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철학
철학 이미지
Q.  크리스트교를 연구하는 신학이 스콜라철학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중세에는 신 중심의 기독교 사상이 주류를 이루게 되는데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부철학과 앤젤무스로부터 시작하여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완성된 스콜라철학을 들 수 있습니다. 교부(성직자로 목사와 신부를 일컫는 표현) 철학은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 사상을 원용하여 기독교사상을 접목시킨 사상으로 원죄설과 구원설 등을 바탕으로 한 사상입니다. 스콜라철학은 중세 최대의 사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바탕으로 성경을 합리적으로 논증하고자 한 사상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노장사상의 핵심적인 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주나라에서 태어난 노자는 소국과민의 국가관을 주장하여 거대한 제국은 백성들의 안정되고 평화로운 삶을 보장할 수 없다고 보아 개짖는 소리 닭울음소리가 들릴 정도의 작은 나라에 적은 백성이 있어야 된다고 주장하였으며 자연스러운 본성대로의 삶인 무위자연을 주장하였고 삶의 모습으로 상선약수(으뜸되는 선은 마치 물과 같다.)를 주장하였습니다. 물에서 겸허와 부쟁의 덕을 배울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노자의 제자인 장자는 스승의 무위자연을 바탕으로 소요자유의 삶을 주장하여 자연스러움과 자유스러움을 추구하였습니다. 그는 제물론에서 좌망(자기를 구속하는 일체의 것을 잊는다.)과 심재(마음을 비운다.)를 주장하였습니다. 이러한 노장사상은 한초에는 황로학파로 한말에는 오두미교와 태평도로 위진시대에는 현학(청담사상)으로 발전하였고 우리나라에는 주로 서민계층에 퍼져 종교적 신념체계가 되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도관을 설립하고 도사들이 나왔으며 팔관회(불교+도교)를 주관하기도 하였습니다. 풍수지리 또한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조선의성리학자로서 학문적으로크게이바지한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성리학은 중국 송나라 때 주돈이의을 주희(주자)가 도학과 불교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완성한 학문으로 우주와 사물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학문체계입니다. 우주의 본체론과 인간의 심성론을 연구한 학문으로 송학 이학 도학 성학 성리학 주자학으로 불리워졌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들여왔으며 조선의 건국이념이자 정치와 교육의 밑바탕이 된 사상입니다. 성리학은 본연지성인 4덕과 기질지성인 4단과 7정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조선의 성리학은 중국 성리학과 다르게 본체론보다는 인간의 심성론에 주안점을 두고 발전하였습니다. 심통성정으로 성은 본연지성이고 정은 기질지성으로 보았습니다. 성은 마음 속에 있는 것이고 정은 드러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본성인 4덕(인의예지)은 드러나지 않으나 기질지성인 4단을 통해 4덕이 있음을 알 수 있다는 것이 단서설입니다. 이(4덕/4단)가 기(7정) 중 어디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주리론(이황)과 주기론(이이)로 나뉘며 이황은 이기호발설(이발기수와 기발이승)을 주장한 반면 이이는 이발기수는 인정하지 않고 기발이승만 인정하는 기발이승일도설을 주장하였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사람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이상적인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서양은 자연을 지배나 정복의 대상으로 보아 인간을 위한 도구나 수단으로 이용하여 결과적으로 생태계의 위기를 초래하였습니다. 반면에 동양에서는 조화론적 자연관을 통해 자연을 형제나 동반자 관계로 보았기 때문에 서양문명은 몰락의 길을 걷고 있는 반면 동양문명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세계의 중심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그리고 일본을 거쳐 대한민국으로 옮겨져 왔으며 대한민국이 조선 철강 반도체 휴대폰 등에서 1위를 점하고 있으며 자동차 전자제품 등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점도 자연친화적 입장의 결과라고 여겨집니다. 여기에 동양의 공동체 중심의 삶도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동양의 유가 도가 불가 사상에서 강조하는 자연과의 조화는 인간과 자연을 하나로 보는 천인합일의 사상이며 무위자연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서양에서도 생태중심주의 사상을 펼친 레오폴드의 대지윤리는 자연의 무생물까지도 윤리적 고려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동양사상과일맥상통합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이황과 이이의 주요 사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중국 성리학과 달리 조선 성리학은 우주의 본체론에는 관심이 없었고 인성론 즉 인간의 심성론에 주로 관심을 가지고 연구에 전념하였습니다. 퇴계 이황은 주리론의 입장에서 이기호발설(이기이원론 이귀기천론)을 주장한 반면 율곡 이이는 주기론의 입장에서 기발이승일도설(이통기국론 이기일원적이원론)을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본연지성으로 4덕을 기는 기질지성으로 4단7정으로 보았습니다. 4단7정론을 4단과 7정이 따로 나뉘어 4단은 존귀하고 7정 천하는 이기귀천론을 주장한 이황에 반해 7정 중에 선한부분이 4단이라는 7포4를 주장한 이가 이이입니다. 이발기수(4단)와 기발이승(7정) 등 이기호발설을 이황은 주장한 반면 이이는 이발기수는 인정하지 않고 기발이승만 인정한 기발이승일도설을 주장하였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서양에서는 철학자라고 이야기 하는데 우리나라도 그렇게 불렀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철학이라는 학문이 들어선 20세기 중반 이전까지는 조선 성리학이 지배적 이념이었기 때문에 성리학자 또는 사상가로 불리웠습니다. 대표적인 사상가로는 퇴계 이황 율곡 이이 그리고 다산 정약용 등을 들 수 있으며 현대에는 김형석 김용옥교수들이 철학자로 불리워집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조선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철학자가 있다면 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사림파 조광조를 들 수 있습니다. 그의 도학정치는 임금이 선정을 베풀어 여민동락하는 사회를 꿈꾸었습니다. 비록 주초의 난으로 몰려 사림파가 대학살을 당해 꿈을 이루지 못했으나 그가 꿈꾸었던 이상사회는 이후로도 계속해서 이루고자 노력하는 이들이 뒤를 이었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제자백가에는 어떤 사상들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춘추전국 시대의 사회적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서 내세운 여러 사상들을 제자백가 사상이라고 합니다. 사회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도덕성(인) 회복을 내세운 공자의 유가사상을 들 수 있고 강제자체가 사회혼란의 원인이라고 보고 자연스러운 본성대로의 삶 즉 무위자연을 주장한 노자의 도가사상을 들 수 있으며 비공론 겸애설 절장론과 절용설 소염론 등을 주장한 묵자의 묵가사상과 법률과 술수로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 한비자 이사 등의 법가사상 그리고 명가 종횡가 음양가 병가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중 우리나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사상이 주로 양반계층에 퍼져 종교적 신념체계가 된 공자 맹자의 유가사상(조선 조 500년을 다스린 정치이념이자 교육철학인 성리학)과 주로 서민계층에 퍼져 종교적 신념체계가 된 노자 장자의 도가사상 즉 도교로 풍수지리사상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고려시대에는 도관을 건설하고 도사를 받들었으며 팔관회와 기우제 등을 주관하였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왜 우리는 새로운 장소를 탐험하고 싶어하는 걸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인간은 기본적으로 호기심의 동물입니다. 자신과 같은 것을 추구하기도 하지만 다른 것을 탐험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동물입니다. 새로운 세계를 탐험하고 새로운 문화와 문명을 받아들여 문화접변을 통해 또다른 새로운 문화와 문명을 창출하기도 하는 존재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신이 존재한다면 그 증거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신이 존재한다는 증명을 중세 스콜라철학의 완성자인 토마스 아퀴나스는 존재론적 증명방법으로 존재하는 것은 그 존재의 원인이 있고 그 존재들의 근원적인 원인이 신이다라고 주장하였습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