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화학
화학 이미지
Q.  17족 원소에서 번호가 커질 수록 이탈기의 반응성이 좋은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17족 원소인 할로겐족에서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반응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껍질 수가 늘어나 원자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원자의 크기가 커지면 결합길이가 길어지고 결합에너지가 약해지게 됩니다. 그렇다보니 결합이 약할 수록 끈어지기 쉬우니 I 가 F 보다 쉽게 끊어지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보어의 원자모형이 가진 한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보어의 원자모형은 수소원자에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자 껍질이 원형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하였는데 현재의 과학기술로 밝혀진 것을 보면 전자는 특정한 궤도를 도는 것이 아니라 확률적으로 존재하는 구름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보어의 모형은 전자가 하나인 수소원자의 설명에는 적합하지만 전자수가 두개 이상인 전자에서는 보어의 모형을 적용할 수가 없다는 한계까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알코올의 치환기가 많아질 수록 산성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산성도라고 하는 것이 알콜의 OH 기에서 수소이온을 얼마나 잘 내어놓는 지로 결정이 되는데 OH 기가 많으면 많을 수록 불안정성이 높아져서 수소이온을 잘 내어놓지 않게되어 산성도가 떨어지는 것 입니다. 알킬기가 많을 수록 산소원자가 수소원자를 쉽게 내어놓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산성도가 낮아지는 것 입니다. 알킬기가 적을 수록 다른 알킬기로 부터 방해를 덜 받아 산소원자를 쉽게 내어놓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우리나라 고유 미술기법에 대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과거 중국과 교류를 오래하고 유교문화라던지 한자 들은 전부 대륙에서 배워오고 흘러온 것이 많기에 아예 독자적인 우리나라만의 문화라고 주장하는 것은 자문화 중심주의에 빠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단초는 중국에서 알고왔다고 해도 한국에서만 독자적으로 발전한 양식들이 있습니다. 그중의 대표적인 것이 단청색이라 불리는 단청과 나전칠기 입니다. 단청도 사실 시작은 중국이었으나 한국에서 더욱 발전하여 중국과는 이제 그 형태가 완전히 다르며 조개 껍대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다른 아시시아권에서도 발견이 되지만 한국의 나전칠기와 같은 정교함과 화려함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인류는 과거 교류하고 서로 문화를 주고 받았기에, 특히나 우리나라처럼 반도국가의 경우 갈라파고스처럼 독자적으로 발전하지 않은 나라의 경우 외부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19세기 프랑스 사회와 산업화는 인상파의 등장에서 어떤 역할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사실 인상파의 등장은 사회나 과학과 분리하여 설명을 할 수 없습니다.이전의 화가들은 귀족 중심이었다면 과학과 상업의 발달로 부를 축적하며 부르주아라 불리는 중산층들이 폭증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자연히 그들도 귀족들이 즐기면 미술들을 향유하기 시작하며 수요가 늘어가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작품의 대상도 그들이 요구하는 것들을 그려주기 시작하면서 귀족 중심에서 일상의 풍경들로 변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과학의 발달로 사진기가 등장한것도 인상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똑같이 그리는 것은 사진기가 더 잘했기에 이를 뛰어넘는 회화를 하고자 하는 생각으로 탄생한 것이 빛에 따라 대상의 색이 변화하는 것을 표현했던 인상파였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인상파 화가들이 기존의 아카데미 미술과 달리 추구한 표현 방식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인상파 작가들은 생각보다 오래된 미술그룹이 아닙니다. 1850~1900년대에 활동했던 19세기 말에 활동했던 미술사조 입니다. 그들은 기존의 아카데미즘이라 불리는 과거의 명작을 따라 그리고 새로움을 추구하지 않는 보수적인 흐름에 맡서 새로움을 추구하던 작가들이었습니다.당시에 카메라도 발견을 하고 튜브물감도 발견된 시기였습니다. 그래서 빛이 구분되는 것도 알고 있었으며 빛에 따라 색상이 변화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튜브물감으로 인해 야외에서 직접 보며 그릴 수 있었기에 빛에 따른 색채변화를 화폭에 담아내게 되었습니다. 시간에 따라 건물의 색상이 바뀌는 것을 연작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빛에 따라 풍경이 바뀌는 것을 자주 그려나가면서 색채의 고정관념을 부수기 시작한것이 인상파 작가들이었습니다. 이후 현대미술로 이어지는 큰 변화를 일으켰던 작가들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캐리커쳐는, 미술 실력과 무관하게 특징을 잡아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사실 케리커처 라는 장르가 따로 존재하는 건 아니지만 마치 과거에 초상화를 그려주는 것처럼 인물을 짧은 시간에 그려주는 장르로 존재하고 있습니다.사실 카메라가 발견된 이후 똑같이 그려주는 역할은 이제 작가가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후로도 초상화는 계속 발전하였고 지금에 이르러서는 사람의 손으로 그린 인물화 전체를 케리커처 라고 일컬고 있습니다.케리커처는 인물을 동일하게 표현하지 않습니다.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개성을 파악하여 짧은 시간에 그려내는 그림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미술을 배우지 않더라도 좋은눈, 좋은 표현기법만 스스로 터득한다면 굳이 배우지 않아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인상파 화가들이 주로 즐겨 그린 주제는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인상파는 생각보다 오래된 미술이론이 아닙니다. 19세히 후반인 1860~1900년도 에 유행한 미술이론으로 200년도 되지 않았습니다.사실 미술의 역사는 국력과 비례하는데 당시에 세계최고 강대국이었던 프랑스였고 미술도 프랑스 파리에서 가장 유행하였습니다. 인상파 역시도 파리에서 탄생하게 됩니다.인상파의 이름 자체가 모네의 해돋이란 바다에서 해가 떠오를때의 장면을 그린것에서 기인하였기에 인상파 작가들은 빛에 의해서 물체의 색상이 변화는 것들을 주로 그렸습니다. 그렇다 보니 풍경화가 주를 이루었고 도시의 일상 들도 즐겨 그렸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왜 새로산 물건은 며칠만 지나면 설레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을 알고 계신거 같습니다. 질문하신데로 인간은 지속적으로 새로움을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기존의 쾌락이었던 것에 쉽게 적응한다고 하여 쾌락적응이란 심리학 용어가 있을 정도 입니다.이는 도파민이란 호르몬과 관계가 있습니다.쾌락의 호르몬, 행복의 호르몬이 바로 도파민인데 이러한 쾌락이 반복되면 적응하게 되고 더새롭고 강력한 쾌락을 추구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쉽게 마약에 중독되는 것도 이러한 도파민의 영향 때문입니다.사실 이러한 점은 인간의 창조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동물들처럼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항상 도전하고 새로움을 추구하며 인류를 발전해 나갔기에 지금이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너무나 평온하기에 이러한 안정속에서 오히려 반대급부로 너욱 높은 쾌락을 위해 마약과 같은 중독이 발생하기도 하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인상파 전시는 어떻게 기존 살롱전 과 구별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사실 인상파 그룹에 속해 있는 작가는 비주류 작가였습니다. 당시의 주류 전시는 아카데미즘이라고 하여 기존의 명작을 모방하되 자기만의 특색을 발휘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습니다. 그런 보수적인 문화에 저항했던 작가들이, 특히나 그런 젊은 작가들끼리 모여서 전시를 했던 것이 인상파 전시 였습니다. 최초부터 인상파란 타이틀을 걸로 전시를 했던 것이 아니라 그건 실험적인 전시에서 모네의 해돋이 그림을 보고 비평가가 비꼬듯이 이건 완성된 그림이 아니고 하나의 인상과 같다라고 말한것에서 시작이 되었던 것 입니다.기존의 살롱전은 당시에 전시를 지금처러 특정공간에 하나씩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빼곡히 채워서 전시를 했었습니다. 명성에 따라 좋은 자리를 차지하였죠. 하지만 인상파 전시는 지금의 전시처럼 작가들간에 협의를 통해서 작품을 전시하곤 하였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