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7일 전 작성 됨
Q.
플라스틱 녹으면 환경호르몬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냄비의 전도열에 의해 플라스틱이 녹아 붙어있다면 냄비의 틈사이에 미세 플라스틱이 흡착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abs 는 내열성이 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높긴하지만 190도 이후 부터는 녹게 됩니다. 녹을 경우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3가지의 합으로 만들어진 플라스틱이므로 모두 발암물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더라도 미세한 양이 녹아 있을 수 있으므로 버리는걸 권장드립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27일 전 작성 됨
Q.
화학 원소기호는 영어이던데 어디서 만들어진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초기의 원소기호는 적립이 되어 있지 않았으나 현재의 주기율표의 원소기호는 IUPAC 라는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에서 만들고 관리하고 있습니다.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새로운 원소가 발견이 되고 국가별로 다른 원소기호를 사용하고 있어서 혼선이 발생하였기에 IUPAC 가 1919년 만들어지면서 세계적으로 원소기호를 통일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29일 전 작성 됨
Q.
핵융합 발전은 에너지 안보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핵융합 발전은 기존의 원자력 발전과 달리 방사성 폐기물이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재생에너지 처럼 특정한 지역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기술만 안정되면 어디서든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핵융합 발전의 에너지원이 바닷물에서 얻을 수 있는 중수소이기 때문에 원료도 풍부하며 삼중수소도 리튬에서 얻을 수 있기에 원료공급의 부담이 없습니다.그리고 인공태양을 만들어서 열을 만들기 때문에 제어만 할 수 있으면 언제든 가동 가능하며 어디서든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발전원으로 전세계에서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아직 수초 이상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할수 밖에 없기에 십년 이상 지나야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29일 전 작성 됨
Q.
핵융합반응의 발전소 메커니즘이 정확히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핵융합 발전은 인공태양을 만들어내는 발전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태양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것을 모방하여 가벼운 원자핵을 충돌시켜서 무거운 원자핵을 만들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발전을 하는 것 입니다.주요 원료는 중수소와 삼중수소 인데 이는 바닷물에서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반응 시키려면 1억도 이상의 초고온이 필요한데 가열하게 되면 플라즈마 상태가 됩니다. 이 플라즈마 상태안에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위치시키면 서로 충돌하여 융합할때 엄청난 열에너지가 발생합니다. 이 열에너지를 활용하여 발전하는 것이 핵융합 발전입니다. 발전 과정에서 기존의 방사성 폐기물이나 이산화탄소같은 온실가스가 배출되지 않기에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 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29일 전 작성 됨
Q.
핵융합 발전은 기존 원자력 발전보다 환경 친화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물론입니다.같은 핵이란 단어가 사용되지만 핵융합 발전은 기존의 원자력 발전에서 사용하는 우라늄과 다르게 방사능을 띄지 않는 헬륨을 사용하여 발전을 하는 것 입니다.기존 태양의 핵분열 반응과 유사하기 때문에 인공태양을 만드는 기술을 핵융합 발전이라고 합니다. 고온의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공태양을 만들어내어 열을 만들기 때문에 방사성 폐기물도 없으며 원자로가 녹아내리는 것과 같은 이차 사고도 발생하지 않으며 온실가스를 배출 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의 핵심 기술로 개발 중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