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지개다리라는 말은 어디서 유래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죽음의 완곡한 표현. 주로 키우던 반려동물의 죽음을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라고 표현한다.이 표현은 1980년대에 미국 혹은 영국에서 만들어진 저자 미상의 시에서 가져온 말이다. 북유럽 신화의 비프로스트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말도 있는데, 무지개 다리라는 말이 원래 '이상향으로 가는 천상의 다리'라는 개념으로서 고대부터 널리 쓰였던 관용구임을 감안하면 확률은 높은 편이다.이 시에서는 천국과 지상을 이어주는 무지개 다리가 있는데 어떤 사람에게 사랑받던 동물은 죽으면 항상 먹을 것이 있고, 따뜻하며, 다시 젊어지고, 건강해지는 초원으로 간다. 이 동물들은 평화롭고 행복하게 뛰놀지만 항상 자신을 아껴주던 주인을 그리워한다고 한다. 그리고 마침내 주인이 죽으면 만나서 함께 무지개 다리를 건너 천국으로 가며 다시는 헤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2010년대 후반부터는 무지개 다리를 건넌다는 표현 외에도 "강아지/고양이별로 떠나다"란 표현이 자주 보인다.
Q. 조선시대 대표사상은 유교인데 왜 불교는 탄압받지않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왕조는 건국 기반을 확고히 하고자 3대 정책을 건국의 이념으로 내세웠습니다. 첫째, 외교정책으로서 사대교린정책, 둘째, 문화정책으로서 숭유배불정책, 셋째, 경제정책으로서 농본주의를 내세웠습니다. 조선은 건국이념에서 볼 수 있듯이 불교를 배척하는 정책을 시행했는데요 그 이유는 일단 유교를 국가이념의 근간으로 세우고자 한 의도가 있습니다. 그러나 더 근본적으로 살펴보면 고려 말 신진사대부들이 권문세족들과 대립하면서 권문세족의 이념인 불교를 부정하였고 위화도회군 이후에는 온건파 사대부를 대응하여 정도전 등 급진파 사대부들이 불교 자체를 비판하면서 배불정책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후 조선이 성립되면서 정치이념으로 유교가 정착되고 불교를 아예 배척하게 되었죠. 그러나 불교는 고려를 거치면서 오랫동안 주류적 사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고 사회에 깊게 뿌린 내린 사상입니다. 그래서 국가의례를 제외한 종교문화적인 부분에선 여전히 불교가 영향력을 발휘했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