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화학
화학 이미지
Q.  전해질이란 무엇이며 우리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알고계신데로 이온음료는 물에 이온이라 불리는 물질들이 녹아있는 음료수 입니다. 이러한 이온들을 전해질 이라고 하는데 전해질은 물에 녹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되어 전기를 흐를 수 있게 만드는 물질을 말합니다. 그래서 이온음료 뿐 아니라 이러한 전해질은 배터리에서도 사용됩니다.전해질 음료의 전해질은 신체내부의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하를 운반시켜 주는 물질들로써 여러 무기질 들과 염화나트륨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해질은 운동 등으로 소모된 수분 뿐 아니라 신체내부의 염분이 빠져나간 것을 액체의 형태로 빠르게 보충해 줌으로써 신체의 탈수증상을 막아주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물방울이 형성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물방울은 기체가 액체화가 되었을 때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를 기체 주변의 온도가 떨어져서 물분자간의 거리가 가까워져 지는 응결과정을 통해 액화가 되어 만들어 집니다.응결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평소 기체상태의 물분자는 거리가 멀어서 쉽게 만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비가온 뒤나 호수 주변처럼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는 기체 분자간의 거리가 가까워서 만나기가 쉽게 됩니다. 그리고 온도가 어제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져야지 분자간의 응결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온도가 높게 되면 분자들이 에너지를 얻어 활동성이 높아져서 응결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렇게 물분자의 밀도가 높고 주변의 온도가 낮아서 기체의 수증기가 액체의 물방울로 될때의 온도를 이슬점이라고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태극기를 그리기 쉬운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참 한국 사람들 중에서 태극기를 제대로 그리는 사람이 몇명이나 될지 궁금합니다.하지만 이런 질문의 해주시고 저도 덕분에 오랜만에 태극기를 다시 그려 보았습니다.크게 중앙의 태극 무늬와 주변의 4개의 괘가 있는데 크기와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외우기가 참 어렵습니다.일단 중앙의 태극 무늬는 위쪽이 붉고 아래가 파란색입니다. 이는 태양은 위에 있으니 빨강고 바다는 아래에 있으니 파랗다라고 외우시면 됩니다.4개의 괘의 경우 건곤 이감 으로 외우고 계실텐데 왼쪽을 1번이라고 했을 경우 1, 4, 3, 2 의 순서로 건곤이감 이기 때문에 사실 이것만 가지고는 그림을 그리기가 어렵습니다.일단 1번의 건이 3개의 배열이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갯수가 3,4,5,6 개로 하나씩 올라가게 되는데 위치로 1->3->2->4 순의로 1개씩 괘가 추가 됩니다.이 순서는 태극의 모양이 위에서 아래로 올라갔다 내려오는 것에 맞춰서 3개 4개 5개 6개 로 그려진다고 생각하시면 외우시기가 쉽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화학공학은 무엇을 연구하고, 산업에 어떻게 응용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화학공학은 화학과와 많이들 헷갈려 하십니다. 쉽게 설명해 드리면 화학과는 순수과학의 하나로 분류하여 화학에 대한 처음부터 끝까지 공부를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화학공학은 그러한 화학을 기초하여 공학에 사용할 수 있게 실용적인 부분을 추가로 더 배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이는 대학교의 커리큘럼을 보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서울대 화학과의 커리큐럼을 예로 들어드리겠습니다.생화학실험유기화학 1유기화학 2물리화학 1물리화학 2고분자합성물리화학 3물리유기화학개론기초 생화학대사생화학물리분석실험유기무기실험나노소재화학기기분석화학연구실험화학연구실험분자생화학양자화학분자설계 및 합성계산화학화학생물학입문고분자화학개론현대화학세미나무기화학 1: 구조와 결합무기화학 2: 반응과 메커니즘재료화학: 설계 및 응용화학과 AI분석화학서울대 화학공학과의 커리큘럼 입니다.1학년001500    *화학생물공학의 이해 2학년458.201     물리화학 1 458.202     *물리화학 2458.203     공학생물      458.206     화학생물공학기초실험458.204     유기화학 1 458.301     유기화학 2458.206     화학생물공학기초실험 M1587.000200   응용생화학 1458.309A   **분석화학 3학년458.303     반응공학 1 458.304     열 및 물질전달458.305     공정유체역학 458.306     화학생물합성실험458.310      화공열역학 458.307     *화학생물공정실험458.312      고분자화학 458.308     **공정제어 및 설계M1587.000100   **응용생화학 2 458.311A   무기 및 재료화학M1587.000400   공학기술과 경영 458.407     분리공정 458.410     분자생물공학4학년400.307      양자역학의 기초 458.402      반응공학 2458.306     *화학생물합성실험 458.403      유기정밀화학458.307     *화학생물공정실험 458.412      화공전산응용458.401      공정 및 제품설계 458.414A    기기분석458.404      촉매개론 M0000.006400    세포생물공학458.405      환경공학개론 M1587.001200    화학생물공학을 위한 인공지능458.409      **전기화학 M1587.001300    환경화학생물공학458.411      고분자물성 458.423       ***화학산업경영458.413      생물화학공학 458.424A    창의연구M1587.001400   반도체 소재 및 공정 400.313      공학지식의 실무응용458.421      ***화학생물공학세미나 458.424A    창의연구 위의 커리큘럼을 보시면 조금더 눈에 들어오실거라 생각됩니다. 화학과의 경우 순수화학을 깊게 공부하기 위해 유기화학, 물리화학, 생화학 등 실험을 함께 공부함을 알 수 있고 화학공학과의 경우 순수학문은 2학년 때 배우고 3학년때 부터는 화학을 활용하여 공학적으로 어떻게 사용되어 지는지 조금더 실용적인 열역학이나 유체역학, 반응공학 등을 공부하여 수학과 물리 등을 추가적으로 공부를 하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화학 조미료는 어떠한 화학 물질로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조미료는 한자 뜻 그대로 調味料 조절할 조와 맛 미, 헤아릴 요 자를 써서 만든 단어로 써 음식의 맛을 조절하는 재료를 말합니다.조미료는 아시다시피 천연에서 만들어지는 천연조미료와 인간이 합성을 통해 만들어내는 인공 조미료로 나뉩니다.화학조미료의 경우 크게 3가지 정도로 나뉠 수 있습니다.MSG, 구아닐산 나트륨, 이노신산 나트륨 이 있습니다.MSG 는 너무 유명한 글루타민산 나트륨 입니다. 거의 모든 음식에 들어간다고 할정도로 음식에 풍미를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감칠맛을 더해준다고 하며 향도 좋게 만들어 줍니다. 일본의 화학자 키쿠나에 이케다가 1908년 만들었고 해조류 중 다시마에서 특정 성분을 추출하여 그와 동일하게 합성을 하여 만든 맛입니다.단만, 쓴만, 신맛, 짠맛 이라는 4개의 맛 이외에 감칠맛이라는 제 5의 맛을 찾아낸 것으로써 사실 과학적으로 대발견 이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나이대 상관없이 흰머리가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흰머리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의 척도 이기도 하지만 젊은 사람중에도 흰머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는 실제로 머리카락의 색깔은 흰색인데 멜라닌 색소에 의해 검정색으로 색이 입혀서 나오기 때문에 검정색 머리가 나오는 것입니다. 흰머리가 난다는 것은 이러한 검정색을 만드는 멜라닌 색소가 사라지게 되면 흰머리가 나오게 됩니다. 이는 노화일 수도 있고 질병일 수도 있으며 스트레스 일 수도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도시가스 보일러를 사용중인데 겨울철 가스요금이 많이 나와요. 가스비를 절약하는 방법을 알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이번 겨울 특히나 추워서 가스비와 같은 난방비의 급증이 예상됩니다.가정집인지 아파트인지에 따라 답변이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검색을 해보면 여러가지 방법이 나오는데 제가 실행해보고 확실히 효과를 얻었던 방법만 답변을 드리겠습니다.가스비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당연하겠지만 가스 사용을 줄여야지 비용이 줄어듭니다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집안에서 외부의 바람이 들어오는, 즉 외풍을 제대로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겨울철의 경우 특히나 실내외 공기차가 최대 40도 이상 날 수 있기 때문에 외기에 의해 실내의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방풍지나 뾱뾱이, 그리고 창문전체를 비닐로 막기 등 외기를 확실히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또한 커튼 등을 사용하여 단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로 단열은 커튼과 같은 천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커튼과 벽 사이에 있는 공기층으로 차단을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추울 때 옷을 겹겹히 많이 입으라는 것이 그러한 이유 입니다.또한 의외로 겨울철에 실내 습도를 신경쓰지 않고 온도만 신경 쓰시는데 습도도 40% 이상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습도가 낮으면 감기도 걸리기 쉽지만 습도가 높아야 만들어진 열기가 잘 전달되어서 동일한 온도라도 습도가 높으면 훨씬 집이 따뜻해 집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침묵의 장기라고 불리는 간은 우리 몸에 화학공장이라고 하던데, 구체적으로 무슨 일을 하는 기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화학보단 사실 의학쪽 전문가 님들이 전문적인 답변을 해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수준에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간은 신체 장기중 가장 큰 장기 이고 무게는 대략 1.5 kg 정도 됩니다. 크기가 큰 만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화학공장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대표적으로 아시는데로 해독작용을 통해 알콜 뿐 아니라 신체에 들어오는 독성물질들을 분해하여 소변과 대변으로 배출 할 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알콜중독처럼 지속적으로 유독물질이 들어오게 되면 간의 처리능력을 초과하게 되어 간의 해독능력이 떨어져 간경변과 같은 질병에 걸리게 됩니다.또한 신체의 에너지원을 생성하고 순환시켜 줍니다. 해독역할을 하는 것 처럼 신체에 들어온 물질 중 유해한것은 배출하고 유익한 것들은 분리하고 합성하여 신체 곳곳으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산가측정종이로 후라이드치킨 검사하기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불가능 합니다.산가측정 종이, 산가측정 페이퍼는 기름의 산패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 입니다. 실제로 측정을 할때 상온의 기름이 아닌 달군 기름에 넣어서 산패 측정을 하게 됩니다. 실제로 기름의 온도가 대략 200도 일때 산패 측정 종이를 사용하여 측정을 합니다. 최초상태가 파란색인데 이것이 노란색으로 변하는정도에 따라 산패가 많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합니다 하지만 배달된 치킨의 기름을 측정하여도 온도가 낮고 튀김 중에 사용한 기름 뿐 아니라 닭 자체의 기름도 나오기 때문에 측정이 되지도 않을 뿐더러 치킨 가게의 튀김용 기름의 오일과는 성분이 틀립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쇠냄새가 느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금속맛, 쇠맛 이라고 하는 것은 음식에서 느껴지지 않았던 비린 맛과 같은것을 뜻합니다.주로 과거에 무쇠 숟가락과 젖가락을 사용하던 시기 젓가락을 입에 대었을 때 그러한 맛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실제로 이러한 금속 냄새가 나는 이유를 분석한 자료가 있는데 실제로 금속 자체의 냄새가 아니라 금속을 사람 손으로 만졌을 때 우리몸의 땀과 수분, 기름이 등이 금속과 반응하여 나는 냄새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511521531541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