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회계약설을 주장한 대표적인 사람은 누구인가요? 가장 먼저 주장한 사람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사회 계약(社會契約論)은 철학, 정치학, 사회학에서 시민과 국가 사이의 책임과 권리에 관해 국가 내부에서 통용되는 암묵적 동의로, 또는 좀 더 폭넓게는 그룹과 그 구성원 사이, 또는 개개인들 사이의 계약이라는 개념으로도 쓰인다. 사회 계약은 인간의 선하거나 악한 인류학적 개념에 의존하고 있었다. 토머스 홉스, 존 로크, 장 자크 루소는 이러한 사회 계약의 대표적 철학자들이다. -출처:위키백과
Q. 설악산에 산양이 살고 있던데 윈래부터 우리나라 에 살던 고유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사람의 접근이 힘든 험준한 바위절벽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산양은 현재 800~920마리 정도가 설악산, 비무장지대 일대, 양구-화천,울진-봉화-삼척지역 등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하지만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산양은 서식지 단절, 자연재해, 밀렵, 질병, 근친교배 등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 2006년부터 월악산에서 산양복원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Q. 계륵 이라는 고사성어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조는 한중 땅을 놓고 유비와 싸웠으나 전황이 불리해지면서 더 이상 싸우자니 이기기 힘들고 이대로 군을 물리기에는 비웃음을 살 것 같아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었다. 그 때, 하후돈이 그 날의 암호를 묻자, 조조는 별생각 없이 '계륵'이라고 했다.계륵은 현재 조조의 상황으로 볼 수 있으며, 닭의 갈비살이라는 것은 결국, 맛은 있으나 먹을 것은 별로 없는 애매한 부위로서, 공격을 하자니 이기기 힘들고, 가만있자니 소득이 없는 상황이 계륵과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