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1층주택 계단초입에 돌기둥이 부서졌어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아이고 상심이 크시겠습니다. 일단 석재를 붙일 수 있는 본드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하지만 석재의 무게가 어느정도 일지 가늠을 할 수가 없어서 붙여도 본드가 굳을 수 있게 고정을 하실 수 있으실지 모르겠습니다.에폭시 계열의 접착제를 1 리터 정도 대량 구매 하셔서 바르신뒤 장기간 경화시켜서 상태를 지켜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이소 같은 매장에서 파는건 양이 작고 성능이 좀 떨어지는 제품들이 많은데 주변 건설자재를 파는 곳이나 철물점에 가셔서 석재용 에폭시를 추천해 달라고 하면 제품을 구매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불꽃이 검은색 일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검정색 불꽃은 없습니다.우리가 캠프파이어에서 불꽃을 볼때나 촛불의 불을 보게되면 위치에 따라 색상이 다른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온도별로 불꽃의 색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빨간색 : 600~800 도노란색 : 900~1100 도흰색 : 1300~1500 도푸른색 : 1500~1700 도입니다. 화재현장에서 검정색이나 회색의 연기가 보일때가 있는데 이때는 연소할 때 불꽃의 색상이 아니라 연소시 나오는 수증기와 탈물질에서 나오는 고체나 액체 분자가 섞여서 나올때 짙은 연기가 보여질 수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오래된 플라스틱 통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맞습니다. 오랜된 플라스틱에서 악취가 날 수 있습니다.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라 틀린데 BPA 라 불리는 비스페놀 A 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플라스틱에서 나오기 시작하며 제품에 따라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이 비스페놀 A 는 플라스틱을 잘 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질 입니다. 하지만 이는 인체에 노출시 환경호르몬으로 작용을 해 인체의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임산부가 장시간 해당물질에 노출 시 태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여러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또한 오랜된 플라스틱의 냄새 중에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있습니다. 가소제는 말 그대로 플라스틱을 쉽게 성형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물질입니다. 하지만 이런 가소제 중 프탈레이트는 시간이 지날수록 조금씩 세어나오며 역한 냄새가 납니다. 이또한 비스페놀A 와 마찬가지로 환경호르몬 이며 인체의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쳐 특히 태아의 기형아 출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을 정도로 임산부에게 위험합니다. 특히나 아이들 장난감에 가소제가 들어있어 아이들에게 노출 될 경우 아이의 발달에 심도한 영향을 끼쳐 주의집중력 장애나 심할 경우 자폐 스펙트럼에 이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해외에서 수입한 어종을 우리 강하천에 놓아주면 처벌대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지정된 생물 외에는 불법이 아닙니다.외래어종 중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생물을 무단으로 방류하면 야생 동식물 보호법 제 69조에 의거하여 2년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하지만 생태계 교란종 이외에는 방류해도 사실 불법은 아닙니다. 만약 생태계 교란종을 방류했다고 해도 정확하게 방류했다는 증거가 있어야 처벌이 됩니다.생태계 교란 생물은 현재 21종으로 뉴트리아(포유류), 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속 전종(양서류·파충류), 파랑볼우럭(블루길), 큰입배스(어류), 꽃매미, 붉은불개미(곤충류), 돼지풀, 단충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도깨비가지, 애기수영, 가시박, 서양금혼초, 미국쑥부쟁이, 양미역취, 가시상추, 갯줄풀, 영국갯끈풀(식물) 입니다위와 같은 대상 품목외에 만약 방류를 하고 싶다면 수산자원 전문기관에 자문을 구하면 답변을 준다고 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배터리기술과 에너지 저장솔루션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배터리기술의 미래는 아주 밝습니다.현재 배터리의 단점이라고 불리는 오래걸리는 충전시간 / 충격에 의한 열폭주 / 짧은 수명 / 폐기물 등이 수정된다면 전기기기의 활용도와 제품자체의 수명도 급격히 올라가게 될 것 입니다차세대 배터리라고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가 그 해답중의 하나 입니다.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는 내부에 전해질에 전자를 액체상태로포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고체 배터리는 이러한 전해질이 고체 상태라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액체일때보다 밀도가 높아 동일한 크기라도 더 많은 에너지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리튬황 배터리도 차세대 배터리 중 하나 입니다. 배터리의 단점 중 폐기물 문제를 해결할 배터리 입니다.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에는 비싼 코발트나 리튬 등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리튬황배터리는 코발트 대신 저렴한 황이 사용되고 수명이 다해도 코발트보다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습니다.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밀도가 높아 같은 크기임에도 더 높은 성능을 가지게 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미세플라스틱은 어디에나 존재 할까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미세플라스틱은 현재 어디서든 존재하고 있습니다.미세플라스틱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처럼 크기로 구별을 합니다. 미세플라스틱은 1마이크로미터~5 밀리미터의 이하의 크기를 가진 플라스틱을 말하며 초미세플라스틱의 경우 1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초미세/미세플라스틱은 공기중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대기중에 떠돌아 다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꼭 해양생태계에 축적되어 우리 인체 내부로 들어오는 미세플라스틱 뿐 아니라 대기중의 미세/초미세 플라스틱 들은 자유롭게 인체내부로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숨만 쉬어도 미세플라스틱을 마시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물론 그양은 전체 미세먼지의 양에 일부에 불과하지만 연구결과 PP 가 가장 많았다고 합니다. 마스크착용에 따라 마스크 제조에 사용되는 pp 가 많이 매립되고 태워지게 되면서 공기중에 농도가 많이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그 양은 59% 이고 그 뒤이어 자주사용하는 PET가 공기중에서 12% 를 차지하였다고 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뭉크가 생전당시에 병든아이를 발표 했을때 당시 평론가들에게 비난을 받았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에드바르트 뭉크 / 에드바르트 뭉크 는 1863년 노르웨이에서 태어나 1944 년 사망하였는데 현재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화가 입니다. 널리 알려진 절규 외에도 흡혈귀 / 마돈나 / 생명의 나무 등 여러 대표작품이 있습니다.80년의 긴 생을 사기도 하였지만 생전에 인정을 받아 부유하였고 다작가 였기 때문에 남긴 작품이 3만여점이 넘습니다.내면의 고독 슬픔 등을 노골적으로 표현하는 적극적인 표현주의 화풍을 구사하였는데 당시의 인상주의와 사실주의 처럼 표현주의가 유행하던 시기가 아니었기에 최초엔 무시를 받기도 하였지만 후에 갈수록 작가 개인의 내면을 파고드는 표현주의가 전세계의 주류 미술이 되면서 세계적으로도 인정을 받게 됩니다.생전에 이러한 그의 실력을 인정받아 노르웨이에서 작위까지 받게되어 대저택을 지어 살았습니다.병든아이 라는 작품은 1896년 뭉크가 인정을 받기전에 그린 작품 입니다. 병든 아이를 주제로 6개 작품을 만들었는데 병든아이의 힘겨움을 그대로 묘사하고자 떨리는 입술 말라붙은 피부를 노골적으로 묘사하여 만든 작품입니다. 아버지가 의사였기 때문에 아버지를 따라다니며 환자들을 접할 기회가 많았습니다.병든아이 그림에 대한 비판은 사실 위의 그의 내면을 가감없이 표현하는 표현주의 기법때문에 받은 비판과 결을 같이 합니다. 심지어 뭉크가 어릴때 그렸다보니 완성도가 높지 않아 당시의 화풍에 비해 마무리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고 얼굴도 제대로 보이지 않는 그림이었기 때문에 대충 그린 그림이라고 비판을 받았습니다.그리고 너무 우울하고 슬픈 그림이었기 때문에 당시 그림의 목적은 아름다움을 감상하여 눈을 즐겁게 한다는 의미와 너무 동떨어진 작품 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흐름이었기에 초기 당시의 작가는 작가로써 인정을 받지는 못하였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에어필터에 활성탄이 들어가는데 구체적으로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결론부터 말슴드리면 활성탄은 아주 작은 구멍을 재료에 아주 많이 가지고 있는 물질 입니다. 활성탄은 영어로 activated carbon / activated charcoal 의 약자로 나무와 같은 목재를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유물을 전부 증발시키고 남은 탄소 덩어리를 말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숯이 활성탄 입니다.유기물을 증발하고 남은 무기물 덩어리 이기 때문에 내부에 미세하게 많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 형태가 만들어 집니다. 이는 표면적이 넓어진 상태라 외부의 수분이나 먼지등의 물질을 쉽게 내부 구멍으로 흡착 시킬 수 있습니다.이러한 목재를 가공하는 방법에 따라 활성탄의 성능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동일한 크기더라도 내부의 표면적이 훨씬 큰 활성탄을 만들기 위해 더 높은 고온에 처리하기도 하고 가열 후 약품 처리를 하는 등의 작업으로 더 좋은 활성탄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매운맛은 왜 미각에 포함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매운맛은 미각 수용체가 아닌 통증 수용체(아픔/온도)에 작용하기 때문입니다.우리가 알고있고 느끼는 매운맛은 캡사신 성분이 TRPV1 이라는 수용체에 작용을 하는데 이 수용체는 열에 반응하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활성화가 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해당 수용체는 온도가 높아지면 위험하니 이러한 고온을 느끼기 위한 수용체 인데 우연히도 캡사이신이라는 물질이 고온이 아님에도 이 TRPV1 과 결합할 수 있게 되면서 우리몸은 마치 고온에 노출되었다고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매운 음식을 먹을때 열이 나고 땀이 나게 되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우리나라의 초미세먼지 환경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때문에 감기환자 및 호흡기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요즘 입니다.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크기로 구별한느데 미세먼지는 pm10 라고 해서 크기가 10 마이크로 미터 이하인 작은 입자를 말하며 초미세먼지는 pm 2.5 라고 해서 크기가 2.5 마이크로 미터 이하인 입자를 말합니다.이러한 대기중 미세먼지가 높아질 경우 경보를 하게 되는데요 우리나라의 기준은 미세먼지를 기준으로 제정되어 있습니다.좋음 : 0~30 ㎍/㎥보통 : 31~80 ㎍/㎥나쁨 : 81~150 ㎍/㎥매우 나쁨 : 151 ㎍/㎥ 이상입니다. 위의 농도에 따른 행동요령은 이와 같습니다.좋음 : 행동요령 없음보통 : 실외활동시 특별히 행동에 제약을 받을 필요는 없지만 몸상태에 따라 유의하여 활동(민감군)나쁨 :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 제한, 특히 천식을 앓고 있는 사람이 실외에 있는 경우 흡입기를 더 자주 사용할 필요가 있음(민감군) /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 제한, 특히 눈이 아픈 증상이 있거나, 기침이나 목의 통증으로 불편한 사람은 실외활동을 피해야 함(일반인)매우나쁨 : 가급적 실내활동, 실외활동시 의사와 상의(민감군) /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제한, 목의 통증과 기침 등의 증상이 있는 사람은 실외활동을 피해야 함(일반인)으로 제정되어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2812822832842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