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미국의 대선 선거제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 건국의 영웅은 추대에 의해 대통령 직을 수행하고나서도 욕심을 부리지 않고 민주주의를 위해 고향으로 낙향했고 이러한 모범적 사례에 대한 존경으로 그 후에도 미국의 대통령제는 4년 중임제를 통해 최대 8년의 임기를 굳건히 지켜왔습니다. 미국은 1792년 제정된 연방법에 따라 4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습니다. 미국 대선은 단순히 유권자들로부터 표를 가장 많이 얻었다고 해서 승리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많은 선거인단을 확보해야 승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미국의 대통령 임기는 바뀐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 대통령의 임기가 바뀐적이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미국의 대통령과 부통령의 임기는 4년이며, 수정헌법 제12조에 따라 대통령과 부통령 후보는 분리해서 선발합니다. 대통령은 최대 한 번까지만 중임할 수 있습니다.임기를 채우지 못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4년 중임제였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 조지 워싱턴 때부터 기원한 것이라고 합니다. 미국 건국의 영웅은 추대에 의해 대통령 직을 수행하고나서도 욕심을 부리지 않고 민주주의를 위해 고향으로 낙향했고 이러한 모범적 사례에 대한 존경으로 그 후에도 미국의 대통령제는 4년 중임제를 통해 최대 8년의 임기를 굳건히 지켜왔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뉴딜정책은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뉴딜정책이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뉴딜(New Deal)은 실업자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주고, 경제 구조와 관행을 개혁해 대공황으로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프랭클린 D. 루스벨트미국 제32대 대통령이 1933년~1936년에 추진하기 시작한 경제 정책이라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맞으실까요? 맞으신가요? 어떤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궁금한게 맞으신가요?000 있습니다. 보통 사물에는 존칭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예를 들어'고객님, 주문하신 피자 나오셨습니다.' 이런 경우 사물과 사람을 동격을 만들어버리는 꼴이 되어버립니다. 고객센터에서 서비스를 응대하면 종종 그러한 실수가 잦은 편입니다. '고객님께서는 월 3천만 원까지 대출 가능하십니다. (→ 대출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를 이용할/이용하실 수 있으십니다. (→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질문자님이 말씀하신 내용 중에는 중복 존칭이 많은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불꽃놀이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꽃놀이의 유래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고대 중국에서 전쟁터의 신호 등으로 사용되었는데, 7세기 초 수나라 양제 무렵부터 원시적인 연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불꽃놀이에 사용하는 화공품을 연화라고 하는데, 고대 인도·페르시아·그리스·로마 등에서 이미 그 착상이 있었다고 하며, 원형이 되는 횃불은 기원전부터 있었고 주로 신호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음악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으름장놓는다는 표현에서 으름장이란 무슨의미인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으름장이 무슨 의미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으름장은 말과 행동으로 위협하는 짓이라는 의미입니다. 비슷한 말은 공갈, 위협, 윽박입니다.
음악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한국 최초의 발레단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발레단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직업 발레단은 광복 직후 출현했다고 합니다. 일본에 유학해 가마쿠라발레연구소에서 발레를 배운 한동인이 1946년 만든 ‘서울발레단’이 그것입니다. 한국인으로 구성된 이 발레단은 공기의 정을 창단 작품으로 공연했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왜 남동부 알래스카는 캐나다땅이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알래스카가 어느 나라 땅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미국이 알래스카 조약을 통해 러시아로부터 매입하였다고 합니다. 알래스카 조약은 1867년 10월 18일 미국 국무장관 윌리엄 헨리 수어드의 명령으로 미국이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러시아령 아메리카를 720만 금달러에 매입한 일입니다.미국 북서부의 주입니다. 전 세계에서 하루가 가장 늦게 시작되는 곳입니다. 특히 이곳에 애투(Attu) 라는 작은 섬이 있는데, 모든 대륙과 섬 중에서 가장 서쪽에 있는 땅입니다. 알래스카라는 이름도 '섬이 아닌 땅'이라는 의미의 알류트어 '알라흐스하크'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역사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푸른 천과 붉은 천으로 상, 하단을 두른 초롱인 청사초롱은 언제부터 사용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청사초롱의 기원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조선 후기부터 민간 혼례식에는 청사초롱이 등장했습니다. 청사초롱은 홍사 바탕에 청사로 단을 둘러 만든 제등 양식의 한 종류입니다. 홍색은 양의 기운을 뜻하고 청색은 음을 상징하니 우주만물의 시작인 음양화합을 기원하는 뜻이 있습니다. 청사초롱에 불을 밝힘으로써 신랑각시의 화합과 조화로운 새출발을 기원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조선 후기 각종 초가 양산됨으로써 1746년 편찬한 속대전에 왕의 거둥 때 사초롱을 멘 등롱군이 호위하도록 그 수와 색을 정하였으나 이의 시행은 1804년 처음 실시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조자룡 헌 칼 쓰듯한다라는말은 어떻게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자룡 헌칼 쓰듯한다'는 속담이 무슨 의미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유비의 수하 장수인 조자룡이 필마단기로 조조의 100만 대군을 뚫고 유비의 아들 유선을 구한다는 데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합니다. 혼자서 많은 군사들을 상대하다 보니 날이 무뎌져 잘 들지 않는 헌 칼이 되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조자룡은 조조의 병사들로부터 창을 빼앗아 썼다고 합니다. 이렇게 주위에 널린 창을 ‘아끼지 않고’, ‘열심히 계속 사용’하는 것을 뜻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요즘 와서는 이러한 본래의 뜻보다는 함부로 남용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