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근로자의날은 누가 재정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근로자의 날(메이데이,May Day)은 1886년 5월 1일 8시간 노동제 쟁취 및 유혈탄압을 가한 경찰에 대항하여 투쟁한 미국 노동자들을 기념하기 위해, 1889년 7월 세계 여러 국가의 노동운동 지도자들이 모여 결성한 제2인터내셔널 창립대회에서 결정된 날이다. 당시 미국의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환경과 적은 보수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에 1884년 미국의 각 노동단체는 8시간 노동 실현을 위한 총파업을 결의하고 1886년 5월 1일을 제1차 시위의 날로 정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5월 1일 미국 전역에서 노동자들의 파업이 일어났고, 5월 3일 시카고에서는 21만 명의 노동자와 경찰의 충돌로 유혈사태가 벌어졌다. 이후 1889년 파리에서 열린 제2인터내셔널 창립대회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5월 1일을 ▷기계를 멈추자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투쟁을 조직하자 ▷만국의 노동자가 단결하여 노동자의 권리 쟁취를 위해 동맹파업을 행동하자는 세 가지 연대결의를 실천하는 날로 선언하였다. 이를 계기로 1890년 5월 1일 첫 메이데이 대회가 개최되었고, 이후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5월 1일 메이데이를 기념해 오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서는 메이데이 때마다 벌어지는 근로자들의 파업과 시위 때문에 5월1일을 '법의 날'로 정하고 다른 날을 메이데이로 정하기로 했다. 이에 미국과 캐나다는 9월 첫째 월요일, 뉴질랜드는 10월 넷째 월요일, 일본은 11월 23일을 '노동절(Labour Day)'로 정해 놓고 있다.
Q. 새터민이란 말 뜻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한 이탈 주민, 즉 탈북자를 말한다. 통일부는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2005년 초 이 말을 정했다. 한때 귀순주민, 탈북자, 북한 이탈 주민이라는 말로 썼던 것을 새롭게 순우리말로 고친 것이다. 일국 탈북자 본인들은 용어 채택 과정에서 통일인, 자유인 등 적극적으로 탈북 의지가 반영된 용어를 더 선호했으나 정치적 의미가 약한 새터민이 최종 결정됐다는 후문이 있다. 당시 일부 탈북 단체들은 '새터민'에 대해 "용어 자체가 생경한데다 북한의 눈치를 본 용어로, 자유를 찾아온 정서를 훼손하는 것"이라며 반발했었다. 정부는 관련 법률 용어도 고치고 국어 사전에도 새로 등재할 것이라며 홍보했으나, 결국 이 단어는 일반 시만뿐만 아니라 당사자들에게까지도 호응을 얻지 못했다. 한 때 새터민이라는 표기가 백지화되었다는 보도도 있었다. 한편, 새터민의 영문표기도 소리나는 대로 'Saeteomin'으로 쓸 것을 고려중이라 했었다. 그러나 이 역시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UNHCR 등 국제단체와의 협력체제 구축에 용어상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