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티잔... 빨지산...ㅠ 우리나라를 이념적으로
지금 둘로 나눠놓는 단어.... 빨지산(파르티잔)의 어원과 역사를 좀 알려주세요....
국민들이 잘못된 역사를 인식하고 조국을 위해 헌신했던 영웅들을 다시 욕보이지 않게 제발 진실과 사실에 입각해서 가르쳐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빨치사은 러시아어 파르티잔에서 유래된 외래어로 한국어에서 빨치산으로 발음이 변형된 것입니다.
빨치산 자체는 이념이나 지역에 대한 뜻이 포함되어있지 않으며 반공 성향의 빨치산이나 산이 아닌 곳에서 활동했던 빨치산들도 많습니다.
파르티잔은 프랑스어의 파르티에서 비롯된 말로 당원, 동지, 당파 등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12세기경부터 partisan이라는 단어가 프랑스에서 쓰이기 시작했고 17세기 경 이 단어는 지역 군벌을 의미하는 단어였습니다. 그러나 나폴레옹 전쟁 중 스체인 전역에서 게릴라에게 호되게 당한 프랑스군은 이들을 군벌이라 호칭하였고 그것을 옆에서 보던 영국군은 게릴라군=파르티잔이라고 생각하게 됨에 따라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게릴라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게 정착되었습니다. 이때까지는 순수한 유격대원의 의미와 더불어 정예, 혹은 특수 부대의 의미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덕분에 19세기 이전 미국에서는 파르티잔의 의미가 약간 뒤틀리게 되는데 미국 독립전쟁 당시 민병대와 남북 전쟁 당시의 남군의 영향으로 인해 19세기까지 미국에서 파르티잔의 의미는 레인저나 코만도와 같은 특수부대와 비슷한 느낌이 더 강했습니다.
20세기 접어들며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반프랑코 게릴라들의 활약과 국제여단덕에 파르티잔과 게릴라는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보급되기 시작했고 의미도 거의 현재와 비슷하게 고정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빨치산(문화어 빨찌산)은 파르티잔에서 온 말로 정규부대에 속하지 않은 무장병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좌우익과 관련 없이 비정규 게릴라부대를 포괄적으로 부르는 용어입니다. 대체로 1930-1940년대 중국 북동부 또는 소련 지역에 있던 항일유격대(동북항일연군)를 빨치산이나 항일빨치산으로 불렀으며 1940-1950년대 한반도 이남에 있었던 조선인민유격대가 빨치산으로 불리는데 국군은 이들을 무장공비라고 불렀습니다. 빨치산파는 조선인민공화국 수립 때부터 하나의 파벌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파르티잔 무장한 전사로서 정규부대의 정식부대원이 아닌 비정규군 요원을 말합니다. 파르티잔(partisan)은 프랑스어의 파르티(parti)에서 비롯된 말이며 당원,동지,당파 등을 뜻하는 말로 에스파냐의 게실라와 같은 뜻으로 사용됩니다. 유사한 용어로는 유격 부대, 레지스탕스, 의병, 게릴라 같이 정규 부대가 아닌 소규모 전투 단위를 일컫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파르티잔을 음차하여 빨치산이라는 불렀습니다. 그러나 주로 6·25전쟁 전후에 남로당의 게릴라 활동만을 격하하는 용어로 사용하여 부정적 의미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