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금 코인을 시작해도 큰돈을 벌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지금 코인 시장에 소액으로 참여하시는 것은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지만, '큰 돈을 벌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에는 신중한 답변이 필요합니다. 과거에 비해 코인 시장은 제도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금융 상품과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투명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과거 개인 투자자 중심이었던 시장에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가 늘어나면서 시장의 안정성과 유동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코인 시장은 여전히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단기간에 큰 수익을 올릴 수도 있지만, 동시에 큰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특히 레버리지를 이용한 투자는 위험성이 더욱 높습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코인들의 가격이 이미 상당 수준 상승한 상황입니다. 과거와 같은 폭발적인 수익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Q. 조선주가 싸이클산업(주식)으로 분류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조선업은 선박 한 척을 건조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통상적으로 수주에서 인도까지 1~3년 이상 소요됩니다. 따라서 현재의 시황이 당장 실적에 반영되지 않고, 과거 수주 물량이 순차적으로 실현되는 구조를 가집니다. 호황기에 많은 수주를 받아도 실제 매출과 이익으로 인식되는 시점은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 입니다. 반대로 불황기에 수주가 감소하면, 이는 몇 년 뒤의 실적 악화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시차 때문에 주가는 현재의 상황보다는 미래의 수주 전망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뚜렷한 사이클을 형성합니다. 조선업의 주요 고객은 해운업체입니다. 해운업황은 글로벌 경기, 교역량, 유가 등 다양한 거시 경제 변수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Q.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뭘 의미하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코리아 디스카운트는 한국 주식 시장의 주가가 다른 선진국이나 비슷한 수준의 경제 규모를 가진 국가들의 주식 시장에 비해 저평가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한국 기업들의 실적이나 성장 잠재력에 비해 주가가 낮게 형성되는 경향을 일컫는 말입니다. 마치 상품에 '한국산'이라는 이유만으로 할인이 붙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 겁니다. 한국 기업들은 이익에 비해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등 주주에게 돌려주는 비율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매력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순환 출자, 부실한 이사회 운영 등 불투명한 지배 구조는 기업 가치 평가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의 신뢰를 저하시킵니다. 특히 오너 일가의 영향력이 과도한 경우, 소액 주주들의 권익이 침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합니다.
Q. 왜 세종시로 수도를 옮기려하는지 장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수도권 과밀화를 해소하고, 국토 전반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와 경제력을 분산시켜 지역 간 격차를 줄이고, 국가 전체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정부 부처가 세종시와 서울에 분산되어 있어 발생하는 행정 비효율성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주요 행정 기능을 세종시로 집중시켜 의사 결정 과정을 간소화하고, 행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수도권의 과도한 집중으로 인한 교통 체증, 주택 문제 등 사회적 비용을 줄여 국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행정 중심지를 건설함으로써 미래 지향적인 도시 모델을 제시하고, 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습니다.
Q. 최근에 자수주를 대량 매수하는 기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하나금융지주는 함영주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들이 올해 들어서만 15건 이상 자사주를 매입하여 주가 부양 및 주주 가치 제고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최근 500억원대 자사주를 매입한 후, 이를 전량 소각하기로 결정하며 주주 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HD현대는 정기선 대표이사가 자사주를 매입하여 주가 상승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습니다.키움증권, 솔브레인, 솔브레인홀딩스, 포인트모바일, KX, 광무, 와이솔, 인텍플러스, 코셈, 비아트론, 에이치엔에스하이텍, 유비쿼스는 2025년 4월을 기준으로 자사주 취득을 공시한 기업들입니다.
Q. 하이닉스 같은 경우 1분기 영업이익률이 매우 높은것 같은데요 왜 이런 실적을 기록한거죠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 개발 경쟁 심화로 인해 AI 서버에 필수적으로 탑재되는 HBM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HBM 분야에서 기술력을 선도하고 있으며, 특히 최신 제품은 HBM3E 12단 제품의 판매가 매우 강력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경쟁사 대비 높은 HBM 시장 점유율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가격 정책을 통해 높은 수익성을 확보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SK하이닉스는 HBM 물량을 이미 상당 부분 판매 완료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회복과 함게 PC, 스마트폰 등 IT 기기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D램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SK하이닉스의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