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김동연 전문가
보가9 그래픽 디자인 및 영상 편집 총괄
음악
음악 이미지
Q.  악보에서 unis.는 뭘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unis.(unison)는 다같이 부른다는 겁니다.모든 파트가 똑같은 부분을 연주할때 붙는 기호이기도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문할 때 인사말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제의 부모인 경우 "상상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친환으로 그토록 초민하시더니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나 망극하십니까""환중이시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 뵙옵지 못하여 죄송하기 짝이 없습니다.""그토록 효성을 다하셨는데도 춘추가 높으셔서 인지 회춘을 못하시고 일을 당하셔서 더욱 애통하시겠습니다.""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드려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 망극이란 말은 부모상에만 쓰입니다. + 상제의 아내인 경우 "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옛말에 고분지통이라 했는데 얼마나 섭섭하십니까" * 고분지통(叩盆之痛) : 아내가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莊子)의 고사에서 나온말. + 상제의 남편인 경우 "상사에 어떻게 말씀 여쭐지 모르겠습니다.""백씨(伯氏)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하십니까""할반지통(割半之痛)이 오죽하시겠습니까" * 할반지통(割半之痛) : 몸의 절반을 베어내는 아픔이란 뜻으로 "형제자매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백씨(伯氏) : 남이 맏형의 존댓말* 중씨(仲氏) : 남의 둘째형의 높임말* 계씨(季氏) : 남의 사내 아우에 대한 높임말 + 자녀가 죽었을 때 그 부모에게 "얼마나 상심하십니까""참척(慘慽)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참경(慘景)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하십니까" * 참척(慘慽) :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에 앞서 죽는 일* 참경(慘景) : 끔찍하고 참혹한 광경 ※ 조문 시 유의사항 유족에게 자꾸 말을 걸어 장례진행에 불편을 주거나 유족에게 정신적 부담을 주지 말아야 되며,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고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조문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합니다. 고인의 사망 원인, 경위 등을 유족에게 상세하게 묻지 않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페미니즘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femin(여성) + ism(주의) = feminism (여성주의)feminism(여성주의) 정의: 여성억압의 형태와 원인을 기술하고 궁극적으로 여성해방을 목표로 두는 이데올로기이데올로기: 어떤 목표나 이상향에 도달하기 위한 이념, 신념, 사상​페미니즘의 유래는 프랑스가 처음이다.프랑스어 'féminine' (여성다운, 여자같은, 여성의, 여성 고유의)의 어근을 이용하여 1830년 '게이'를 부르는 처음 의학용어로써 'féminisme'(프랑스어) 이 쓰였다.공식적인 문헌에서는 1882년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위베르틴 오클레르가 'féminisme'를 여성의 권리투쟁의 상징으로 삼을 것을 주장한 것이 시작이였다.분명한 것은 페미니즘이라는 말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이전까지는 공적인 담론에서 나오지 않는 용어였다.​그리고 그 후 미국, 유럽등으로 세계 각지로 뻗어나갔으며 '미국식 페미니즘'이 오늘날 현재의 페미니즘의 모델이 되었다.​​페미니즘, 여성학계에서는 페미니즘 역사를 크게 3가지 물결로 나누는데첫번째 물결 리버럴 페미니즘(자유주의 페미니즘)말 그대로 자유주의(=자유를 중시하고 존중하는 이념)를 중시하는 페미니즘 운동이다.참정권 등 여성의 자유의 확대를 주장하는 운동이 이에 해당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부르주아가 무슨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래는 성에 둘러싸인 중세 도시 국가의 주민을 이르는 말이었으나, 근대에 와서 절대 왕정의 중상주의 경제 정책으로 부를 축적한 유산 계급으로 시민 혁명의 주체가 된 사람을 칭하였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르네 상스 시대의 미술 화가에는 누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르네상스의 화가들로는 보티첼리 - 비너스의 탄생,봄지오토 디 본도네-최후의 심판바사리프라안젤리코 -수태고지치마부에-옥좌의 마리아 마사치오-성 삼위일체마르트니베첼리오 티치아노-우르비노의 비너스 등등..... 북유럽알브레히트뒤러-그리스도와 간음한 여인한스 홀바인 - 대사들브뤼헐-농민의 춤얀 반 아이크 -아르놀피니의 결혼식엘 그레코 -톨레도 풍경 등등.....
역사
역사 이미지
Q.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어떠한 문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메소포타미아(Mesopotamia)에서 meso는 사이(between)라는 뜻이고 potamia는 강(river)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메소포타미아는 "두 강 사이"라는 뜻입니다. 그 이유는 지금의 이라크 지도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라크에는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이라는 두 개의 큰 강이 나란히 흘러 가고 있고 그 사이에 넓은 들이 펼쳐져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바로 그곳에서 탄생한 문명입니다.메소포타미아문명은BC 3200년 무렵부터 BC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대왕이 통일하기까지 약 3000년 동안 서아시아와 이집트 등 고대 오리엔트에서 번영했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근로자의날은 누가 재정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근로자의 날(메이데이,May Day)은 1886년 5월 1일 8시간 노동제 쟁취 및 유혈탄압을 가한 경찰에 대항하여 투쟁한 미국 노동자들을 기념하기 위해, 1889년 7월 세계 여러 국가의 노동운동 지도자들이 모여 결성한 제2인터내셔널 창립대회에서 결정된 날이다. 당시 미국의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환경과 적은 보수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에 1884년 미국의 각 노동단체는 8시간 노동 실현을 위한 총파업을 결의하고 1886년 5월 1일을 제1차 시위의 날로 정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5월 1일 미국 전역에서 노동자들의 파업이 일어났고, 5월 3일 시카고에서는 21만 명의 노동자와 경찰의 충돌로 유혈사태가 벌어졌다. 이후 1889년 파리에서 열린 제2인터내셔널 창립대회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5월 1일을 ▷기계를 멈추자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투쟁을 조직하자 ▷만국의 노동자가 단결하여 노동자의 권리 쟁취를 위해 동맹파업을 행동하자는 세 가지 연대결의를 실천하는 날로 선언하였다. 이를 계기로 1890년 5월 1일 첫 메이데이 대회가 개최되었고, 이후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5월 1일 메이데이를 기념해 오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서는 메이데이 때마다 벌어지는 근로자들의 파업과 시위 때문에 5월1일을 '법의 날'로 정하고 다른 날을 메이데이로 정하기로 했다. 이에 미국과 캐나다는 9월 첫째 월요일, 뉴질랜드는 10월 넷째 월요일, 일본은 11월 23일을 '노동절(Labour Day)'로 정해 놓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새터민이란 말 뜻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한 이탈 주민, 즉 탈북자를 말한다. 통일부는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2005년 초 이 말을 정했다. 한때 귀순주민, 탈북자, 북한 이탈 주민이라는 말로 썼던 것을 새롭게 순우리말로 고친 것이다. 일국 탈북자 본인들은 용어 채택 과정에서 통일인, 자유인 등 적극적으로 탈북 의지가 반영된 용어를 더 선호했으나 정치적 의미가 약한 새터민이 최종 결정됐다는 후문이 있다. 당시 일부 탈북 단체들은 '새터민'에 대해 "용어 자체가 생경한데다 북한의 눈치를 본 용어로, 자유를 찾아온 정서를 훼손하는 것"이라며 반발했었다. 정부는 관련 법률 용어도 고치고 국어 사전에도 새로 등재할 것이라며 홍보했으나, 결국 이 단어는 일반 시만뿐만 아니라 당사자들에게까지도 호응을 얻지 못했다. 한 때 새터민이라는 표기가 백지화되었다는 보도도 있었다. 한편, 새터민의 영문표기도 소리나는 대로 'Saeteomin'으로 쓸 것을 고려중이라 했었다. 그러나 이 역시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UNHCR 등 국제단체와의 협력체제 구축에 용어상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사 역사 영화들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시대 배경황산벌(660년 신라 김유신과 백제 계백의 황산벌전투)평양성(688년 신라 김유신과 고구려 남건의 평양선 전투)​고려배경쌍화점(고려 말 공민왕)​조선시대배경나는 왕이로소이다(태종)신기전(1448년 세종30년 세종의 비밀병기 신기전)관상(1453년 단종1년 수양대군이 왕위를 빼앗기 위하여 일으킨 사건 계유정난)연산군이순신(1572년)명량(1597년 임진왜란 6년 명량대첩)광해, 왕이 된 남자(16116년 광해군 8년 왕위를 둘러싼 권력다툼과 붕당정치로 혼란이 극에 달한광해군 8년최종병기 활(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사도(1762년 조선 21대 왕 영조와 그의 아들 사도제자)군도(1862년 철종 13년 농민항쟁, 임술민란)불꽃처럼 나비처럼(1895년 고종 을미사변)개벽(1894년 고종 31년 동학농민운동)​일제강점기 배경암살항거봉오동전투밀정말모이동주
역사
역사 이미지
Q.  명절 차례상 차림을 간소화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희집도 만두 송편 다 만들다가 거의 다 사먹고 편하게 바꾸는 추세입니다 며느리와 어머니와의 관계도 중요하지만 저희집은 손자와 남편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얘기해서 바뀌었습니다. 대를잇는 핏줄이 얘기하는데 안받아들여질까요? 그래서 저희집은 일부러 음식도 줄이려고 남자들이 설저녁상은 새로운걸 먹어보자 해서 파스타하고 스테이크 굽습니다
1161171181191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