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철학
철학 이미지
Q.  유태인과 유대인은 같은건가요?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대인은 유대지역의 사람(Judea, Judaea)이라는 의미의 민족명입니다. 한자로는 유태인이라고 표기합니다. 즉 유대인과 유태인 어느 쪽으로 써도 무방하지만 한자문화권이 아닌 나라들은 원어쪽을 존중하기에 유대인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파르티잔... 빨지산...ㅠ 우리나라를 이념적으로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빨치산(문화어 빨찌산)은 파르티잔에서 온 말로 정규부대에 속하지 않은 무장병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좌우익과 관련 없이 비정규 게릴라부대를 포괄적으로 부르는 용어입니다. 대체로 1930-1940년대 중국 북동부 또는 소련 지역에 있던 항일유격대(동북항일연군)를 빨치산이나 항일빨치산으로 불렀으며 1940-1950년대 한반도 이남에 있었던 조선인민유격대가 빨치산으로 불리는데 국군은 이들을 무장공비라고 불렀습니다. 빨치산파는 조선인민공화국 수립 때부터 하나의 파벌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노래제목 삼포로 가는길에서 삼포는 어느지역을 이야기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수 강은철의 노래에 등장하는 삼포로 가는 길의 삼포는 창원시 진해구 웅천의 삼포마을을 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때 군대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병역제를 정비하고 군사조직을 강화하여 국방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군역은 양인개병과 병농일치를 원칙으로 하였습니다. 즉 16세부터 60세에 이르는 장정들은 누구나 군역을 부담하여 현역군인인 정병이 되거나 군인의 비용을 충당하는 보인이 되어야 했습니다. 노비는 권리가 없기 때문에 군역의 의무가 없었으나 필요에 따라 특수군으로 편제되기도 하였습니다. 한편 정규군 이외에 잡색군이라는 예비군이 있어서 전직관료 향리 서리 교생 노피 등 각계각층의 장정들로 하여금 평상시에 본업에 종사하면서 일정기간 동안 군사훈련을 받고 유사시에 향토방위를 맡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15세기 이후 대가를 받고 군역을 대신 치르는 대역자가 생겨나거나 군역의무자로부터 면포를 거두어 이것으로 군인을 고용하는 제도가 나타나는 등 군역제가 문란해짐에 따라 진관체제는 붕괴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하여 16세기 중엽 이후 제승방락체제가 등장합니다. 제승방락이란 유사시에 각 고을 수령들이 군사를 이끌고 본진을 떠나 지정된 방위지역에서 서울에서 파견된 장수나 그 도의 병수사를 기다려 지휘를 받는 제도입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일차방어선이 무너지면 후방에서 막을 방도가 없기에 임진왜란 때 패전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동남아 지금도 우기인가요? 우산은 필수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남아는 국가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5월부터 11월까지는 우기이고 12월부터 4월까지는 건기로 나뉘어집니다. 우기라고해서 계속 비만 내리는 것은 아니고 스콜성으로 갑자기 내렸다가 그치기도 하고 비가 아예 안오는 날도 있으나 폭우로 인해 인명피해도 발생하기도 하니 날씨를 꼭 참조하셔서 계획을 세우셔야 합니다. 즐겁고 알찬 여행되시기 바랍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이스라얼이 지상전을 주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상전 투입은 양쪽의 희생이 많을 뿐만아니라 국제사회의 만류를 전혀 외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UN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이스라엘은 지금 휴전에 들어가면 하마스의 재기할 시간을 벌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지상전 투입결정을 내리고 공격개시를 했으며 팔레스타인 민간인이 7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홍범도 장군과 김좌진 장군은 독립운동에서 어떤 인물로 평가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좌진 장군의 청산리 대첩과 홍범도 장군의 봉오동 전투는 우리 독립운동사에서 일본군을 대상으로대승을 거둔 전투였습니다. 홍범도 장군의 봉오동 전투는 150명 사망했으며 중상자 400명 경상자 200명이 발생했고 우리측 사망자는 4명일 정도로 대승을 거뒀습니다. 김좌진 장군의 청산리 전투에서는 1차로 200명의 일본군이 전사했으며 2차로 오후부터 다음날까지 벌어진 전투에서는 400명의 일본군이 전사할 정도로 대승을 거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동은 이슬람끼리의 싸움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동의 싸움은 이스라엘과 범아랍권의 싸움이 있고 이슬람교의 분파인 수니파와 시아파의 대립이 있습니다. 지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대립은 네 차례의 전쟁에서 보여지 듯 포로 석방에 있고 또 전쟁은 포로를 양산하는 무한반복에 놓이게 된 것입니다. 이와는 다르나 마지막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계자 때문에 발생합니다. 수니파는 회당에서 선출하자는 입장이고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혈육인 시아트 알라를 칼리프에 임명해야 한다는 것으로 후계구도에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함으로써 나타난 분쟁입니다. 수니파의 종주국은 사우디 아라비아이고 UAE 이집트 튀르키예 등으로 19억명 중 8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시아파는 종주국이 이란이고 이라크 아제르바이제 등이며 15%의 무슬림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왜 분쟁이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대인들은 2000여년이나 세계 각지를 떠돌면서 디아스포라(유대인의 규범과 생홢습관을 지닌채 살아가는 유대인)로 학대와 멸시받는 삶을 살아간 유대인들에게 19세기 말부터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으로 모이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그곳에는 이미 팔레스타인들이 터잡고 살고 있었기 때문에 유대인들은 야금야금 밀고 들어왔습니다. 이에 팔레스타인들은 쫓겨나다시피하여 방랑의 길을 떠났다가 빼안긴 땅을 되찾기 위해 PLO(팔레스타인 해방기구)결성하여 이스라엘(1948년 건국)과 대립하여 서안지구(파타정부 지배)와 가자지구(2006년부터 하마스가 지배)를 확보하게 됩니다. 네 차례의 전쟁으로 이집트와 아랍동맹국들이 이스라엘과 벌인 전쟁으로 극심한 대립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 또한 포로석방을 요구하면서 발생한 것이고 또 전쟁으로 포로가 생기는 것이 무한 반복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육사는 왜 홍범도 장군의 동상을 없애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육사에 독립운동을 한 독립군 사령관들의 흉상을 옮기려는 시도는 편협한 역사의식에 기인합니다. 독립운동과 민족해방운동을 민족적 관점이 아닌 적과 아군의 편협한 대립구조로만 인식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여집니다. 민족적 관점에서 광의적으로 해석하면 우국충정의 관점 또한 육사생들이 몸소 실천해야 하는 애국애족 정신을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독립운동과 순국선열에 감사와 보은의 정신을 이어받아야 합니다.
421422423424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