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이 할 수있는 일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기후변화가 일어나는 원인은 지구 온난화 때문입니다.온난화의 주범은 인류가 만들어내는 이산화 탄소 입니다. 이 이산화탄소가 대기중에 배출됨으로써 지구를 온실처럼 만들고 있어서 기상이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지구에서 발생한 열은 지구바깥으로 빠져나가야 하나 온실효과 때문에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지 않게 되면서 여러가지 기상이변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가장 심한 변화는 기후의 변화 입니다.지구의 전체적인 기온이 올라감으로써 극지방과 적도의 온도차이가 적어지고 있습니다. 극지방의 빙하가 녹고 평균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적도지방과 온도차이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극지방과 적도의 온도차이로 인해 대기가 순환을 하기 때문입니다.대기는 극지방에서 적도 지방으로 순환을 합니다. 극지방이 고기압이고 적도지방이 저기압인데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차가운곳에서 뜨거운 곳으로 공기는 움직이며 지구의 대기를 순환시킵니다. 하지만 온도차이가 적어지면서 이러한 순환시스템이 문제가 발생하여 기상 이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비가 많이 오는곳은 더 많이와 홍수가 발생하고, 적게 오는 곳은 더 적게 오면서 가뭄이 발생하여 지구는 인류가 살기 어려운곳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는 대중교통을 사용하고 가정의 전기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최선입니다. 개인의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와 전기를 생산하는 화석연료 발전소에서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AI 기술이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네 말씀하신데로 최첨단 기술을 잘 활용하는 사람들과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들과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할 것 입니다. 하지만 우려하시는 부분은 모든 분야에 적용됩니다. 소수의 엘리트, 지도자 계층이 결정을 하고 한 분야를 움직여 나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 산업혁명 당시에도 수공업이 기계를 활용하여 산업형태가 변모하면서 당시 노동자들은 굶어죽을거라 생각하여 폭동이 일어나기도 하였으나 실제로는 오히려 더 많은 일자리가 창출 될었고 일부만 부를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당시 중산층들도 대폭 증가하였습니다.전 ai 가 불러올 미래가 긍정적일 것이라고 보고 있는 입장입니다. 산업혁명 당시에도 산업의 구조자체가 전반적으로 변화되어 인공지능보다 더욱 큰 변화였음에도 실질적으로는 혼란보단 부의 축적, 신규 산업육성, 노동생산성 향상 등 근대화가 이루어져 인류는 더욱 발전 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물론 기술의 발달로 대량살상 무기들이 개발되기도 하였지만 그보다 긍정적인 부분이 더 컸습니다.인공지능역시도 장단점이 아직은 예측이 되지 않지만 기술이 발달한 만큼 윤리적인 부분, 도덕적인 부분, 비인간적인 부분들에 정책과 규제, 그리고 기술제어를 통해 단점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있는 특이한 박물관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개인적으론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추천드립니다. 서울 독립문역에서 걸어서 쉽게 갈 수 있기도 하고 거기 가보면 한국사람보다 외국사람도 아주 많습니다. 과거 일제시대부터 구치소로 사용하던 공간을 문화공간으로 개조하여 과거 당시의 역사를 둘러볼 수 있게 아주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슬픈 역사의 흔적을 마주 할 수 있어 가면 마음이 먹먹해 지게 됩니다. 독립운동을 하셨던 분들이 거기서 고문과 고통을 받으며 지내왔던 부분을 잘 복원해와서 애국심이 고취되었습니다.한번쯤 방문해봐야 할 곳이라 추천 드립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1차 전지와 2차 전지의 차이점은 무엇?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1차전지는 1회용, 2차 전지는 재활용 입니다.1차전지는 한번 사용후 충전을 통해 새것으로 돌릴 수가 없는 1회용 전지이며 2차전지는 사용을 하고 난 뒤에도 충전을 통해 재사용을 할 수 있는 전지 입니다.하지만 2차전지 역시도 수명이 있어 용량과 종류에 따라 일정 횟수를 넘어가면 충전효율이 떨어져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진 않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환경보호를 위해서 친환경활동을 할수있는방법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환경보호를 위해 개인이 할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과 같이 기상이변의 주요원인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쪽으로 환경오염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국가의 주요 이산화탄소의 배출원은 발전산업과 수송산업입니다. 발전사업은 화석연료 발전의 비율이 높은 한국의 경우 화석연료의 발전 비율이 50% 까지 올라갑니다. 그래서 가정에서는 전기를 절약하는 것이 화석연료 발전을 통한 전력량 사용을 줄이는 것이므로 환경보호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또한 수송산업에서 만들어내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상당합니다. 내연기관 자동차가 만들어내는 매연속에 이산화탄소가 다량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개인이 자동차 사용은 줄이고 버스나 지하철 같은 전기를 사용한 대중교통을 사용하면 환경보호를 하는 것과 같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그림 국내 반입시 관세를 부과합니까?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물건의 제작연도에 따라 틀립니다. 100년 이상된 작품의 경우는 문화재 감정을 거쳐 관세가 매겨지나 100년 이내의 작품이라면 관세 없이 반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작품의 종류를 정확히 알 수 없으니 세관에 문의 후 반입하는 것이 추후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를 예방 할 수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렌즈의 발명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돋보기나 망원경 같은 먼곳의 물체를 보기 위한 렌즈를 만들어낸 건 레오나르도 다빈치 였습니다. 당시 책에 적어놓고 실제로 만들진 않았지만 그의 책에 눈에 물이 들어가게 되면 빛이 굴절되어 사물이 크게 보인다 라고 적혀있던 것이 렌즈의 시작이었습니다. 당시가 16세기 였습니다.망원경은 17세기에 발견되었는데 안경은 그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안경의 렌즈를 깍아 볼록하게 만들면 먼곳을 볼 수 있었기에 네델란드의 안경 제작자 한스 리퍼세이가 최초로 망원경을 만들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지구온난화가 자꾸 심해지면 어떤 결과를 초래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극단적으로 말씀드리면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생명체가 살기 힘든 환경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인류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아짐으로 지구의 대기는 온실화가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온실화란 말은 인류가 만들어내는 열은 지구 바깥으로 배출이 되어야 지구의 온도가 낮아지고 안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실화된 대기 때문에 내부의 열이 빠져나가지 못해 지구의 연평균 기온은 상승하고 있습니다.상승된 기온은 바닷물의 증발량을 상승시켜 태풍을 만들고 대기를 불안정하게 합니다. 또한 극지방의 빙하를 녹여 해수면을 상승시킵니다. 그리고 높아진 온도로 극지방과 적도지방의 온도차이가 줄어들게 되면서 대기의 순환이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흐르는데 극지방에서 적도방향으로 온도차이에 의해 대기가 순환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온도차이가 줄어들면서 이러한 순환이 일어나지 않아 대기는 정체되어 지구의 여러국가에 기상이변을 일으킵니다. 비가 많이 오던 지역엔 더 많은 비가 와 홍수가 일어나고 비가 잘 내리지 않는 곳은 더 비가 적게와 가뭄이 더 심해 집니다. 말그대로 이변이라 예측 할 수 없는 기상 이변이 일어나 갈수록 식물과 동물들을 죽고 결국엔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의 수명도 줄어들게 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역사 속에서 가장 위대한 화학적 발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개인적으론 플라스틱의 발견 입니다. 현재 썩지 않는 플라스틱이 만들어내느 문제가 크긴 하지만 플라스틱의 활용범위를 생각하면 플라스틱 전후의 삶의 형태는 대단히 크게 변화하였기 때문입니다. 플라스틱의 주 원료가 되는 PE 폴리에틸렌을 발견한 한스 폰 페치만 의 업적을 개인적으로 대단하고 평가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염화칼슘은 어떤 원리로 제습작용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염화칼슘은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제습이라는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 합니다. 염화칼슘은 상온에서 고체 상태인데 특별한 처리를 가하지 않아도 스스로 수분을 흡수하여 녹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조해성 이라 부릅니다. 자기 무게 대비 14배에 해당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제습제로 쓰기 좋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2462472482492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