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징과 꽹과리는 우리나라 고유의 악기로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전통 악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금, 단소, 생황, 훈, 태평소, 가야금, 거문구, 아쟁, 해금, 징, 꽹과리, 박, 편경, 장구 등이 있습니다.
Q. 용인 지명의 유래는 어떻게 기원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용인시 지명의 유래와 기원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용인시는 본래 용구현과 처인현을 합치고 용구에서 용자와 처인의 인자가 합쳐 용인현이라고 칭하다가 후에 양지군을 합쳐 용인시가 되었다고 합니다. 용인은 일찍이 온조왕이 하남 위례성에서 즉위한 이후 계속 백제의 영토에 속했으며 용인이 앞서 말씀드린 용구현이란 명칭으로 기록상에 나타난 것은 서기 475년(고구려 장수왕 63년)이라고 합니다. 이 때, 고구려는 새로운 점령지인 용인지방을 중앙집권전 군현제도에 따라 구성현으로 명명하고 고구려에 귀속됐다고 합니다. 삼국이 통일되어 신라의 통치를 받게된 용인은 서기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 1주, 1소경, 28군,46현을 한주(현재, 광주시)의 영현으로 할 때 용인(龍仁)을 이에 속하게 하였고 구성을 거서로 고쳤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