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김동연 전문가
보가9 그래픽 디자인 및 영상 편집 총괄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인조반정은 왜 일어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에 이서(李曙)ㆍ이귀(李貴)ㆍ김유(金瑬) 등 서인(西人) 세력이 정변을 일으켜 광해군을 왕위에서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 이종(李倧)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이다.16세기 중엽 정치의 주도권을 장악한 사림(士林) 세력은 서원을 중심으로 결속이 강화되면서 붕당(朋黨)을 형성하였다. 1575년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뉜 사림은 선조 후기에 동인이 다시 낙동강 동쪽의 이황(李滉) 계열은 남인(南人), 서쪽의 조식(曺植) 계열은 북인(北人)으로 당색을 달리하게 되면서 서인과 남인, 북인이 서로를 비판ㆍ견제하는 정국이 형성되었다.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정인홍(鄭仁弘), 곽재우(郭再祐) 등 조식의 문인들이 의병활동에서 공을 세우면서 북인이 정치적 주도권을 잡았으나, 내부의 결속이 약한 북인은 대북(大北)과 소북(小北) 등의 분파로 나뉘었다. 선조는 왕권 유지를 위해 유영경(柳永慶)을 중심으로 한 소북 계열의 척신(戚臣)들을 중용하였고, 이들은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이 빈(嬪) 소생이자 둘째아들이라는 이유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소생인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새로 세자로 옹립하려고 했다. 하지만 선조가 갑자기 죽으면서 그러한 시도는 실현되지 못했고, 광해군이 대북파의 지원을 받아 왕위에 올랐다.광해군은 임진왜란으로 황폐화된 국가체제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명(明)ㆍ청(淸) 교체기의 국제 현실에서 균형 있는 중립외교를 펼쳐 조선의 안보를 유지하려 했다. 대동법(大同法)을 시행하고, 군적(軍籍) 정비를 위해 호패법을 실시했으며, 《동의보감(東醫寶鑑)》 등의 서적을 간행하였다. 하지만 붕당 간의 대립이 심화된 상태에서 왕권의 기반은 매우 취약했다. 그래서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을 일으켜 왕위를 위협하던 영창대군(永昌大君) 세력을 제거하고, 1617년에는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존호를 삭탈하고 경운궁(慶運宮)에 연금시키는 등 왕권을 둘러싼 갈등이 날카롭게 드러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은 성리학적 윤리관에 기초하고 있던 사림 세력에게 패륜으로 비판을 받았으며, 중립외교로 후금(後金)과 평화관계를 유지한 것도 사림 세력에게는 명나라에 대한 명분과 의리를 저버린 행위로 비판되었다.반정세력은 이듬해인 1623년 음력 3월 12일을 거사일로 정해 준비하였다. 그리고 훈련대장 이흥립(李興立)을 한편으로 끌어들이고, 장단부사 이서와 이천부사(伊川府使) 이중로(李重老) 등이 군졸을 이끌고 모여들었다. 하지만 이이반(李而攽)이 이 사실을 고변하여 정변 계획은 사전에 발각되었다. 그래서 정변이 예정되었던 3월 12일 저녁에 박승종(朴承宗) 등은 추국청(推鞫廳)을 설치해 고발된 모든 사람을 체포하려 했다. 하지만 후궁과 연회를 벌이던 광해군은 이를 재가하지 않았고, 붙잡았던 이흥립마저 풀어주었다. 결국 이이반의 고변으로 상황이 더욱 급박해진 반정세력은 예정대로 정변을 추진하기로 했다. 능양군은 친병(親兵)을 이끌고 연서역(延曙驛)으로 가서 이서 등과 합류하였는데, 무리가 1,400여명이 되었다. 이들은 삼경에 창의문(彰義門)의 빗장을 부수고 도성으로 들어가 곧바로 창덕궁(昌德宮)으로 갔다. 이흥립은 궁궐을 지키던 병사들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내응하였고, 초관(哨官) 이항(李沆)이 돈화문(敦化門)을 열어 반정세력을 궐 안으로 끌어들이면서 정변은 손쉽게 성공하였다.광해군은 후원문(後苑門)으로 의관(醫官) 안국신(安國臣)의 집으로 피신하였으나 곧바로 붙잡혀 강화도로 유배되었다. 능양군은 새벽에 조정의 관리들을 소집하여 병조참판 박정길(朴鼎吉) 등을 참수하였으며, 광해군의 총애를 받던 상궁(尙宮) 김씨(金氏)와 승지 박홍도(朴弘道) 등도 그 자리에서 죽였다. 그리고 경운궁에 유폐되어 있던 인목대비의 존호를 회복시켜준 뒤에 그 권위를 빌어서 조선의 제16대 왕인 인조(仁祖)로서 왕위에 올랐다.인조반정 이후 정변에 공을 세운 이귀와 김류 등은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봉해졌다. 그리고 광해군 때의 집권세력이던 대북파의 이이첨(李爾瞻)·정인홍(鄭仁弘) 등 수십 명이 처형되었고, 200여 명이 유배되었다. 정변 이후 광해군 때에 조정에서 물러났던 서인과 남인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이들이 공존 관계를 형성하면서 붕당정치가 더욱 본격화하였다. 하지만 그해에 인조반정에 반대한 황현(黃玹)과 이유림(李有林) 등의 역모 사건이 벌어지고, 이듬해인 1624년에는 반정공신이던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켜 인조가 공주까지 피난을 가는 상황이 벌어질 정도로 왕권의 기반은 허약하였다. 특히 서인세력은 반정의 주역으로서 정국을 주도하며 왕권을 제약하였다. 또한 성리학적 윤리관에 기초해 명분과 의리를 내세운 인조반정은 광해군 때의 중립외교정책을 패륜으로 비판하면서 친명배금정책을 낳았다. 이러한 정책은 결국 정묘호란(丁卯胡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을 불러와 임진왜란 이후 이제 막 수습되어 가던 국가의 기반과 경제를 다시금 파탄 상태로 몰아넣는 계기가 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별초의 성과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219년 최충헌의 정권을 계승한 최우가 방도 등 치안유지를 위해 설치한 야별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별초란 ‘용사들로 조직된 선발군’이라는 뜻이다.그 뒤 야별초에 소속한 군대가 증가하자 이를 좌별초 ·우별초로 나누고, 몽골과 싸우다 포로가 되었다가 탈출한 병사들로 신의군을 조직, 이를 좌 ·우별초와 합하여 삼별초의 조직을 만들었다.삼별초는 무신정권의 전위로서 다분히 사병적인 요소도 있었으나, 항몽전에서는 그 선두에서 유격전술로 몽골병을 괴롭혔고, 무신정권이 무너지고 몽골과 강화가 성립되자 반란을 일으켰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추억으로 묻혀버린 포장마차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포장마차는 해방이후부터 생겨나 지금까지도 계속적인 인기와 명맥을 이어온 장수업종의 하나로서 주머니 돈이 부족한 서민층의 애환을 달래주는 주점이었습니다.50~60년대 청계천 등지에서 광목으로 윗도리만 겨우 가린 채 당시 흔했던 참새를 구어 잔소주(잔으로 팔던 소주)를 팔던 포장마차는 70년대에 접어들며 요즘의 모습과 비슷해졌습니다.70년대 포장마차의 주메뉴 중 술은 소주(주로 잔으로 팔았음)와 병막걸리(막걸리를 맥주병에 넣은 것으로 카바이트술이라고 했다)였고, 맥주는 80년대에 들어와 팔았던 것으로 기억됩니다.안주는 참새구이, 닭발구이, 간천엽(운이 좋을 때), 삶은 오징어, 소금뿌린 꽁치구이, 북어양념구이 등이었고 오이와 당근 약간은 무료였습니다. 오뎅이 있긴 했지만 요즘의 어묵이 아니라 당시 덴뿌라라고 하여 납작한 모양의 것을 어슷하게 잘라 꼬지로 끼웠습니다. 돼지갈비 등 육류는 80년대에 출현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요깃거리로는 삶은 달걀과 우동(국수에 오뎅국물을 부어 줌)이었고 라면은 80년대에 들어서 끓여주기 시작했습니다. 조명은 카바이트병에 물을 넣어 나오는 가스로 불을 밝히던 카바이트불이었는데 쉭쉭하며 타는 소리가 재미있었습니다. 전등이 가설된 것은 80년대들어 한참입니다.-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제가 이야기한 곳은 동대문 밖이었고, 시내는 조금 달랐겠지요. 대학교 앞에서는 안주를 한 가지만 한 곳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연대 철교밑에 있던 포장마차에서는 의자도 없고 양념한 갑오징어만 철판에 지져 팔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언론을 통제하였던 역사 사건은?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두환 정부 시절 언론통폐합 역사가 있습니다.​언론통폐합(言論統廢合)은 전두환 정부 당시인 1980년 11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해 시행한 언론 통제 정책을 말한다.​언론사 구조 개선이라는 명분으로 신문사, 방송사, 통신사의 난립을 정리하고 공영방송 체제를 도입한다는 계획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프랑스에서 여러 국영-민영라디오 방송사와 TV 방송사를 RDF(이후 RTF로 개칭)라는 독점 공영방송사로 통합한 바는 있다. 하지만 1980년 한국에서 벌어진 언론통폐합의 실상은 전두환 정권에 저항적인 언론인은 해직하고 언론을 체제에 순응하게 하려는 의도였다.​전두환 정권이 도입하려 했던 공영방송 체제를 빙자한 국영방송은 통폐합 단행 후 정확히 10년이 지난 1990년 수도권 지상파 민영방송사인 서울방송이 설립되면서[1] 다시 공영방송-민영방송 체제가 되었다. 그리로 그 당시의 라디오 채널 중 하나가 SBS에 넘어간 것도 아이러니. 통폐합 과정에서 생겨난 '신문-방송/통신 겸영금지 제도'는 1990년대 후반~2000년대 들어 신문사들의 복합미디어그룹 출범을 제한하는 족쇄로 작용했다.​https://namu.wiki/w/%EC%96%B8%EB%A1%A0%ED%86%B5%ED%8F%90%ED%95%A9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 4.3사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5년 해방 당시 한반도는 북쪽엔 조선공산당조직이 활동하고 남쪽엔 인민공화국조직이 활동하고 있었으며이미 공산주의에 의해서 거의 장악된 상태.1945년 11월 미군정이 시작되었으나 소련의 공작과 북한김일성의 지령과 남쪽의 남로당조직의 적화공작으로 미국은 제대로 남한을 통치할 수가 없었음.자유민주주자이고 철저한 반공주의자인 이승만은전국방방곡곡을 순회하며 자유민주주의로 건국을 해야하고 공산주의는 결국 백성이 굶어죽는 체제임을 역설하는 국민계몽을 해나감.유엔의 감시하에 남북한 총선거를 하기로 하였으나북한의 김일성이 반대하고 북한만의 괴뢰정부를 만듬.남한은 1948년 5.10일 남한만이라도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 건국을 위하여 총선거를 실시함.결국 북한에는 김일성이가 공산주의 괴뢰정권을 만들고 남한에는 이승만대통령에 의하여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이 건국되어 유엔은 대한민국을 유일한 합법적이고 공식적인 국가로 인정함.이 과정에서 공산당들은 남한의 대한민국 건국을 막으려고 9월총파업, 대구폭동, 제주4.3폭동, 여순반란등 수없이 많은 크고 작은 파업과 폭동과 테러를 일으킴.1921년 제주 일본 공산당에서 활동하던 김영식이 제주도공산당을 만듬.제주도는 지역의 고립된 특성으로 80%이상이 공산주의에 현혹됨. 남로당조직이 광범위하게 완성되어 공산주의 활동을 함.1947년 3.1 제주, 경찰기마대의 말의 눈을 누군가 건드리고 말이 근처에 있던 어린애에 부상을 입혔다고 함. 경찰의 사과후에도 일련의 군중들이 의도적으로 경찰서로 몰려가고 경찰의 발포로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함.이후 제주도 남로당은 5.10 선거반대. 대한민국 건국 반대. 스탈린, 김일성, 박헌영 만세를 주장하며 파업과 시위와 테러를 함.1948년 4월 3일 새벽2시~4시 사이에 제주남로당 무장유격대가 경찰서 12곳을 습격하여 경찰과 경찰가족 선거관계자 및 인근 주민 27명을 무참히 살해함. 또 많은 경찰가족을 산으로 납치함.결국 남로당의 공격과 방해로 5.10 선거에서 제주도 3개 투표소중 2개가 무효투표가 되는 지경이 됨.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건국 되었으나전국적인 공산주의 세력의 파업과 시위와 테러는 계속됨.이승만대통령이 선언함,1. 자유대한으로 전향하라2. 아니면 재산정리해서 북한으로 가라3. 그렇치 않으면 소탕하겠다9만명이 재산을 정리해서 북으로 가고 서울대교수 50%가 북으로 갔습니다. 전향하지 않은 이들은지리산 태백산 소백산 월악산 등으로 숨어 들어가서빨치산이 됩니다.제주도에는 1948년 11월 21일 계엄이 선포되고남로당무장유격대 소탕작전이 시작됨.제주남로당유격대는 산위에 있고 산중간에는 민간인이 거주함.남로당이 산중간에서 보급을 받고 활동함으로 소탕에 어려움이 있고. 남로당이 산중간 민간인으로 숨어서 활동하는 일이 생김.이후 산중간의 민간인 분산작전이 실시되어 해안가 5km이내로 이주하도록 조치하고 남아있는 민간인은 남로당폭도로 간주 소탕함.이 과정에서 무고한 민간인 희생이 발생. 당시 제주도내 인구의 80%정도가 남로당의 영향을 받고 있던 파악되는 상황. 제주도는 공산주의 남로당이 장악한 섬이 되었을 것이고. 대한민국의 제주도가 아니고 북한 김일성 괴뢰집단의 제주도가 되었을 것이라면. 이후 6.25 한국전쟁 때 제주도에는 더 큰 비극이 발생했을 것임.1949년 6월 제주남로당 총사령관 이덕구가 잡힘. 체포된 남로당폭도들의 증언에 의하면 몇개월내에 인민공화국을 건설한다고 들었다고 함.1949년 10월 미군이 철수하자1950년 6.25에 북한의 기습남침으로 전쟁발발1948년 남한에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건국한것은 한마디로 기적임.만약 그 당시 이승만대통령에 의한 자유민주주의 국가건국이 실패했다면, 현재 우리는 조선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이 되어서 자유와 인권과 희망을 빼앗기고 , 아마도 거대한 정신병원같은 체제에서 거짓역사를 외우고 믿으며 살고 있을 것임. 때문에 이승만 박정희 대통령 건국 공로를 폄훼하고 매도하는 역사공작이 끊임없이 진행중임. 그럼에도 북한과 달리 피해자에 대해 이유불문 민주화유공자로 보상하고 국가적으로 예우하였으나. 대한민국 정통성을 부정하고 남로당의 부활적 영구 집권과 공산적화의 수단으로 삼음.
2762772782792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