서 1차전지, 2차전지이름을 붙인 것입니다.1차 전지는 충전불가능.2차 전지는 충전가능한 전지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장마는 어떤 이유로 발생하게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 장마가 발생하는 이유는 온도차가 큰 오호츠크해 고기압과 북태평양 고기압 사이에 전선이 생겨 한반도에 머물기 때문입나다.여름철의 날씨를 좌우하는 북태평양 고기압은 겨울동안 하와이 부근 태평양상에 머물고 있다가 여름이 가까워지면 점차 북서태평양쪽으로 이동해옵니다.그때까지 우리나라에는 이동성 고기압과 저기압이 번갈아 지나가면서 날씨가 주기적으로 변하다가 6월로 접어들면서부터 오호츠크해에서 동해쪽으로 고기압이 뻗어 나오기 시작합니다.오호츠크해는 겨울 동안 얼음으로 덮여 있다가 봄이 되면 녹기 시작하는데 얼음이 녹은 차가운 물로 바다가 찬 수온을 유지하면서 대륙에 비해 온도가 10도 정도나 낮습니다.여기에 상대적으로 찬 공기 덩어리가 머물게 되면서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형성되는 것입니다.이 고기압이 차고 습기가 많은 해양성 기단입니다.이처럼 오호츠크해 고기압과 북태평양 고기압의 온도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두 고기압 사이에는 뚜렷한 전선이 생기게 됩니다.이 전선은 움직이지 않고 머무르는 성질이 있고 또한 이 전선을 따라 저기압이 서에서 동으로 움직입니다.대개 매년 6월 하순에서 7월 중순까지 이 전선이 우리나라에 위치하면서 자주 흐리거나 비가 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장마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계란 크기는 닭 크기에 비례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달걀(계란)의 크기는 낳는 닭의 몸무게에 비례합니다.때문에 우리가 먹는 주로 먹는 특란은 젊은 닭이기 보다는 일정부분 큰 닭들입니다.예외적으로 달걀에도 사람처럼 쌍둥이, 세쌍둥이가 있으므로 일반 달걀보다 두배이상 큰 달걀을 낳을수도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물건에 불이 붙어 화재가 났을 경우에 물건에 이불을 덮어버리면 불이 꺼지는 원리는 무엇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은 산소, 발화점 이상의 온도, 타는 물질이 필요합니다.이불을 뒤덮으면 산소가 차단되어 불이 꺼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토성의 고리는 어떻게 생겼고, 사라지지는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오랫동안 토성의 고리는 40억년 이상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읍니다.생성된 지 얼마안된 토성의 강력한 중력장이 주변을 지나는 혜성과 소행성을 붙잡아 이들이 서서히 띠를 형성했다고 합니다.2017년 카시니-하위헌스(카시니-하위헌스) 호의 관측에 따르면 토성의 고리를 이루는 물질들이 토성의 대기로 흡수되어 초당 1.5t씩 없어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져서 3억 년 안에 토성의 고리가 완전히 없어질 수도 있다는고 하는 반면에 고리의 물질들은 활발하게 생성, 소멸되고 있으며, 고리는 앞으로도 수십억 년 동안 지금과 똑같은 형상을 유지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읍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배가 앞으로 나아갈수있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배는 물에 뜰 수 있어야 하고(부양성),화물을 실을 수 있어야 하며(적재성),스스로의 힘에 의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이동성) 현재는 디젤기관과 스크루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선박이 주종을 이루고 있지만 엔진에서 추진축 그리고 프로펠러로 이어지는 재래식의 추진방식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추진방식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공기부양선이나 경주용 모터보트에 많이 사용되는 워터제트 추진방식이나 초대형 여객선에서 볼 수 있는 중간 동력전달축이 필요없는 전기구동 방식이 그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곰장어가 어류가 아니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어떤 종류의 동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곰장어는 여타의 다른 장어류들과 마찬가지로 어류가 아니고, 턱이 없어 무악류(無顎類) 혹은 입이 동그랗게 생겨 원구류(圓口類)로 분류됩니다.곰장어는 약 4억 년 전부터 존재했던 원시 어종으로, 살아 있는 화석으로 불리구요.무악류나 원구류는 일반적으로 가장 하등한 척추동물로 분류된다고 하네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딱따구리는 왜 나무를 부리로 쪼으는 행동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딲따구리들이 나무를 쪼는 건 먹이를 찾기 위해서 입니다. 하늘소따위의 곤충들은 나무 껍질 안쪽에 알을 낳습니다. 딱따구리는 그 애벌레를 잡아 먹기 위해서 애벌레가 파고 들어간 구멍을 찾아 쪼는 것입니다. 딱따구리는 단단하고 뾰족한 부리 끝으로 나무를 쪼아서 애벌레가 들어간 구멍을 크게 만듭니다. 그런 다음에 긴 혀를 구멍 속으로 깊숙이 넣어 혀 끝으로 애벌레를 꺼내 먹는 것이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문어는 모성애가 없나요? 문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문어는 다른 그 어떤 생물보다도 모성애가 강한 편입니다.수정란에서 어린 문어가 부화할 때까지 1~6개월간 아무것도 먹지 않은 채 천적으로부터 알을 보호하면서 온몸을 이용해 알에게 산소를 공급합니다.새끼 문어가 부화하게 되면 생명을 다한 어미 문어는 다른 생물에게 먹이가 되면서 자연으로 돌아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닷물에만 소금이 녹아 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호수는 물이 계속 들어오면서 나가는 곳도 있습니다.호수는 강과 연결되어 바다로 물이 계속 빠지게 됩니다.따라서 빗물이 땅속의 미량의 염분을 녹여서 운반한다고 해도 새로운 빗물이 흘러들어오면서 계속적으로 바다로 흘러갑니다.그래서 호수의 염분농도는 낮게 유지되지요.바다는 물이 더 빠져나갈 곳이 없게되므로 증발을 거듭하므로 염분이 농축되어 짜게됩니다.이스라엘의 사해는 호수이지만 들어오는 물이 빠져나가는 방법이 증발밖에는 없으므로 소금호수가 되버린 것이지요.
91929394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