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좀더 수익할수 잇는데 항상 조급하게 매도 해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 투자에서 '조급하게 매도하여 수익을 크게 내지 못하는 고민은 많은 투자자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어려움입니다. 이 코인이 얼마까지 오르면 매도한다는 구체적인 목표 수익률을 미리 정하고, 그 목표에 도달하면 미련 없이 매도합니다. 예를 들어, 20% 오르면 50% 매도, 30% 오르면 나머지 50% 매도와 같이 분할 매도 계획을 세울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얼마까지 떨어지면 손절한다는 손절 라인도 명확히 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 하락 시의 심리적 불안감도 줄일 수 있고, 더 큰 손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한 번에 모든 물량을 매도하기보다는, 상승하는 과정에서 목표치에 따라 20%씩, 30씩 나누어 매도하는 전략을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Q. 한국 결혼율, 출산율이 낮은 게 경제 문제와 관련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한국의 비정상적으로 낮은 결혼율과 출산율은 경제 문제와 매우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단순히 경제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경제 구조와 사회 시스템 전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세대의 결혼 및 출산 의지를 꺾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결혼율은 역대 최저 수준이며, 합계출산율은 세계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결혼은 여전히 주거 마련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의 치솟는 집값과 전세난은 청년층이 결혼을 포기하거나 연기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꼽힙니다. 신혼부부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주거 공간을 구하기 어렵고, 주거비가 가계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 결혼 후에도 경제적 압박을 크게 받습니다. 이는 출산으로 이어지기 어려운 환경을 만듭니다.
Q. 젠더 경쟁 격차해소가 국가 경쟁력 강화에 주는 의미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젠더 경쟁 격차 해소는 단순히 여성의 권리 신장 문제를 넘어, 국가 전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됩니다. 특히 인구 감소와 저성장 국면에 직면한 한국 사회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여성의 교육 수준이 OECD 최상위권임에도 불구하고, 고용률은 하위권에 속하며 남녀 간 고용률 격차가 큰 편입니다. 특히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은 여성 인력의 잠재력을 사장시키고 국가 전체의 노동 공급을 감소시킵니다. 젠더 격차 해소를 통해 여성의 경력 단절을 예방하고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귀중한 인적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노동력 부족 시대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