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처방받은 약 유효기간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의약품의 유효기간은 약품의 주성분함량이 95~105%를 유지할 수 있는 통상적인 기간을 의미합니다.보통 의약품은 제품에 표시된것처럼 유효기간이 2~3년인 경우가 많으나, 병이나 ptp포장으로 된 용기를 개봉한순간 외부공기와 접촉하면서 유효기간은 달라집니다.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이면 용기에서 알약을 꺼내서 포장한 제품이므로 제품에 표시된 유효기간을 생각하면 안됩니다.한국병원약사회 '의료기관 내 개봉 의약품 관리 지침'에 따르면 경구용 약의 경우, 병에 많이 든 알약은 1년, 다량이 든 시럽 병은 6개월, 나눠 담긴 시럽 병은 1개월, 가루약은 제조한 날부터 6개월, 연고제도 6개월을 개봉 후 사용가능기간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위와 같은 기간을 참고하셔서 기간이 오래된 의약품일수록 효능이 떨어져있기 쉽기 때문에, 응급상황의 경우 유효기간 미상의 처방약을 복용하기보다는 병원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Q. 아이가 한번씩 두드러가 나요. 이럴 때 대처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혹시 비염이나 결막염 증상은 같이 동반된다면 말씀해주신 정보로는 계절성 알레르기일 확률이 클 것 같습니다. 이 병은 개인별로 알레르기 반응 물질에 따라 연중 특정 시기(특히 봄, 여름, 가을)에 발생합니다. 증상은 주로 코 점막에 나타나 알레르기성 비염을 일으키거나, 눈꺼풀 점막과 눈의 흰자위(결막)에 나타나 알레르기성 결막염,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봄에는 주로 나무에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이 발생하는데 오리나무, 자작나무의 꽃가루가 대표적입니다. 이런 물질에 반응하여 알러지가 생기는 것이라면 체질문제라고 할 수 있겠으나 자세한 검사는 병원에 방문하셔서 피부접촉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Q. 코로나19 백신은 몆종류나 있고 투여시 부작용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은 현재 국내 도입예정인 백신으로 바이러스벡터를 이용한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과 mRNA를 이용한 백신(화이자, 모더나) 이렇게 4개가 있습니다.현재 예방접종 후 부작용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접종부위 통증 등 국소적인 경증입니다. 열, 피로감, 근육통 등 전신적인 경증 또한 아래표와 같이 흔한 편입니다.해당백신은 투여하게 될시 본인이 선택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