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3월 31일 작성 됨
Q.
세종때의 발명품인 기리고차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말이 끄는 초거(軺車)가 거리를 잴 수 있게 만든 거리계차, 즉 기리고차였다 한다.세종 때의 기리고차도 그 바퀴의 둘레가 세종주척(世宗周尺) 18척이 되는 직경 119.15㎝의 양바퀴 초거로서 바퀴가 1백 번 회전할 때마다 나무인형이 북을 쳐 소리로 1리를 알리도록 만들었다. 물론 바퀴의 회전수는 톱니바퀴로 자동적으로 계산이 되게 설계되었다.
역사
2023년 3월 31일 작성 됨
Q.
과거 1원짜리 지폐가 있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962년 6월 10일 정부의 긴급통화개혁조치에 의해 발행된 일원 지폐입니다. 지금도 많은 돈이 남아있고, 쓸 수 있는 돈입니다.가로 94mm , 세로 50mm 의 아담한 사이즈는 당대 기준에서 너무나 작고 초라한 지폐였다고 합니다.
역사
2023년 3월 31일 작성 됨
Q.
'숲 교실'의 유래와 어느나라에서 시작되었는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덴마크의 자연 친화 교육 운동에서 영향을 받아 1954년 엘라 플라타우(Ella Flatau)부인이 자신의 자녀와 이웃의 자녀들을 데리고 매일 숲에서 놀이를 하였던 것이 시초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 마을의 유아들을 함께 숲에서 돌보았던 것이 효시로 인정되고 있다.
미술
2023년 3월 31일 작성 됨
Q.
왕건은 어진이 없고 동상이 남아있다던데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당시 고려가 건국된 한반도 중북부 지방에서 고구려계승의식과도 결합되어 내려오는 뿌리 깊은 동명왕(東明王) 숭배의 신성한 상징물인 동명왕상(東明王像)의 양식, 즉 옷을 입히는 나체상 양식을 적용한 것이다. 동아시아의 불보살상이나 유교의 조각상, 군주의 조각상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착의형 나체상양식인 왕건상은 이러한 고구려계통의 문화에 바탕을 둔 것이다.-출처:한국1
음악
2023년 3월 31일 작성 됨
Q.
이미자씨의 동백아가씨는 왜 금지곡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해방 이후 이미자의 '동백아가씨'가 발표된 지 1년만에 금지곡(1965)이 된 진짜이유는 알려진 ‘왜색풍’ 이 아니다. 박정희 정권이 취한 ‘한일국교정상화’ 조치라는 정치적 배경 때문이다.
역사
2023년 3월 3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최초의 간척사업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63년 3월에 착공, 1967년 2월에 준공한 전북 부안군에 위치한 계화도 간척농지, 우리나라 최초의 대규모 간척농지인 이곳 계화도는 미질 좋은 간척지 쌀로 유명한 곳이다.
음악
2023년 3월 31일 작성 됨
Q.
우리영화사에서 세계적인 영화제에서 처음으로 수상한 배우는 누구이고 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윤여정은 한국영화 102년 역사상 처음으로 아카데미 연기상을 받는 한국 배우라는 금자탑을 세웠다. 지난 1957년 한국영화 최초 해외 영화제 수상작 '시집가는 날'부터 '미나리'까지, 한국영화ㆍ영화인의 해외 영화제 주요 수상 역사를 정리했다.
미술
2023년 3월 31일 작성 됨
Q.
가우디의 건축물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스페인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1852-1926)는 '아름다운 형태는 구조적으로 안정돼 있다. 구조는 자연에서 배워야 한다. '라고 생각했으며 건축 대부분에 자연의 힌트를 받아들여 모방한 작품이 많습니다. 설계도 보다 석고 모형을 중시한다는 점도 특징입니다.
역사
2023년 3월 31일 작성 됨
Q.
경제학자 케인즈는 어떤 경제사상을 가진 학자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잉글랜드의 경제학자. 거시경제학을 창시하고 정립했다고 평가받는다. 경제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완전 고용을 실현·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개입 없이 시장에만 경제를 맡기는 자유방임주의가 아닌 정부의 개입과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케인스주의를 주창했다.
역사
2023년 3월 31일 작성 됨
Q.
일본은 무슨 근거로 독도가 자기네땅이라고 우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일본은 1904년부터 러시아와 전쟁을 치르고 있는 시기에 일본은 본격적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눈독 들이기 시작했다. 동해안에서 러시아를 견제하는 데 필요한 군사적 거점으로서 가치가 있었기 때문이다.
681
682
683
684
6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