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낮잠이 줄어들었는디 괜찮나요ㅡ
돌 조금 지났는디 아이가 낮잠을 짧게 자고 일어나서 바로 바로 놀이하느라 바쁜데 억지로 그렇다고 재우면 안되겠죠? 그래도 저녁에는 잘자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낮잠에 관한 문의 주셨는데요
물론 평균적으로 월령, 연령별로 몇 번을 자고 몇 시간을 자는지 수치가 있지만
말 그래도 평균일 뿐이고 이 수치에서 차이가 있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가 낮에 자고 일어나서 바로 놀이도 잘하고 밤에도 잘 잔다고 하시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단, 놀이할 때 칭얼거리고 피곤해하는 것 같다면 수면 패턴을 다시 잡으셔야겠지만요.
낮잠이 짧아져서 힘드시겠지만 밤잠이 길어지는 것이니 걱정마시고 육아 화이팅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낮잠을 잘안자더라도 크게 문제될것은 없으나
밤잠까지 총 수면이 12시간정도는 넘는것이 좋으니
수면시간을 체크해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전체 권장 수면 시간은 어떤 편인가요 ?
밤 잠에 잘 드는 편이라면, 낮잠이 조금 줄었다고 하여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될 것으로 보여요.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저녁에 잘 잔다고 한다면
굳이 억지로 재울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졸려하고 보채고 한다면
그때 재워도 늦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낮잠은 보약이란 말이 있듯이 아이가 성장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낮에 아이들이 활동할 때는 신나서 졸린 줄도 몰라서 아기 스스로 조절이 안되니 보호자가 체력 조절을 해 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편안하게 잘 수 있도록 조용한 클래식 음악을 틀어 보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2개월 아기는 자율성이 정착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므로 고집이 세지고 독립심이 커지며 밤에 잠을 자려하지 않는다거나 자다가 깨는 일이 많습니다. 이 시기는 잘못된 수면습관이 문제가 됩니다. 특히 낮잠을 거르는 것이 수면 패턴을 망가뜨리는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자아가 발달하여 낮잠을 자지 않겠다고 반항할 수 있으며 자는 것보다 나가서 노는 것을 더 좋아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이유로든 아이들은 낮잠을 거르면 결국 피로를 느끼게 되어 있습니다. 그 피로에 대한 반응으로 각성상태가 고조되고 이후의 낮잠을 잘 수 없고 밤잠을 이루지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10-12개월 사이의 아기들은 오후에 신체 활동이 활발하고 낮잠을 많이 거르기 때문에 일찍 재우는 것이 좋습니다. 취침시간이 너무 늦으면 낮잠을 걸렀을 때와 똑같이 수면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느 정도 신체 활동이 가능해진 아이는 자꾸 움직이려고 합니다.
그래서 낮잠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하루에 13시간에서 14시간 정도 잔다면 무방합니다.
낮잠을 2시간 정도는 자주어야 아이가 원할한 성장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전체적인 수면시간을 체크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