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김동연 전문가
보가9 그래픽 디자인 및 영상 편집 총괄
역사
역사 이미지
Q.  소매치기라는 단어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すり [掏摸] 소매치기. 〔동의어〕きんちゃく切きり.즉, 일본말의 "쓰리"에서 온 말입니다. 우리나라에선 별로 사용하지 않던 말이며,옛날 분들은, 소매치기를 당하다는 말을 쓰지 않고,쓰리 맞다 라는 말을 더 많이 쓰시다가, 현재, 마치 한국말 사용되는 것입니다.그러므로, 어원을 찾기 힘든 것이지요. 물론 그 뜻은, すり [掏摸] 에서 온 것이지요.だきつき-すり [抱き付き掏摸] 몸 가까이 접촉하여 슬쩍 지갑을 훔쳐 가는 소매치기. * 특히 아래를 참조하세요...쓰리란 단어가, 소매치기로 순화되었다고 써있습니다. 도모 [掏摸][명사]=소매치기.쓰리 [←(일본어)suri[掏摸]][명사]‘소매치기’로 순화. 掏 가릴 도摸 본뜰 모, 더듬을 막 이므로, " 가리고 더듬는 자 " 가 바로 소매치기인 셈이지요 ^^ 2)cupid_j7 2003.10.20 13:43님이 등록하신, 오픈 백과의 어원을 참조하셔도 좋습니다. (어원)소매치기 : 혼잡한 곳에서 남의 물건을 슬쩍 훔치는 사람.옛날 사람들이 입고 다니던 두루마기 따위 웃옷의 좌우에 있는 옷소매는 폼이 크고 넓어서 흔히 그 안에 돈이나 다른 귀중한 물건들을 넣어 가지고 다녔다. 그 옷소매 안에 있는 돈이나 물건을 훔친다고 해서 생긴 말이다.출처 : [도서] 우리말 유래 사전
역사
역사 이미지
Q.  남수단전쟁과 테러리스트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주 위험한 지역입니다.내전 상태로 정부가 있으나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곳입니다.부족별로 자경단을 운영해 겨우 유지를 하고 있는 곳이니,,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성씨의 개념은 언제부터 시작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 나라 성(姓)은 중국의 한자문화가 유입한 뒤인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을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 산, 강 등을 성으로 삼았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때 고양이 고기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오래된 고양이에 대한 자료는 9세기 신라시대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우물에서 10세 이내의 여자아이와 개 그리고 고양이가 묻혀 발견되기도 하였다.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어 여러 추정이 있지만, 고구려의 정릉사의 우물에서 각종 짐승의 뼈가 대량으로 나오는 사례 등을 보면 종교적 행위로 인한 공양 같은 것이었을 가능성이 있다.조선시대에는 고양이 생가죽을 팔 아픈 데 붙이면 낫는다는 민간요법이 떠돌았을 정도다. 이는 영조실록에도 언급되어 있는 요법인데, 그것도 어의가 영조에게 건의했을 정도. 그러나 영조는 "내가 어렸을 때부터 궁궐에서 고양이가 많이 노는 것을 봐 와서인지 그런 건 못할 짓이다."라고 거절했다. 《영조실록》 영조 13년(1737년) 5월 24일 기록에 실려 있다.숙종시기 도화서 소속 화원이었던 화재 변상벽의 별명이 변묘(卞猫), 즉 변고양이였다.또한 조선시대 짬타이거는 일반 병사처럼 대접받았다. 즉 조선시대 고양이의 대접은 사람 취향마다 달랐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싫어하는 사람도 있는 오늘날과 별 차이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http://blog.naver.com/africaamc/220790586935 이익의 『성호사설』 제4권 「만물문」에 조선 19대 왕인 숙종이 고양이를 사랑한 이야기가 있다. 한 나라의 왕과 친분을 가진 고양이도 처음 만남은 왕이 부왕의 릉으로 참배하러 갔다가 만난 길고양이. 숙종이 '금손'이라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금손'이를 밥상 옆에 앉혀놓고 고기 반찬을 손수 먹여 주며 곁에 두고, 정사를 볼 때도 쓰다듬으며 정사를 볼 정도로 사랑했으나, 숙종이 승하하자 고양이 '금손'은 자취를 감추고 식음을 전폐하다 끝내 죽었다고 전해집니다.http://blog.naver.com/africaamc/220790586935
역사
역사 이미지
Q.  안중근 의사는 어떻게 이토히로부미를 사망시켯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중근은 일제강점기 이토오 히로부미 저격사건과 관련된 독립운동가입니다. 1909년 3월에 동지 12명이 모여 이토와 이완용 제거를 단지의 피로써 맹세하고 9월 하얼빈역에서 이토를 사살, 현장에서 체포됐습니다. 개인이 아닌 대한의용군사령관의 자격으로 총살한 것이라 주장하다 1910년 뤼순 감옥에서 사형당했습니다.
3163173183193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