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화학
화학 이미지
Q.  에어프라이기에 세정제가 튀었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괜찮습니다.실제로 세정재는 생화화학제품으로 구분되어 유해물질 포함 여부 등 평가를 받고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그냥 일정량 마셔도 사람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에어프라이기 내부의 열선에 튀었을 경우 열에의 기화되게 되는데 이 기화된 물질이 에어프라이기 내부의 음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수도 있지만 기화된 상태로 기체가 열을 받게 되면 대류현상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갔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음식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을 거라 신체에는 문제가 없습니다.그리고 사용상에도 문제가 없으니 편하게 쓰시면 됩니다. 굳이 세척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그그그 망원경 같은건데 돌리면 막 여러개로 보이는 그거 뭔가염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만화경 이라고 합니다. 칼레이도스코프 라고 부르는 장치로써 통을 내부에 거울이 붙어 있고 통의 사이사이에 다양한 색을 가진 색유리 등을 끼워넣어서 만들어지는 장치로써 실제로 보게 되면 환상적인 풍경이 보이게 됩니다. 외부의 빛이 들어오게되면서 내부의 거울에 반사되면서 색을 가진 대상에 또 반사되어 눈에 보이게 되는데 마치 그풍경이 현실에선 볼수 없는 신비한 모양을 만들어주는 장치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20세기 미술에서 초현실주의와 심리학은 어떤 연관성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초현실주의는 세계 1차대전 이후에 유행했던 미술 사조로 이성을 통해 만들어낸 과학으로 인류는 발전하고 편해졌지만 그로 인한 대량살상 무기가 오히려 더 많은 사람을 죽음으로 이르게 함으로써 이성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 바탕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래서 이성을 너머 비현실적이고 현실을 초월한 감각적인 부분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심리학 이론 들이 배경이 되어 초현실주의라는 미술사조가 만들어 지게 됩니다. 미술 뿐 아니라 문학에서도 발전을 하였습니다.인간이 의도적으로 의식하고 있는 영역이 아닌 그 너머 무의식의 영역을 탐구한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은 당시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무의식이 영역이 증명되었기에 이를 예술가들은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던 것입니다. 그래서 그러한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마치 판타지나 지옥의 풍경 같은 것들을 상상력을 발휘하여 그리기 시작하였습니다. 의식이 개입을 하면 되지 않기 때문에 무의식을 통해 그리는 자동기술법이란 것을 만들어내어 그림을 그리기도 하였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LPG와 LNG는 완전 다른 가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LNG 와 LPG 는 둘다 기체 이지만 어디서 만들어졌는지가 다릅니다. LNG 는 액화 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고 LPG는 액화 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의 약자입니다. LNG 는 천연가스로부터 얻어지고 LPG 는 원유와 같은 기름으로 부터 얻어지는 가스 입니다. LNG 는 천연가스인데 주성분은 메탄 가스 입니다. LPG 는 원유에서 부터 얻어지는데 원유를 끓여서 끓는 점의 차이로 기체를 여러가지로 분리하게 되는데 그중의 하나가 바로 LPG 입니다. LPG 의 주성분은 프로판과 부탄 가스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두가지 중 LPG 가 LNG 보다 무거운 가스이기 때문에 공기중에 누출될 경우 바닥으로 깔리게 되어 환기가 잘 되지 않아 쉽게 가스 중독에 빠지게 될 수 있습니다. LNG 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창문만 열어놔도 쉽게 환기가 되고 가볍다 보니 쉽게 고여 있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가스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LNG버스와 CNG버스는 뭐가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사실 같은 가스라고 보셔도 됩니다. 보통 LNG 와 LPG 는 쉽게 구분이 됩니다. LNG는 liquefied natural gas 액화 천연가스 이고 LPG 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 석유가스 입니다. 둘다 어디서 추출했는지에 따라 구분이 됩니다. 하지만 LNG 와 CNG 는 둘다 천연가스로 부터 얻어진 가스 입니다. LNG 는 저온에서 천연가스를 냉각시켜서 사용하고 CNG 는 Compressed natrual gas 의 약자로 압축 천연가스 로 천연가스를 압력을 통해 압축해서 기체 상태로 사용합니다.. LNG 는 액체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기화하여 추가로 더 압축하면 CNG 가 되는데 압축을 하게되면 액체상태의 LNG 보다 3배까지 늘어나게 됩니다. 하지만 LNG 는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차에 LNG 를 저온으로 액화시킨상태로 사용하기 위한 냉각기가 필요하지만 CNG 는 냉각시킬 필요가 없이 기체상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초저온탱그가 필요없으므로 차량 가격이 저렴하고 유지비가 적게 됩니다.하지만 동일한 양을 주입했을 때 LNG 가 훨씬 먼거리를 갈 수 있으므로 대형 버스나 트럭을 LNG 를 많이 사용하고 마을버스나 일반 버스들은 CNG 를 사용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어떤 고가의 미술작품의 진위여부는 어떻게 판별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감정은 사실 여러가지 단계를 거치기 마련입니다. 사실 이러한 진위여부를 파악하는 방법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한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안목을 통한 진위 여부 입니다.회화라고 한다면 작가 특유의 그림체나 재료의 종류, 그리고 그리는 습관, 형식 등 학습을 통해 알게된 정보를 바탕으로 안목감정을 하게 됩니다. 이렇다보니 여기에서 오류가 발생하니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합하여 주관을 합하여 객관을 만들어서 진위를 판정하게 됩니다.반면이 이러한 단점때문에 여러가지 문제도 발생합니다. 자칭 전문가들의 평가로 가짜가 진짜가 되는 경우도 허다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안목감정 외에 작가 직접 만든 전작 도록이라고 하여 작가가 만든 모든 작품의 리스트가 있는 전작 도록이 있다면 굳이 전문가의 안목 감정없이도 전작도록만 보고도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해외에서는 특히나 프랑스나 미국 같은 곳에서는 과학을 활용하여 감정을 합니다. 진짜라고 판단된 작품을 기계적으로 분석하여 작품에 쓰인 염료를 탄소연대 측정을 하여 탄소의 반감기를 활용하여 염료의 사용시기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재료의 종류를 기기로 분석하여 어떤 성질을 가졌는지 기준을 잡고 가품을 감정합니다.실제로 이것이 훨씬 과학적인 증명방법이라 하겠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한국에서는 과학적 감정보단 안목감정이 우선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유기물과 무기물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유기물과 무기물을 구분하는 방법이 여러가지 입니다. 생명을 가진 것이 유기물, 없는 것은 무기물 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화학분야에서는 정확하게 정의를 하고 있습니다.그 정의는 바로 탄소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화학물질은 전부 유기물이고 그외의 물질은 무기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c 탄소가 포함되어 있어도 무기물로 구분되는 예외도 존재하긴 합니다.예외적인 탄소화합물이 있는데 CO 나 CO2 는 C 가 붙어 있음에도 무기물 입니다. 또한 C 로만 이루어진 다이아몬드나 흑연 역시도 무기물로 구분됩니다. 그래서 탄소화합물 중에서도 Co 나 CO2 같은 저분자는 제외한 고분자 화학물질들을 유기물로 구분 합니다. 그외에 탄소가 들어가지 않은 모든 물질은 무기물이라고 정의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유기화학이라고 하는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유기화학은 화학 분야 중에서 유기물에 대한 내용을 배우는 학문입니다.물질은 크게 유기물 / 무기물로 구분됩니다. 유기물 무기물을 구분하는 기준도 사실 여러가지가 있지만 화학에서는 유기물은 탄소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화학물질이라고 하고 그외의 물질을 무기물이라고 합니다.이렇게 탄소를 중심으로한 화학물에 대한 구조, 성질, 특성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학문을 유기화학이라고 합니다. 생명체와 관련된 생화학도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입체주의(Cubism)의 아프리카 조각 예술이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입체주의, 큐비즘을 만든 사람은 피카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입체파라 불리는 분야를 개척했던것은 피카소와 함께 조르주 브라크도 있습니다. 이 두사람이 서로 그림을 그리고 이름을 바꿔서 화랑에게 판매를 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을 정도 입니다피카소가 유명해지게 된것이 바로 이 입체주의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르네상스 이내로 원근법이라는 대원칙, 미술에 있어서 성경과도 같은 원근법을 제대로 파괴한 것이기 때문 입니다.피카소가 원근법을 파괴하여 두눈으로 보이는데로 그리게 된 것이 바로 일그러진 얼굴 같은 다양한 각도를 가진 초상화들인데 여기에 영향을 미쳤던 것들 중 가장 큰 것이 바로 아프리카의 조각상 이었습니다.위에서 언급했던 것 같이 미술사는 유럽이 중심이었기에 원근법을 벗어난 작품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아프리카와 같은 제3국의 미술은 미술사의 영향을 받지 않은 자유분방함이 있었기에 표현의 제약이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무의식적으로 원근법을 사용했던 서양사람들에게 제3국의 아프리카 조각들이 주는 영향을 엄청난 충격을 주었습니다있는 그대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보이는데로 그린다는것, 표현한다는 것을 알게되고 난 후 피카소는 그러한 조각들을 수집하기 시작하였고 마침내 원근법을 깨뜨리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천재로 불리우는 것 이지요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비잔틴 미술과 르네상스 미술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비잔틴 양식과 르네상스 양식은 건축의 모양으로 구분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건축 뿐 아니라 다양한 생활양식, 문화, 예술에 영향을 주는 것은 당시 사람들의 생각과 태도의 변화를 통해 나타납니다. 중세시대는 문화적으로 보았을 때는 종교의 지배적 영향 때문에 암흑기라도 부를정도로 개인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개별적 이성이 발달하지 못하였습니다.사람 중심보단 신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사람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개개인의 자아가 발현되지 않아 암흑기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중세 이후 이성의 발달로 인해 과학이 발달하고 르네상스가 도래함에 따라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에서 다양한 양식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습니다.르네상스 이전의 시기가 비잔틴 시기 였습니다 크게 로마제국이었던 4세기 부터 14세기 까지 천년가까이 이어져왔던 양식이었습니다. 르네상스 양식의 경우 14세기 부터 17세기까지 지어졌습니다.비잔틴 양식과 르네상스 양식을 정확하게 칼로 잘라 구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비잔틴 양식이 르네상스 양식에 영향을 주었기에 서로 닮은점이 차이점보다 크기 때문입니다.비잔틴 양식 이후에도 엄밀하게 구분하면 로마네스크-> 고딕 이후에 르네상스 양식이 도래하는데 사실 르네상스 양식 자체가 과거로의 회기라는 취지를 갖고 있기에 유사점이 더 많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511521531541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