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아이가 친구들하고 놀때 자꾸 목소리를 높이고 짜증을 냅니다

주말에 아이와 함께 친구네 놀러갔습니다. 친구 아이도 아이와 비슷한 또래여서 둘이 잘 놀겠지 했는데 가만히 들어보니 아이가 자꾸 짜증을 내고 본인 뜻대로 되지 않으면 화를 내듯이 말을 하는데 이건 아니다 싶더라구요. 어떻게 해야 하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친구들과 놀이를 하면서 목소리를 높이고 짜증을 내는 이유는

    자신의 기분과 감정을 조금 더 강하게 어필하기 위함이 큰데요.

    그러나, 자신의 기분과 감정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짜증과 언성을 높이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옳지 않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이가 친구와 놀이를 하면서 언성을 높이고 짜증을 낸다면

    아이를 친구가 보이지 않는 공간으로 데리고 가서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기분이 좋지 않다 라고, 너의 뜻대로 되지 않는다 라고 해서 친구에게 큰 소리를 지르면서 짜증을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준 후,

    아이의 행동을 바로 잡아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매일 밥상머리교육 시간을 통해 인성교육을 시켜주어 상대를 베려하고, 존중하고, 상대의 마음을 이해하고,

    상대의 감정을 공감하며 사이좋게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아이가 친구들과 놀 때 화를 내고 목소리를 높여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자기 욕구가 강한 시기, 감정 표현 방식의 미숙, 사회적 기술 부족, 피곤하거나 배고픈 상태, 주의 끌기를 위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고 행동은 분명히 구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갈등 상황을 되짚어보고 아이가 감정 표현을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지 말고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짜증이나 화를 내는 행동은 또래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종종 나타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아이가 자신의 요구나 바람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그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 아직 서툴러 그런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올바르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아이에게 "왜 화가 나?" 또는 "왜 짜증이 나는 거야?"라고 물어보며,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게 해야 합니다.

    또한, 긍정적인 대화 방식을 가르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면 "친구에게 어떻게 말해야 할까?"라고 질문하면서 차분하게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집이나 외부에서 일관된 규칙을 세우고, 아이가 이를 지키도록 돕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는 예의 있게 말해야 한다"는 규칙을 정하고 이를 일관되게 상기시키는 것입니다.

    아이에게 모범을 보이는 것도 중요한데, 부모가 차분하고 침착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도 그런 행동을 배우게 됩니다. 아이가 긍정적인 행동을 할 때는 칭찬과 보상을 주어, 좋은 행동을 강화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아이에게 사회적 기술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고, 놀이를 통해 다른 사람과 어떻게 상호작용해야 하는지를 자연스럽게 배우도록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아이가 짜증을 낼 때 혼내기보다는 그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감정을 표현할 때, 그 감정을 인정하고 그 대신 어떻게 행동할 수 있을지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친구와 놀떄 짜증을 내거나 목소리를 높이는 건 아직 감정 조절과 사회적 기술이 충분히 익지 않았기 떄문일수 있습니다. 놀기 전에 '친구랑 놀떄는 서로 의견을 듣고 천천히 말하는게 좋아'라고 사전 약속을 하고 놀이중에는 감정이 격해지기 전에 개입해 조용히 알려주기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