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정치적 정당들은 언제 처음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한국독립당 (1945)1920년에 창당된 임시정부의 정당. 임시정부의 여당이던 한국독립당이 귀국후 1945년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으로는 최초로 등록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경주 최부자집이 부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적선지가 필유여경(積善之家 必有餘慶)’이라 했던가. 덕을 쌓은 집안에 복이 있듯, 최부잣집은 부를 베풀수록 나날이 번성했다. 부를 베풀고, 민심을 얻고, 그 민심이 더 큰 부를 불러들이는 부의 선순환. 그것이 바로 최부잣집 300년 부의 비밀이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금란지교의 정확한 의미와 그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금란지교는 친구 사이가 너무 친밀하여 그 사귐이 쇠보다 굳고,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사람들과 한 가지로 하여, 먼저는 울부짖고 뒤에는 웃는다.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의 도는 혹은 나가 벼슬하고 혹은 물러나 집에 있으며, 혹은 침묵을 지키지만 혹은 크게 말한다.두 사람이 마음을 하나로 하면 그 날카로움이 쇠를 끊고, 마음을 하나로 하여 말하면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몹시 친밀한 사이를 금란지교(金蘭之交)라고 하는 것은 여기에서 나온 것이다.-출처:티스토리
역사
역사 이미지
Q.  옛말에 겉보리 서말만 있으면 처가살이 안한다는 말의 뜻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겉보리 서 말만 있으면 처가살이하랴 : 처가살이는 할 것이 못 됨을 이르는 말. 겉보리 단 거꾸로 묶은 것 같다 겉보리를 베서 단을 만들 때 거꾸로 묶어 놓으면 단이 허술해질 뿐만 아니라 풀어지기 쉽다는 뜻으로, 안정감이 없거나 어설프게 된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는 왜 불교를 멸시하였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유학을 국시로 하는 조선 사회에서 승려들은 부모와 임금을 버리고 출가하여 윤리를 멸시하는 존재로 낙인찍혔다. 국왕에 따라 불교를 신봉한 경우는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불교는 정책적으로 통제의 대상이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우금령이 반포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소를 도축해 고기로 사용하는 것을 엄격하게 금하였다. 불교국가였던 고 려와 달리 조선은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고려와 같이 모든 동물의 일괄적인 살생을 금하지는 않았으나 농업이 경제의 중심이었기 때문에 농작업에 필수적 인 축력을 제공하는 소는 도축을 엄격히 금지하였던 것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정조의 정책 중 탕평책에서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탕평(蕩平)’은 『서경(書經)』 「홍범편(洪範篇)」에 나온 말로, 정치는 당파를 초월한 군주가 중심이 되어 중립적이고 바르게 해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탕평책을 처음 주장한 사람은 박세채(朴世采, 1631~1695)이다. 박세채는 1680년(숙종 6) 경신환국 직후 노론과 소론의 분열이 시작될 무렵 중립적 입장에서 서인 전체를 다시 화합시키려고 노력했다. 그는 신하가 주도하는 정국을 군주가 주도하는 정국으로 바꾸어서 서인과 남인의 극한 갈등 상황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출처:위키백과
미술
미술 이미지
Q.  이슬람교 다니는 자는 돼지를 왜 안 먹는 이유가 먼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이슬람의 꾸란에 기록되길“ 너희에게 불법이 되는 것은 죽은 동물의 고기와 피와 돼지고기와 하나님의 이름으로 거룩하지 아니한 것뿐이다. 그러나 비상시에는 범법과 반역의 의도 없이 (그런 것을 소비하는 것은 범죄가 아니다). 하나님은 확실히 모든 것을 용서하시고 자비로우시다. ” — 16:115“ 나에게 계시된 것 중에서 썩은 고기와 부어진 피와 돼지 고기 외에는 먹고자 하는 자에게 금한 것이 없고 다 부정한 것을 찾지 못하노라 ” — 꾸란 알 안암 6:145
역사
역사 이미지
Q.  훈민정음 반대한 사람은 최만리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중국의 문자를 버리고 새로운 문자를 만든다는 것은 오랑캐나 할 짓이라며 반대의사로선봉에는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崔萬理)가 있었다. 최만리는 어떤 사람인가? 조선 초기 유교주의 국가 정립에 토대를 마련한 학문연구기관 집현전 출신이다. 그는 강원도 관찰사로 1년 나가있었던 것 말고는 그의 관직생활 25년간을 집현전에서만 오로지 근무해 부제학까지 오른 사람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명성황후가 정치적인 야망이 꽤 많았다고 하는데 어떤 인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열여섯 어린 나이에 왕비로 뽑혀 궁중에 들어온 민비는 권력의 욕망에 눈뜨면서 정치적 수완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가까운 친척이 없는 민비는 먼 친척들을 끌어 모았다. 민승호(이판.대제학), 민겸호(병.이판), 민규호(우의정), 민치구(공판), 민치상(예.형.병판) 등 일족이 민비의 비호 아래 차차 조정에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성년을 지나 왕권을 행사할 만한 나이가 된 고종은 민비의 손안에 있었다. 민비는 고종을 휘어잡고 대원군의 10년 철권정치에 불만이 많은 유림들을 부추겨 섭정중단과 왕권반환 여론을 일으켰다.
6816826836846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