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김종훈 전문가
경희대학교
Q.  고혈압 먹을때 조심해야할 음식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고혈압은 짜지 않게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과도하게 섭취한 소금의 성분(나트륨)은 고혈압의 원인이 됩니다. 소금 섭취류 혈액량이 늘어나 혈압을 상승시키기 때문입니다.볶음밥, 비빔밥, 초밥과 같이 간이 되어 있는 밥보다는 흰밥을 드시기 바랍니다. 국, 찌개 등 국물류는 가능한 최소한으로 마시기 바랍니다.인스턴트식품도 피하시기 바랍니다. 식품의 가공과정에는 많은 양의 나트륨이 들어가므로 가능한 가공식품은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Q.  아스트라제네카 1차 접종후 80 일이 지난후에 접종을 해도 효능에 문제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80일 지나서 2차 접종받는 것에 대해 최근 긍정적인 결론이 나온 상황입니다. 아직 코로나백신 효과는 계속해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 과정으로 확실한 결론은 없습니다만 12주 정도 지나고 2차 맞는 것에 대해서는 효과가 더 좋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영국 옥스퍼드대 등의 연구진이 지난 2월 의학학술지 ‘랜싯(The Lancet)’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6주 미만의 간격을 두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2차 접종을 한 사람들의 예방 효과는 55.1% 정도에 그친 반면 12주 이상 간격을 두고 접종한 경우 예방 효과가 81.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는 영국, 브라질, 남아프리카의 18∼55세 성인 17만178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데이터의 재분석 결과입니다.연구진은 논문에서 "백신 공급이 부족할 때 12주 간격을 두고 1·2차 접종을 하는 것이 가장 빠르게, 그리고 가장 많은 사람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국내 보건당국도 최근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1·2차 접종 간격을 현행 10주에서 12주로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출처 : Lancet, Single-dose administra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timing of the booster dose on immunogenicity and efficacy of ChAdOx1 nCoV-19 (AZD1222) vaccine: a pooled analysis of four randomised trials(’21.2.19)
Q.  약 물과 삼키는 방법과 씹어먹는 방법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적으론 약은 물로 삼켜 복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약은 위장과 소장에서 적절한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흡수되도록 코팅이 돼있기 때문입니다.약을 씹게 되면 코팅 부분이 손상되고 그 순간 내용물이 쏟아져 나옵니다. 흡수가 빨라질 수 있겠지만 대신 원하는 시간 동안 충분한 농도를 유지하는 것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용법대로 물로 삼켜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위 사항은 일반적인 나정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소장에서 흡수되기 위한 장용정은 씹어먹을 경우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빠른 시간안에 약효과를 봐야 하는 긴박한 경우 씹어먹는 사례가 있습니다만 안정적인 복용방법은 아니기 때문에 웬만하면 약은 물과 복용하는것을 권장드립니다.
Q.  식도염에 걸렸을때 무슨약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역류성식도염 치료약으로 양성자펌프 억제제(PPI, 프로톤펌프 억제제)를 처방합니다.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목적은 재발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특히 약물치료와 생활습관교정이 중요합니다. 치료 약물들은 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없애는 것이 아니고,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식도염을 치료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약을 끊으면 다시 위산 분비가 증가하여 식도염이 재발합니다. 그래서 재발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의 개선이 꼭 필요합니다. ① 과식,야식을 피합니다. 식사 후 바로 드러눕지 않습니다.② 기름진 음식, 술, 담배, 커피, 홍차, 박하, 초콜릿 등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들은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낮추기 때문에 병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③ 식도 점막을 직접 자극하는 음식인 신 과일 주스, 토마토,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등)를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④ 비만인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합니다.⑤ 몸에 끼는 옷을 입지않도록 합니다. 옷이 몸에 끼면 복압이 증가되서 역류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식전 식후 약복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부 약을 제외하고는 공복에 약을 먹어도 상관없습니다. 규칙적으로 일정한 시간에 복용하는것이 좋습니다. 약물농도가 가장 효과적으로 존재하기 위해서 인데요 규칙적인 복용을 강조하고자 식후 30분 복약이 생긴것으로 추정됩니다.일부 식후에 먹어야 되는 약은 약 종류에 따라서 약 흡수가 잘되기 하기 위해서 식후에 먹는게있고, 위장장애를 줄이기 위해 먹는 약이 있습니다식후에 약을 먹으면 음식이 위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 속쓰림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소염진통제(나프록센,이부프로펜,디클로페낙 성분), 무좀약(이트라코나졸 성분) 공복에 먹으면 위장장애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식후에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약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식후에 복용하는 약도 있습니다. 비만치료제(오르리스타트 성분)의 경우 복용목적이 섭취한 음식의 지방 성분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도록 도와주는것입니다. 약효를 높이기 위해 약을 밥 먹는 도중에 먹거나 음식물이 흡수되는 식후 1시간 이내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962972982993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