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김종훈 전문가
경희대학교
Q.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백신 재접종(부스터샷)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모든 백신이 2차까지 접종을 마치더라도 대략 6개월정도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져서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변이 바이러스 유입 시 부스터샷 접종자들이 더욱 면역적으로 잘 갖춰져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Q.  모더나 부스터샷 맞고나서 두통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모더나 부작용은 접종부위가 뻐근한 국소증상 열, 두통, 근육통 과 같은 전신증상 정도가 있습니다.보통 2~3일 뒤면 호전되어야 하는데, 2주가 지나도록 증상이 안좋으시면 병원에 가셔서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Q.  부스터샷 접종하고 복용하던 약 계속 먹어도 되아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일부 약을 제외하고는 기존에 복용하시던 약은 드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현재까지 심장병, 뇌질환 등 기존에 복용하는 약과 백신과의 상호작용이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다만 스테로이드제와 같이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중인 경우에는, 주치의 선생님과 상담 후 약을 조절하시고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상적으로 스테로이드제의 경우 백신 접종 전후로 일주일 간은 복용을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통풍약 중 급성 통풍 발작에 쓰이는 콜킨정도 백신 접종 시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콜킨정에 들어있는 콜키신 성분이 면역 세포들의 정상적인 세포 분열을 방해해 관절의 통증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 속에서 백신 접종 후 항체 생성 과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Q.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되어 백신 3차까지 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요즘 화제인 누 변이 바이러스는 아직 국내유입 보고는 없습니다. 다만 현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모든 백신이 2차까지 접종을 마치더라도 대략 6개월정도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져서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 예방효과를 높이고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의 줄이는 차원에서 3차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
Q.  코로나19 확진후 완치자도 부스터샷 접종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확진자도 부스터샷 접종합니다. 확진 이후, 특별히 권고되는 접종 기간은 없습니다. 다만 격리는 해제된 상태여야 하며, 몸 상태가 좀 회복이 된 상태에 맞으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다"면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하는 것은 치료 기간에 항체치료제나 혈장치료제와 같은 코로나19의 특이항체에 대한 치료제를 사용한 경우, 이 경우에는 백신접종까지 90일의 간격을 두어야 합니다.2. 확진자도 백신접종을 하면 항체가 생깁니다. 감염이 되면 항체가 생기긴하지만, 백신을 통해서 유도되는 면역반응과 자연감염을 통해서 유도되는 면역반응을 생각해 본다면, 백신을 통해서 유도되는 면역반응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1711721731741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