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처방받은 약 유효기간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의약품의 유효기간은 약품의 주성분함량이 95~105%를 유지할 수 있는 통상적인 기간을 의미합니다.보통 의약품은 제품에 표시된것처럼 유효기간이 2~3년인 경우가 많으나, 병이나 ptp포장으로 된 용기를 개봉한순간 외부공기와 접촉하면서 유효기간은 달라집니다.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이면 용기에서 알약을 꺼내서 포장한 제품이므로 제품에 표시된 유효기간을 생각하면 안됩니다.한국병원약사회 '의료기관 내 개봉 의약품 관리 지침'에 따르면 경구용 약의 경우, 병에 많이 든 알약은 1년, 다량이 든 시럽 병은 6개월, 나눠 담긴 시럽 병은 1개월, 가루약은 제조한 날부터 6개월, 연고제도 6개월을 개봉 후 사용가능기간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위와 같은 기간을 참고하셔서 기간이 오래된 의약품일수록 효능이 떨어져있기 쉽기 때문에, 응급상황의 경우 유효기간 미상의 처방약을 복용하기보다는 병원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Q. 아이가 한번씩 두드러가 나요. 이럴 때 대처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혹시 비염이나 결막염 증상은 같이 동반된다면 말씀해주신 정보로는 계절성 알레르기일 확률이 클 것 같습니다. 이 병은 개인별로 알레르기 반응 물질에 따라 연중 특정 시기(특히 봄, 여름, 가을)에 발생합니다. 증상은 주로 코 점막에 나타나 알레르기성 비염을 일으키거나, 눈꺼풀 점막과 눈의 흰자위(결막)에 나타나 알레르기성 결막염,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봄에는 주로 나무에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이 발생하는데 오리나무, 자작나무의 꽃가루가 대표적입니다. 이런 물질에 반응하여 알러지가 생기는 것이라면 체질문제라고 할 수 있겠으나 자세한 검사는 병원에 방문하셔서 피부접촉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Q. 코로나19 백신은 몆종류나 있고 투여시 부작용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은 현재 국내 도입예정인 백신으로 바이러스벡터를 이용한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과 mRNA를 이용한 백신(화이자, 모더나) 이렇게 4개가 있습니다.현재 예방접종 후 부작용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접종부위 통증 등 국소적인 경증입니다. 열, 피로감, 근육통 등 전신적인 경증 또한 아래표와 같이 흔한 편입니다.해당백신은 투여하게 될시 본인이 선택하시면 됩니다.
Q. 약 복용할때 식후30분 꼭 지켜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대부분의 약은 식전 식후보다는 얼마나 규칙적인 간격으로 복용하느냐가 중요합니다. 하루 3번을 복용해야 하면 24시간을 1/3로 나눠서 8시간 간격으로 드셔야 몸안의 약물농도가 가장 적합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식후30분이라는 말은 환자분들의 이렇게 규칙적인 약복용을 유도하기 위해서 나온 복약안내라고 생각됩니다.cf) 다만 식후에 먹어야 되는 약이 몇종류 있는데 이는 약 흡수가 잘되기 하기 위해서 식후에 먹는게있고, 위장장애를 줄이기 위해 먹는 약이 있습니다식후에 약을 먹으면 음식이 위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 속쓰림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소염진통제(나프록센,이부프로펜,디클로페낙 성분), 무좀약(이트라코나졸 성분) 공복에 먹으면 위장장애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식후에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약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식후에 복용하는 약도 있습니다. 비만치료제(오르리스타트 성분)의 경우 복용목적이 섭취한 음식의 지방 성분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도록 도와주는것입니다. 이는효를 높이려기 위히 약을 밥 먹는 도중에 먹거나 음식물이 흡수되는 식후 1시간 이내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아세트아미노펜 복용량과 부작용에 대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세트아미노펜은 성인50kg 기준으로 1일 약 4000mg가 최고용량으로 알려져있습니다.아세트아미노펜은 간독성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약물입니다.우리몸은 약을 먹으면 이 약을 다른물질로 변화시키는데, 이를 대사과정이라고 합니다.아세트아미노펜은 우리몸에 들어오면 다양한 물질로 대사되는데, 이중에서 일부(5~15%)는 NAPQI라는 독성물질로 대사됩니다.이 NAPQI가 우리 간세포를 파괴시켜서 심하면 간부전까지 생겨 간이식을 해야 하는 상황까지 올 수 있습니다.참고로 아세트아미노펜이 간암과의 연관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출처: Associations of NSAID and paracetamol use with risk of primary liver cancer in the Clinical Practice Research Datalink,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877782116300807)
Q. 영양제 빈속에 먹으면 위가 상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영양제를 빈속에 먹고 위에 부담이 된 경우는 다음과 같이 3가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첫째, 산성을 띄는 비타민C를 공복에 복용한 경우입니다. 이 비타민C가 위장을 자극하여 위산을 더욱 분비시켜 아프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때문에 요즘은 중성비타민이 개발되기도 하였습니다.둘째, 지용성 비타민(A,D,E)이 장기간 많이 복용하신 경우입니다. 이들은 간과 지방세포에서 분해되고 저장되는데, 복용량이 많다면 간이 부담되어 속이 더부룩하거나 두통·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셋째, 캡슐제가 불어터지면서 위에 부담이 된경우입니다. 우리가 먹는 영양제중에 캡슐형태가 많은데 민감하신분은 이 캡슐제가 불어터지면서 위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부담을 느끼신다고 합니다. 너무 찬물보다는 따뜻한 물과 함께 드시면 부담이 덜 하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