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생후 한달 조금 넘은 아기가 잠을 자려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보호자가 도와주세요.먼저 아이방 환경이 중요합니다. 적정 온/ 습도를 유지하고는 계신가요 ?온도는 약 20 ~ 30도 사이, 아이의 상태를 계속 살펴보면서 온도를 조절하시며,습도는 약 50 ~ 60% 사이를 유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또, 보호자가 항상 옆에 있다는 것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쉽게 잠에 들 수 있도록 토닥여 주거나 안아주는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신생아 잠을 푹 못잡니다...ㅠㅠ 조언좀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신생아 때는 얕은 수면을 반복하여 자다 깨다 하는 것이 일상적입니다.물론, 잘 자고 얌전한 아이도 있지만 반대로 질문자님 아이처럼 잠을 쉽게 들지 못하는 아이들도 더러 있구요.아이가 어딘가 불편해서 잘 못자는 것은 아닌지 환경 점검이 가장 먼저일 것으로 보이고,어떤 이유로 불편한 것인지 확인이 된다면 그 원인을 해소할 필요가 있어요.다음으로, 아이의 타고난 기질, 성향 때문에 그런 것일 수도 있구요.아직 생후 4~5개월까지만 버텨내시면 조금 더 수월한 육아를 하실 수 있을 겁니다.만약 그럼에도 아이 건강이 걱정된다면, 전문의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Q. 24개월 아이의 언어지연..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언어지연, 언어발달의 경우는 개인차, 성별 차가 큰 편입니다.허나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점은 아직 질문자님의 아이가 어리고, 언어이해력, 수용언어가 뛰어난 편이라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24개월 이라고 하셨는데, 해당 시기 이후 어느 날 말이 트기 시작하면 유창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만약에 24개월이 되도록 의미있는 말을 단 한마디도 못한다면정신지체, 발달성 언어장애, 자폐증과 같은 발달장애를 앓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할 수도 있겠으나그건 아닌 것 같아서 다행이라고 보여집니다. ^^올바른 교육을 통해 아이 행동 개선에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Q. 어려워진 가정경제 상황을 자녀들에게 알리는 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모든 것을 다 자녀에게 오픈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만,아이들이 부모의 경제적 상황을 어느정도 인지하고, 본인의 소비 패턴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은 필요해 보입니다.물론, 사실을 들었을 때 아이들은 다소 혼란스러울 수도 있겠습니다만,아이들의 눈 높이는 어느정도 고려하셔서 소비 패턴을 조절할 수 있도럭 해 주세요.
Q. 초등 고학년 토익RC 점수 올리는 방법은 단어 암기가 중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문법이랑 단어 암기, 2가지만 해서 고득점을 이뤄낼 수는 없습니다.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영어공부의 기초이자 핵심이며, 공부를 하나도 하지 않고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는 자녀분의 역량에 찬사를 드립니다. ^^가급적, 단어암기와 문법도 병행하셔서 더 좋은 성적을 이뤄내도록 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