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드라마에서의 추노꾼 존재가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반인의 노비에 관련되어 추노를 하는 사람을 민간업자는 추노꾼 관노와 관기 등 관공서에 관련된 추노를 하는 이들을 노비추쇄관 또는 추노관이라 불렀습니다. 추노들은 주인집에서 떨어져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외거노비들을 관리하여 몸삯을 징수하거나 주인집 등에서 무단이탈하거나 도망간 노비들을 수색하거나 체포하는 것을 말합니다. 추노라고 할 때 추자가 쫓을 추가 아니라 밀 추자로 노비를 추적한다고 해서 추노가 아니라 노비들을 원래 돌려준다는 의미의 추쇄를 한다고 해서 추노입니다.
역사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일본은 어떻게 패전국가 인데 한때 세계 경제강대국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경제의 회복속도는 놀라울 정도로 빠르게 회복되어 1960-1980년까지는 미국에 이어 세계 경제 2위로 도약합니다. 일본 경제발전은 국가주도의 산업정책과 수출주도형 성장에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토요타 소니 혼다와 같은 각 산업을 지배하는 여러 성공적인 기업들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일본의 경제적 성공요인에는 첫째 첨단기술에 필요한 교육과 숙련된 노동자 둘째 쇼쿠닌정신으로 알려진 근면과 규율문화 셋째 일본의 수출지향적 성장전략으로 세계적 수요 창출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본은 1990년부터 잃어버린 10년에서 잃어버린 30년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버블붕괴와 은행들의 줄도산 해외수출부진 등으로 일본경제는 장기불황에 빠져있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현모양처라는 말은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모양처는 현명한 어머니이자 좋은 아내라는 뜻으로 한자문화권에서도 다르게 표현합니다. 우리나라는 현모양처 일본은 양처현모 중국은 현처양모로 씁니다. 집안 일을 잘하고 아이를 잘 기르고 남편의 뒷바라지를 잘하는 아내 즉 내조를 잘하는 아내를 뜻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모양처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06년입니다. 아주 오래전부터 나온 것으로 알고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이 교육을 받을 수 없었기에 열녀효부라는 표현을 많이 써왔습니다. 현모양처는 신교육을 받은 여성들의 이미지가 강했고 그런 여성들에 의해 조선의 신사임당이 현모양처의 표본으로 삼아 지금도 현모양처하면 신사임당을 으뜸으로 꼽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반고흐가 귀를 자른 사건은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반 고흐는 동생 테호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그림을 그리는데만 집중할 수 있었고 고흐가 그림을 그릴 때마다 테호가 원하는 사람에게 판매했다고 하며 지원을 해주었기 때문에 그림 그리는 일에만 몰할수 있었습니다. 고갱을 반고흐 사무실로 불러들인 것도 동생 테호의 노력으로 이뤄진 것입니다. 어느날 동생 테호 집을 방문한 고흐는 충격을 받습니다. 자신이 그린 그림들이 테호 집 지하실에 그대로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고흐는 자신의 귀를 잘라 술집 주인에게 주는 기이한 행동을 하는 등방황을 하다가 말년에 수국화를 완성하기 위해 심혈을 기우립니다. 동생 테호는 형 고흐를 존경해서 자신 아들에게도 반 고흐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할 정도였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부케는 어떻게 시작되었고, 그 유래는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케는 신부의 행복과 행운을 빌어준다는 의미로 중세 유럽 문화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프랑스어 Bouquet는 묶음 다발의 뜻을 담고 있으며 처음에는 신랑이 직접 꺾서마는 곡물이나 약재를 사용하다가 꽃의 향기가 귀신이나 질병으로부터 신부를 보호해주라는 소문이 생기면서 꽃다발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리고 부케꽃을 사용하게 되면서 꽃마다 있는 말을 고려하게 되었고 부케를 던지는 풍습까지 같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부케꽃 중에는 장미 작약 수국 등이 많이 사용되는데 장미는 순결 순수함을 작약은 수줍음을 수국은 수줍은 소녀의 꿈 등을 담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결혼식 후 부케를 던지는 문화는 언제부터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케의 의미는 신부의 행복과 행운을 빌어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어는 프랑스어 Bouquet로 묶음 다발에서 유래하였으며 중세 유럽 문화에서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신랑이 직접 꺾어만든 곡물이나 약초다발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후 점차적으로 꽃의 향기가 귀신이나 질병으로부터 신부를 보호해준다는 소문이 생기면서 꽃다발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부케꽃을 사용하게 되면서 꽃마다 있는 말을 고려하게 되고 후에 결혼식부케를 던지는 풍습까지 생기게 되었습니다. 부케꽂으로는 장미 작약 수국이 많이 사용되는데 장미는 순수 순결을 작약은 수줍음 수국은 수줍은 소녀의 꿈을 상징합니다.
역사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6.25 전쟁 당시 용문산 전투를 어떻게 이길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용문산전투는 한국전쟁 중 1951년 5월 17일부터 5월 26일까지 경기도 가평군 용문리 용문산 및 가평군 설악면 일대에서 중공군과 대한민국 국군이 벌인 전투입니다. 우리 국군 6사단의 피해는 전사 107명 부상 484명 실종 33명인 반면 중공군은 3개사단 2만명의 병력이 궤멸되어 용문산대첩으로 부릅니다. 이 전투의 승리를 계기로 UN군과 국군은 대대적인 반격작전을 펼치게 됩니다. 그 당시 사창리전투와 현리전투로 사기가 떨어진 국군의 사기를 올리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중국인민지원군의 춘계 2차 대공세로 벌어진 이 전투에서 국군 제6보병사단이 중공군을 궤멸시키면서 그동안 중공군에게 연패하던 국군에게 의미있는 대승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미술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예술로 승화한다는 말은 어떤 의미를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평범한 일상의 일들이나 장애를 딛고 예술로 승화시켜 작품으로 완성되었다와 같이 단조로운 일상을 예술로 승화시켜 카타르시스(정화)를 느끼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한가위는 순우리말인가요? 그리고 한가위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명절 중 하나로 신라의 가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과 각종음식 등으로 차례상을 차려 차례를 지냅니다. 추석을 한가위라고 하는데 한이라는 크다라는 뜻과 가위는 가운데를 뜻하여 팔월의 한가운데의 의미로 한가위 가위 가배 중추절 등으로 불리워왔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28일 작성 됨
Q.
대한제국 시절의 돈덕전이라는 곳은 실제 어떻게 이용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돈덕전은 덕수궁 안에 지은 서양식 건물로 고종이 이곳에서 외국 사신을 접대했던 장소로 영빈관과 알현관으로 사용했습니다. 1907년 순종이 즉위한 장소였으나 1920년 일제에 의해 철거되었습니다. 돈덕이란 서경 순전에 덕있는 이를 도탑케하여 어진 이를 믿는다는 글귀에서 따온 것입니다. 해방이후 문화재청이 복원시켜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486
487
488
489
4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