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아직까진 공부 잘하는게, 좋은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여전히 공부를 잘하는 것, 즉 학업 성취와 학력이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좋은 학력은 취업, 사회적 신뢰, 기회의 기반이 되기 쉬워서 부모와 학생 모두 학업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죠. 하지만 최근엔 기술, 창의력, 실무 능력, 문제 해결력 등 다양한 엵량이 중시되는 흐름이 커지고 있습니다. 공부는 여전히 중요하지만 무언가를 잘하는 전문성 또는 독자적 경쟁력으로 인정받는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Q. 아이와 집에서 할만한 과학 실험 있으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무지개 우유 실험이 있습니다. 준비물로는 접시와 우유, 식용색소, 면봉, 주방세제가 필요합니다,. 접시에 우유를 붓고 식용색소를 몇 방울 떨어뜨립니다. 면봉에 주방세제를 묻혀 우유 표면에 살짝 찍으면 색이 퍼지며 무지개처럼 움직입니다. 이건 세제가 우유 속 지방과반응해 표면장력이 깨지면서 색이 움직이는 겁니다.
Q. 선호하는 브랜드나 옷 스타일은 보통 어떻게 정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들이 선호하는 브랜드나 옷 스타일은 또래 친구의 영향, 미디어 노출, 부모의 스타일, 자기 표현 욕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정해집니다. 특히 또래와의 소속감이 중요한 시기에는 친구가 입는 옷, 유행하는 브랜드를 따라가는 경향이 큽니다. 이런 과정은 자기 정체성을 탐색하는 건강한 성장과정으로 볼수 있습니다
Q. 담임선생님의 성향에 따라, 아이들 반분위기도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네 , 담임선생님의 성향은 아이들 반 분위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선생님이 엄격한 편이면 질서있는 분위기, 자유로운 성향이면 창의적이고 활발한 분위기가 조성되기 쉽습니다. 또, 관계중심, 학습중심, 감정공감중심 등 선생님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에 따라 아이들도 자연스럽게 영향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