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주전도감은 어떠한 일을 하는 곳 이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전도감은 고려 시대에 돈을 만들기 위해 새로 세운 관청입니다.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주전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1101년(숙종 6년)에 설치하였으며, 이미 1097년에 의천의 건의를 받아 주전관을 두고 돈을 만드는 일을 연구하게 하였는데, 주전도감이 설치됨으로써 본격적으로 돈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1102년(숙종 7년)부터 돈을 만들기 시작하여 처음으로 해동통보를 만들어내고, 이어 해동중보·삼한통보·삼한중보·동국통보·동국중보 및 은병을 만들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 정종 천리장성은 어떠한 이유때문에 쌓은 것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천리장성은 부여성에서 발해만 비사성에 이르는 삼국시대 고구려 후기 서부 국경 방어를 위해 축조한 성곽으로,동북쪽으로는 부여성(扶餘城 : 지금의 農安)에서 서남쪽으로는 발해만의 비사성(卑沙城 : 지금의 大連)에 이르기까지 1,000리에 걸친 장성으로, 16년이라는 기간이 소요되어 647년에 완성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김장하는날 수육을 해먹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치는 모든 음식과 궁합이 아주 높고 영양분 섭취가 좋다고 합니다.그 가운데 고기와의 궁합은 매우 좋다고 합니다. 김장시 함께 먹는 돼지목살 편육은 특히 더 부드럽고 고소해 많이 이용하는 수육 고기라고 합니다.갓 담근 김장 김치와 기름을쫙 뺀 돼지고기 편육을 먹는 것은 겨우내 추위를 버티기 위한 영양분 섭취 효과도 있다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흄의 도덕적 실천동기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덕적 실천 동기는 도덕적 행동을 일으키는 계기나 원인을 뜻하는 것으로, 도덕적 행위를 이끄는 원동력과 같으며,첫 번째 방법으로는 도덕적 습관을 기르는 것입니다. 도덕적 실천을 오랫동안 되풀이하면 자연스럽게 몸에 익게 되고 옳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실천하면 어떤 상황에서도 주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실천할 수가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도덕적으로 모범이 될 만한 인물을 본보기로 삼아 그의 좋은 점을 닮아 가고자 하는 것입니다.이는 인물을 본받으려는 자세를 통해 의지를 굳세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 광종 때 노인안검법은 어떠한 정책이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광종 때 호족세력을 누르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본래 양인이었다가 노비가 된 사람을 안검하여 방량(放良)하게 한 정책으로 강력한 중앙집권적 국가체제를 지향했던 광종은 노비의 안검을 명하여 호족들의 세력을 견제하고자 하였습니다. 따라서 광종은 본래 양인으로 고려의 통일전쟁 때 포로가 되어 노비가 된 자들과 호족들이 스스로의 세력을 믿고 강제로 노비화시킨 자들을 본래의 신분인 양인으로 회복시켜 주기 위해 펼친 정책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의 병자호란은 어떤 전쟁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병자호란은 1636년 12월 28일 ~ 1637년 2월 24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전쟁이으로 청나라의 숭덕제가 명나라를 공격하기 이전에 배후의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조선을 침공하였을 때, 인조와 조정이 남한산성에서 항전하였으나 청의 포위로 인한 굶주림과 추위, 왕실이 피난한 강화도의 함락, 남한산성의 포위를 풀기 위한 근왕병의 작전 실패 등으로 말미암아 항복하게된 전쟁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최초에 희극인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희극인 배삼룡(84)씨는 고 이기동·서영춘씨, 구봉서씨 등과 함께 대표적인 1세대 코미디언이었습니다. 배삼룡씨는 스무살에 악극단 '민협'에 입단해 연예인 생활을 시작, 한국의 대표적 코미디언이 됐으며,배씨처럼 1세대 코미디언들은 대부분 악극단(춤·노래·재담 등을 공연하는 극단) 출신으로 코미디가 1920~30년대 유랑극단 무대에 뿌리를 두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오랑캐라는 단어의 정확한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랑캐란 본래 개와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후손을 오랑캐라고 부르게 되었다는이설화로한 재상이 얇은 껍질로 된 북을 만들어 이 북을 찢지 않고 소리를 내는 사람을 사위로 삼겠다 했으나, 아무도 북이 찢어질까봐 치지를 못하였는데, 하루는 북소리가 들려 가보니 개가 꼬리로 북을 치고 있었기에 재상은 할 수 없이 그 개를 딸과 혼인시켰습니다.개가 밤마다 딸을 핥고 물고 할퀴자, 괴로움을 참다못한 딸은 개의 네 발목과 입에 각기 주머니를 씌웠는데, 그래서 이 개는 ‘오낭(五囊)을 낀 개[狗]’가 되고 말았습니다. 그 개와 딸이 자식을 낳자 북쪽으로 쫓겨나 후손을 퍼뜨려 그 뒤 오랑구가 오랑캐로 변하여 북쪽에 사는 사람들을 그렇게 부르게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집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통영상륙작전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50년 8월 16일, 북한군 제7사단 소속 병력 약 350명이 원문고개를 침공하였을 때, 원문고개를 지키던 경찰 병력 약 100명이 카빈 소총으로 저항했으나, 박격포와 중화기로 무장한 적을 당할 수 없어 한산도와 비진도로철수했습니다. 적은 원문고개를 점령하고 통영읍 시가지로 들이닥쳐 6.25가 발발한 지 겨우 50여 일 만에 국토의 남단 끝 통영이 북한군 손에 들어간 사건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현자총통은 어떤 위력을 가진 무기였는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자총통은 조선 태종 때 제작되었으나 세종 27년(1446)에 황자총통보다 성능이 떨어지고 중량이 많이 나간다는 이유로 폐지되었습니다. 이후 개량작업이 이루어져그 개량작업이 성과를 거두어 1554년(명종 9) 5월에 함경북도절제사 이사회(李思會)의 치계(馳啓)로 야인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현자총통과 철환이 지원되었고 선조 때에는 이순신 장군이 해전에서 주 무기로 사용하였습니다. 무게가 155근인 현자총통(玄字銃筒)은 7근인 차대전(次大箭)을 2,000여 보 날려 보낼 수 있으며, 철환(鐵丸) 100개를 동시에 발사하는 성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2162172182192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