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인공색소를 사용한다는것은 어떤재료로 만드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인공색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사실 천연색소가 비싸고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 가장 큽니다. 또한 천연색소라고 모두 인체에 무해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는 인공색소들은 인체 유해성이 검증된 제품이기 때문에 너무 불안해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역시나 대량 복용시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인공색소를 사용한다는 것은 재료의 색을 통해 신선함을 표현하기 위함이고 색소 내부에 색깔 뿐 아니라 보존제 성분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을 위해 색소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색소의 재료는 석유 원료에서 추출한 나프탈렌과 벤젠, 타르 입니다. 인체유해성을 평가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지만 대량 섭취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전기차는 배터리 폭발 위험이 크다는데 배터리 폭발을 막을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폭발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현재의 배터리는 내부의 전해질이 액체 상태라 외부의 충격이나 내부의 이상으로 발화가 일어나게 되면 전해질 자체가 거대한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는 탈물질이라 순식간에 발화하여 연소가 진행되고 이러한 에너지 때문에 엄청난 고온이 발생하게 됩니다.이러한 배터리의 화재를 열폭주라고 부를 정도로 특이한 연소형태입니다. 전해질 배터리를 사용하는 한 배터리 발화는 완전히 막기는 어렵습니다. 이를 최대한 제어하기 위해 내부 회로에 격벽을 사용하고 최대 충전량을 제한하는 등 장치를 하고 있지만 외부의 충격으로 만약 내부에서 발화가 시작된다면 배터리 열폭주를 막을 방법은 없습니다.이후 개발될 배터리가 전고체 배터리가 있는데 이는 전해질 자체가 고체상태라 액상 배터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폭주를 완전히 막아줄 수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밀도가 높아져 같은 무게대비 더욱 효율이 좋아질 거라 전세계적으로 개발이 진행중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세정제성분좀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세정제의 종류 및 재료에 따라 틀립니다. 세정제에 사용되는 원료는 수산화나트륨, 알콜, 정제수, 계면활성제, 락스 등이 있습니다.락스를 제외하고는 바로 환기를 시키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만약 세정제에 치아염소산나트륨 이 적혀있다면 이는 락스의 주요 원료이고 환기를 바로 시키시는 것이 좋습니다. 락스를 사용하시고 환기를 하지 않으시고 장시간 들이마시게 되면 호흡기에 큰 피해를 입으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능하면 락스 뿐 아니라 청소를 위해 세정제를 사용하고 난뒤에는 환기를 하시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충전용 배터리를 수명을 길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요즘 배터리의 사용범위와 대상이 갈수록 늘어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휴대할 수 있는 물건들에만 배터리가 사용되었다면 이제는 자동차와 같은 이동수단에도 배터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과거의 배터리와 현재의 배터리는 내부의 전해질 및 양극제의 성분이 조금씩 변화해 오면 그 성능을 늘여 왔습니다.가장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배터리의 재료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 입니다. 배터리의 수명이 떨어지는 이유는 반복적인 충전도 있지마 그보다 방전이되어 충전률이 0% 이하가 되면 수명이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통상 핸드폰 배터리가 0%가 되어도 표시가 0% 이지 배터리 내부에서는 회로 및 재료를 보호하기 위해서 10% 정도는 남아 있는 상태 입니다.이렇게 3~4일 가량 지나면 완전히 방전이 되는데 그 사이에 충전을 하면 수명에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완전히 방전된 상태가 지속되면 지속될수록 배터리의 수명을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가장 좋은건 완전 방전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또한 배터리의 최대 충전 횟수가 정해져 있으므로 상시로 충전해서 충전 횟수를 늘리기 보다 최대한 배터리를 10% 정도까지 사용하고 난 후 충전을 하여 횟수 자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또한 100%로 충전을 해도 내부 회로가 보호되는 장치가 되어 있는 배터리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100% 미만으로 충전을 하고 충전이 끝나고 나면 충전기에 꽂아 놓지 말고 바로 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금이 잘 녹슬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금은 분자구조가 안정되어 있어서 녹이 스는 반응인 산화반응, 즉 공기와 반응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녹이 슨다는 것 자체가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질을 만들어내는 작용인데 금은 금속이지만 산소와 쉽게 반응하는 철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지 않은 순수 금속이기 때문에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금 같은 것을 만들어내지 않습니다.금 자체가 반응성이 아주 낮기 때문에 자연속에서는 녹이 슬지 않습니다. 이를 불활성 물질 이라고 부릅니다.하지만 특수한 조건을 만들면 산소와 반응시켜 녹을 만들수도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집을 지을때 사용하는 ALC는 어떤재료로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ALC 는 건축재료인데 고분자 복합재 입니다.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at 의 약자입니다. 콘크리트인데 기존의 콘크리트처럼 자갈을 섞어서 만든 것이 아니라 모레와 시멘트 그리고 알루미늄 가루를 섞어만든 조금 가벼운 콘크리트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화가 멘첼이 프리드리히대제랑 궁전그렸다늕데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아돌프 멘첼은 19세기 독일의 사실주의 화가 입니다. 사실 주의 라는 것이 똑같이 그린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회의 현상황을 그대로 반영하는 작품을 그린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특히나 당시 국가의 정책상황이나 정권을 홍보하기 위한 선전용으로 그의 작품이 많이 활용되었습니다. 그만큼 사실적으로 운동감있게 여러가지 장면과 상황들을 묘사한 그림을 많이 그렸었습니다.사실 주의적인 작품 뿐 아니라 풍경을 묘사하는 기법도 일품이었는데 빛의 변화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특히나 잘그려 후에 등장할 인상주의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습니다독일인이 가장 사랑하는 작가로 뽑히기도 하는 아돌프 멘첼은 프리드리히 대왕의 역사 라는 책의 삽화를 그리게 되면서 인기를 얻게 되는데요 프리드리히 대왕의 일대기를 기록한 책이었기에 그것을 제대로 그려내기 위해 대왕이 거쳐했던 포츠담 별궁을 수시로 드나들며 많은 드로잉을 그리며 연습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대표작은 아시는데로 프리드리히 대왕을 그린 삽화 종류가 유명하며 개인적으로는 파리를 여행하며 그린 튈르리 정원의 오후(1862)를 가장 좋아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화가밥로스는 어느나라사람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밥로스는 지금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국의 80년대생이라면 아마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사람이었습니다. 색종이 접기 아저씨 처럼 티비에 나와 웃으면서 유화를 활용하여 그림을 뚝딱 그려냈던 사람이었습니다.그는 TV에 출연하기 전에는 미술을 전공한 것도 아니었으며 실제로 군복무를 하며 군에서 그림 수업을 받게 됩니다. 당시에 군용 도구에 그림을 그려 판매를 하였었는데 인기가 많아 월급보다 많이 벌게되는데 이를 계기로 전역하여 본격적으로 상업화가의 길로 들어서게 됩니다.당시에 밥로스 이전에도 TV 에서 그림쇼를 했던 윌리엄 알렉산더 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를 찾아가 기술을 배워 그를 대신해서 방송에 데뷔하게 되었습니다.유화 물감은 기름 성분이라 빠른 시간에 그리기 어려운데 웻온웻 기법이라고 하여 마르기전에 유화를 얇게 여러겹 바르는 방식으로 수비고 빠르게 그림을 그려서 아주 유명세를 타게 되어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게 됩니다.하지만 일생이 행복하지만은 않았습니다. 암에 걸려 52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을 하였는데 주요 파트너가 그의 죽음을 알리게 되면 영상수입에 영향을 미칠것이라 생각하여 죽음을 제대로 알리지도 않았습니다. 관련된 이야기가 넷플릭에서 다큐멘터리로 방영중이니 시간내어서 한번 보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로션마다 가격도천차만별..구성성분에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 사실 로션이나 크림 등의 주요 성분은 공통된 것들이 분명히 존재합니다.브랜드가 다르다고 완전히 다른 재료가 들어가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수용성 재료와 유성 재료가 섞여 있고 이를 피부에 녹이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기본적인 화장품의 주요 원료 구성입니다.수용성 재료에는 물에 녹는 재료들로써 정제수(물), 에탄올, 글리세린 이 있습니다.유성 재료에는 위의 수용성 재료를 제외한 모든 것들로 피부에 좋다는 여러가지 물질, 색소, 향료 등이 포함됩니다. 저렴한 화장품이라도 위의 재료들은 전부 포함하고 있지만 유성재료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비싸고 귀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피부의 주름을 개선한다던지 광택을 개선한다던지 하는 재료가 포함되어 있어서 가격이 비싸게 되는 것 입니다.단순 보습을 위해서라면 저렴한 재료를 대량으로 바르는 것과 큰 차이는 없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화학적으로 물과 기름이 안 섞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실제로 물과 기름은 분자구조의 차이로 섞이지 않습니다. 분자들은 구조에 따라 음극과 양극을 가지게 되는데 이를 극성이라고 합니다. 물의 경우 내부의 수소와 산소의 비대칭 구조로 극성을 띄게 됩니다. 반대로 기름의 경우 내부의 구조가 안정하여 극성을 띄지 않는데 이러한 상태를 무극성 상태라고 합니다.극성과 비극성(무극성)이 섞이니 결합을 하지 않아서 섞이지 않고 층이 구분되어 갈라지게 됩니다.그러나 우리가 손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 처럼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면 두가지를 섞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두가지를 섞는 방법이 개발되었습니다. 기름을 더욱 작게 분자상태로 나누게 되면 물과 섞이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511521531541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