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19 백신 접종완료 했는데 부스터샷 맞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화이자 2차 접종 후 5개월이 지나셨으면 부스터샷 접종 대상입니다.1. 현재 각종 국내외 연구에서 기본접종 완료 약 4~5개월 전후로 백신의 감염예방 효과 감소가 관찰된 것을 보고되었습니다.(국내) 의료진 대상 결합항체, 중화항체 검사에서 4개월 이후 항체가 감소 관찰(Vaccines, ‘21) (미국, 독일 등 6개국) 화이자백신 기본접종 완료 후 2개월 효능 96.2% → 4~6개월 후 83.7%(medRxiv, ’21) (이스라엘)의 연구에서는 추가접종 시 감염 예방효과가 11배, 위중증 예방효과가 20배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2. 기본접종 후 시간이지나면서 효과가 떨어지자, 추가접종, 즉 부스터샷을 맞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화이자백신 기본접종자 중 추가접종을 받은 경우 확진율 11.3배, 중증화율 19.5배 감소(NEJM, ’21), 기본접종 5개월 후 추가접종으로 입원예방 93%, 중증감염예방 92%, 사망예방 81% 효능이 확인 되었습니다.(Lancet, ‘21)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추가접종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추가접종의 이상반응은 기본접종과 유사하고, 연령별 또는 백신 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접종 후 문자 전송을 통한 건강상태 모니터링 결과, 3일차를 기준으로 기본접종보다 추가접종의 이상증상 응답률이 낮았습니다.출처 : 중앙방역대책본부
Q. 모더나는 왜 심장관련 부작용 확률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화이자, 모더나와 같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드물게 심근염·심낭염이 발생하는 기전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접종 뒤 여러 면역반응에 의해 연쇄적인 염증 반응이 활성화되고, 그 결과 전신적인 면역반응의 일환으로 심근염이나 심낭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사실 심근염은 백신보다는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심근 대사 장애, 고혈압 등과 류마티스 등의 전신성 질환이나 과도한 음주 등이 원인입니다. 백신 접종 후 국내에서 확인된 심근염과 심낭염 이상 반응은 163건이며 100만 명당 발생 빈도는 모더나 6.6건, 화이자 5.5건 등 0.001%에도 못 미칩니다. 반면 코로나 감염 환자는 4명 중 1명, 사망 환자는 절반 이상에게서 심근 손상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Q. 백신 맞고 더 아플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예상 가능한 국소반응으로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지지만 일부 접종자의 경우 1~2주 지속되기도 합니다.1주이상 지속되는 상황이시면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료를 받아볼 것을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