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김동연 전문가
보가9 그래픽 디자인 및 영상 편집 총괄
역사
역사 이미지
Q.  을사오적은 누가 가담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을사오적 : 이완용, 박제순, 이지용, 이근택, 권중현 을사오적이란 조산 후기에 을사조약의 체결에 가담한 다섯 매국노들을 말한다. 추가로요 을사조약에 대해서도 알려드릴게요.1. 일본 외무성이 한국의 외국에 대한 관계 및 사무를 감리 지휘한다.2. 차후로는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를 거치지 않고는 어떠한 국제적 조약이나 약속도 할 수 없다.3. 한국 황제 밑에 1명의 통감을 두어 한국의 외교에 관한 사무를 관리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도 반려동물을 키웠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만 살펴보자면 1. 동물에 대한 인식은 지금처럼 반려동물같은 개념은 아니였고요 생각보다 박했습니다특히 왕은 반려동물 같은걸 기르면 신하들이 나서서 말릴정도로 말이죠 이유로는 조선시대 군주란 성리학적 관점으로 도인과 같은 인격 수양을 권했는데 반려동물 기르기같은 잡기는 군자의 덕목에 위배된다는 관점이 만연 해있었기 때문과당장 사람이 먹고살기도 힘든 시대에 왕이 반려동물을 기른다는게 그시대에선 좋지 않게 보여졌기 때문입니다 그 때문에 조선왕조 실록에도 간간히 언급되는 사안입니다 특히 동물을 좋아한 성종때 이런 논의가 많은 편입니다 크게 예를 들자면 성종8년에 성종이 기르던 원숭이에게 옷을 입혀주자 신하들이 반대한 원숭이옷 사건과 성종 17년에 가뭄이 들자 성종이 매를 길러서 그런거라 간한 사건들 등이 있습니다 ​ 반면에 양반 계층은 반려동물의 개념으로 특이하게도 현대처럼 개나 고양이가 아닌 새를 주로 길렀으며 그중에서도 두루미를 주로 길렀으나 18세기에 들어 서면서는 비둘기나 앵무새를 기르는 방법도 서책으로 나올정도로 유행하기 시작합니다 비둘기를 기르는 법이 적힌 [발합경] 앵무새를 기르는 법이 적힌[녹앵무경]등이 돌아다닐정도로 양반 사이에서는 새를 기르는게 하나의 유행으로 자리잡습니다 하지만 이는 양반 계층등 기득권층이나 가능한 일 이었기에 조선시대 평민들은 자기가 먹고 살기도 힘든 형편에 반려동물 같은 개념은 자리잡지 못햇습니다 대신 동물들이 하나의 자산가치로 평가 되엇고 그에따라 관련 서적도 농업서 취급을 받았습니다 숙종때 간행된[산림경제] 같은 서책등이 존재하며 산림경제의 2권의 목양편에 가축과 새를기르는 법이 적혀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숙종때 발행된 [색경] 하권에도 비슷한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고 이로인해 적어도 조선 중 후기까지는 반려동물보단 자산으로써의 성격이 강햇단걸 알수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기녀와 기생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녀 (妓女)1. 춤·노래·의술·바느질 따위를 배워 익히던 관비(官婢)의 총칭. 여기(女妓). 연화(煙花).2. 기생(妓生). 기생 (妓生)잔치나 술자리에서 노래나 춤, 또는 풍류로 흥을 돕는 것을 업으로 삼는 여자. 기녀(妓女). 예기(藝妓). 조선 왕조는 국가 제도적 차원에서 기녀를 관리했다.3년에 한 차례씩 중인이나 천민 중에서 기녀를 선발해 중앙의 관속도감에서 기녀 수업을 받게 했던 것이다.이들을 교육시킨 후 중앙이나 지방 관청에 파견해 관기로 활동하게 했다.당시의 기녀는 단순히 사대부의 노리개가 아닌 중요한 문화 주체였다.기녀를 지칭할 때 쓰는 ‘기’라는 글자는 당시 ‘현악기를 다룰 줄 아는 여자(技)’라는 뜻이었다.또한 기녀들은 음악·무용·시 등을 전문적으로 배웠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예술 활동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즉 기녀는 일종의 종합 예능인이었다는 것이다. 당시 양반들도 기녀에게 정신적·지적 접촉을 기대했다.양반 사대부 가문의 여성들이 도덕적·윤리적 덕목에 얽매여 있던 데 반해 기녀들은 창작·예술 활동이 자유로웠기 때문이다. 이는 기녀와 양반들이 주고 받은 시들의 높은 수준에서도 알 수 있다.그러나 유교적 사회에서 기녀들의 문화·예술적 업적은 제대로 평가받기 어려웠다. 또한 작품이나 기녀 자체에 대한 자료도 부족했기 때문에 그간 문화 주체로서 기녀에 대한 연구는 잘 이뤄지지 않았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학 장르 중 하나인 부조리극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조리극이란 것은 아무의미 없는 내용이 계속 반복되는 상황연출을 통해서인생의 근본적인 무의미함과 답답함"자기 삶의 이방인"이 된 느낌을 간접 경험하게 해주는 연극입니다. ​대표적인 건​사무엘 베게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이오네스코의 [대머리여가수] 등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진흥왕이 나제동맹을 깬이유??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의 장수왕(長壽王)은 427년에 평양으로 천도하고 남진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에 위협을 느낀 신라와 백제는 433년(고구려 장수왕 21, 신라 눌지왕 17, 백제 비유왕 7)에 우호관계를 맺으며 나제동맹이 성립되었다.고구려는 군사적 우위를 보이며 백제와 신라에 공세를 취하였다. 장수왕은 먼저 백제를 침략하여 475년에 백제의 수도 한성을 점령하고 개로왕을 죽이며 한강유역을 차지했다. 이때, 신라는 1만의 구원군을 보냈다. 481년에 고구려는 신라를 공격하여 7성을 점령하였고 미질부(彌秩夫:경북 흥해)까지 진출하여 신라를 위협하였다. 이 당시에는 백제가 신라를 도와 고구려의 위협을 방어하였다. 493년에 백제 동성왕이 신라 이벌찬 비지의 딸과 혼인하면서 433년에 시작된 두 나라의 동맹관계는 더욱 그 기초를 공고히 하였으며 551년에는 양국 연합군을 구성하여 고구려를 공격, 한강유역을 빼앗았다.그러나 553년 신라 진흥왕(眞興王)은 백제의 한강하류지역을 점령하고 신주(新州)를 설치하였다. 이로써 나제동맹은 깨지고 백제와 신라는 적대적인 관계로 돌아섰다. 신라의 배신에 백제의 성왕은 대가야와 연합하여 신라의 관산성을 공격하였으나 패하고 성왕은 관산성에서 전사하였다.
3063073083093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