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관람객은 박물관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개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하나를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예술감상의 목적은 사실 개인의 정서함량, 예술성 획득, 미적 감정을 획득하는 것 입니다. 하지만 이는 개인별로 차이가 너무 큽니다. 미술은 다른 영화나 문학과 다르게 감동을 느끼게 위한 선지식이 많이 필요한 분야이기 때문입니다.단순히 동일하게 그렸다, 예쁘다, 화려하다, 눈이 즐겁다 라는 경험은 할 수 있지만 이것이 개인에게 어떤 감정을 불러일으키는지는 통제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예술 작품의 가치가 단순히 예쁘다, 화려하다, 눈이 즐겁다로 판단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미술사에 어떠한 맥락을 차지하는지 어떤 역할을 했는지 등 진정한 의미의 감상을 하는 관람객들도 존재하고 실제 미술관에서의 기획의도는 조금더 깊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Q. 미술 시장의 변화는 박물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영향을 주지 않았습니다.온라인 박물관, 메타버스, NFT 등 은 신선하게 다가오긴 합니다. 하지만 기존 미술계와 기존 미술시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습니다. 제가 단언할 수 있는건 기존 미술계라고 할 수 있는 미술관과 미술시장이 할 수 있는 소더비, 크리스티 같은 경매시장에 온라인 박물관, 메타버스, NFT 같은 것들은 전혀 전시되거나 경매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현재 미술관에서 근무중이지만 온라인 홍보 자체에는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그 자체도 인스타그램과 같은 플랫폼에 직접 홍보하기 보다 방문한 사람들이 경험을 올려주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포토존과 같은 것을 운영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Q. 화학의 종류는 왜 이렇게 다양하게 존재 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화학작용은 다양한 방면에 사용되고 적용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유기화학, 생화학, 물리 화학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물질을 크게 유기물 / 무기물로 나누었을 때 유기물에 대한 화학반응을 공부하는 것이 유기화학입니다.그리고 생물계 내부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반응 등을 공부하는 것이 생화학 이고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화학반응들을 공부하는 것이 물리화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학교에서는 물리와 화학을 분리하여 기초학문을 공부하지만 대학이상 가게 되면 이들이 영향을 미쳐 실생활에서 어떻게 적용이 되는 지 조금더 공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심화적인 학문으로 만들어진 것이 바로 유기화학, 생화학, 물리화학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