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김종훈 전문가
경희대학교
Q.  코로나 걸리고 감기까지 같이 걸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코로나19 바이러스와 독감 바이러스는 둘 다 호흡기 바이러스에 속하므로 접촉이나 비말 등을 통해 전염될 수 있고 감염 후 기침이나 발열 등 나타나는 증상이 유사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따라서 겨울철에는 가능하면 코로나 백신과 독감백신을 모두 접종하시는게 좋습니다.
Q.  변종이 계속 발생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코로나 같은 RNA 기반의 바이러스는 불안정 하여 변이가 잘 발생합니다. 또한 바이러스는 다른 생명체의 세포에서 기생하기 때문에 숙주의 성질에 맞게 자신을 바꾸는 능력이 발달 했으며 크기가 매우 작아서 자신의 유전자를 보호하는 기능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숙주의 유전자와 잘 섞이고 스스로 복제하는 과정에서 매우 빈번하게 오작동이 잘 일어나게 됩니다.바이러스가 세포를 감염시키면 수천 개의 자기 복제를 만들어내고 때때로 그 과정에서 오류를 만들어 내게 됩니다. 이러한 오류는 일반적으로 해롭지 않으며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지만, 때때로 이러한 유전적 변화는 바이러스가 더 전염성이 있고 쉽게 퍼지게 합니다.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증식하면서 사람에게 감염되기 쉬운 특성을 갖게 되는 것을 ‘변이‘ 라고 하며,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지속적으로 감염이 일어나면서 이런유전자 변이가 쌓이게 되면 사람 세포와의 친화성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를 ‘변종 바이러스’라고 부르게 됩니다.우리가 흔히 부르는 알파, 델타는 변이된 바이러스를 말합니다.
Q.  백신을 세번째 맞아도 안전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모든 백신이 2차까지 접종을 마치더라도 대략 6개월정도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져서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 예방효과를 높이고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의 줄이는 차원에서 3차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에 따르면 부스터샷 부작용에 대해 부작용의 빈도와 유형은 2차 접종 후 나타나는 것과 비슷했으며, 대부분 경미하거나 오래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Q.  코로나19 예방접종자 돌파감염율 궁궁하네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병청에 따르면 접종자 10만 명당 돌파감염 발생은 60대 119.9명, 70대 123.9명 그리고 80대 143.9명으로 고령자가 40대 이상 성인의 두 배에 달하고 있다도 합니다. 30대(134.3명)에서 돌파감염이 제일 높은 것은 접종 백신의 종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군인들이 많이 접종받은 얀센 백신은 266.5명(10만 접종자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99.1명, 화이자 백신 48.2명, 모더나 백신 4.6명으로 돌파감염이 생겼다고 합니다.
Q.  부스터샷으러 어떤게.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효과적인 측면에서는 모더나, 안전성 측면에서는 화이자가 좋아보입니다.미국 식품의약국(FDA) 등의 얀센 부스터 샷 허가 근거 자료 등에 따르면, 얀센 백신은 교차 접종을 할 때 모더나는 중화항체가 최대 76배 증가하고, 화이자는 부스터 샷을 접종했을 때 중화항체가 35배 증가한다고 합니다. 반면, 얀센 백신으로 부스터 샷을 시행하면 중화항체는 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효과면에서는 모더나가 좋아보이지만, 30대 미만에서 모더나 심근염 확률이 5배 높게 보고된 바 있어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30대 미만은 화이자만 맞도록 되어있습니다.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