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4월 30일 작성 됨
Q.
다르다 와 틀리다의 정확한 구분설명좀
'다르다'의 사전적 의미는 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아니하다는 뜻입니다. '틀리다'는 셈이나 사실 따위가 그르게 되거나 어긋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흔히 너랑 나는 참 많이 틀리게 생겼어~라는 말을 자주하게 되는데이럴 때는 '틀리게' 대신 '다르게'를 사용해야 합니다. 시험 문제에 답을 잘못 적었을 때는 '틀렸다'라는 표현을 사용해야 합니다.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틀리다'는 대부분 '다르다'의 잘못된 표현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24년 4월 30일 작성 됨
Q.
청천병력 사자성어와 관련있는 육우에 대해서
청천벽력과 관련 있는 남송 시인 육우가 어떤 사람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육우는 당나라 때 시인이면서 차 전문가라고 합니다. 평생 차를 즐겨 마셨으며 다도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 '다경'을 저술하기도 했습니다. 시에도 능통했는데 현존하는 작품이 많지는 않습니다만육우에 대한 전기는 전당문중에 육우자전이 수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육우 시는 육선가, 유산서촌 등이 있습니다.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카르타고가 로마에게 패한 원인은?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카르타고가 로마에게 패배한 가장 큰 이유는 카르타고와 로마 간 군사의 질적, 양적 차이가 컸다는 점이라고 합니다. 포에니 전쟁 시점에는 양국의 인구수 자체가 거의 100만 명 이상 차이났다고 추정된다. 카르타고는 용병에 주로 의존했지만, 로마는 사실상 국민개병제나 다름없는 시민군 제도였습니다. 물론 카르타고도 페니키아인으로 구성된 시민군이 있었지만, 페니키아인은 이주민족이었으므로 인구가 원주민에 비해 적어서 시민군을 아껴야 했기 때문에 주로 용병을 썼습니다. 포에니 전쟁 이전 시라쿠사의 그리스인 참주들과 벌인 전쟁에서 시민군을 대거 동원했다가 큰 손실을 입은 후로 시민군은 거의 본토 방위에만 동원되었다고 합니다.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인조반정은 어떤 배경으로 이루어졌는지?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조반정의 배경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동서 분당, 건저 문제, 세자책봉과 즉위, 광해군의 통치가 배경이라고 합니다.
2024년 4월 28일 작성 됨
Q.
불교는 어떻게 생겨난건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교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입니다. 불교의 기원은 석가모니가 열반한 연도, 곧 입멸 연도로부터 시작되므로 불기는 석가모니가 입멸한 이후부터 경과된 햇수를 가리킵니다. 종교라는 한자어를 맨 처음 만들어낸 종교이기도 하다. 이는 '유교, 도교, 경교 등은 모두 부차적인 가르침이고 불교가 으뜸 가는 가르침'이란 뜻으로 표현한 데서 시작되었습니다.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법성포 좌우두는 인도승 마라난타가 A.D 384년에 중국 동진을 거쳐 백제에 불교를 전하면서 최초로 발을 디딘 곳으로 이를 기념하기 위해 관광명소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