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31일 작성 됨
Q.
대류권은 왜 높이 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과의 거리는 거의 똑같기 때문에 의미가 없고, 태양에너지를 지표면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땅의 온도가 훨씬 높습니다. 즉, 땅과 멀어지기 때문에 추워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10월 31일 작성 됨
Q.
나뭇잎이 떨어진 나무의 생물학적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이 되면 광합성 양이 줄어들면서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게 이득이 됩니다. 나뭇잎이 다 떨어지면서 나무의 생체활동은 최소한이 되고 에너지 소모도 적어지게 됩니다. 새로운 잎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자라게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31일 작성 됨
Q.
음속의 최고 속도는 얼마나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는 공기중에서 340m/s 정도 된다고 하고, 물에서는 4배 빠르고, 강철에서는 15배 빨라진다고 합니다.다이아몬드에서는 12000m/s 로 30배 이상 빠르고, 기체중에서는 수소만 있다면 1300m/s 로 빠르다고 합니다.수소로 가득찬 행성에서는 더 빠르게 전달 될 수 있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31일 작성 됨
Q.
지구내부는 어떻게 됐는지 알게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내부의 연구는 대부분 지진파의 분석으로 알아냈다고 합니다. P파와 S파로 나눠지며 매질에 따라 속도가 변하기 때문에 이런 지진파를 분석해서 지구 내부의 구조를 연구하였습니다.
토목공학
2023년 10월 31일 작성 됨
Q.
높은 빌딩 사이에서는 유독 바람이 강한데,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쉽게 생각하면, 일정한 공기가 어떤 지점을 통과해야 하는데, 빌딩이 막고 있기때문에 나갈수 있는 길이 좁아지고, 더 빨리 지나가게 됩니다. 호스로 물을 뿌릴 때 같은 양이면 물이 더 빠르게 나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화학
2023년 10월 31일 작성 됨
Q.
바람은 기압차이 또는 온도 차이? 어떤 원리에 의해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기압의 차이때문에 공기가 이동하면서 바람이 생깁니다. 물이 많은 곳에서 적은곳으로 흐르는 것처럼 고기압 -> 저기압으로 이동합니다.기압차이가 나는 가장 흔한 이유는 지표의 온도가 높아지면 공기가 상승하면서, 기압이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가 하강하면서 기압이 높아지게 됩니다.
화학
2023년 10월 31일 작성 됨
Q.
액체는 얼게되면 부피가 커지잖아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액체는 얼게되면 부피가 작아지는게 일반적입니다. 고체 -> 액체 -> 기체 상태로 분자운동이 활발해져서 부피가 커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물만 예외적으로 얼었을때 부피가 커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화학
2023년 10월 31일 작성 됨
Q.
제설 작업에 쓰이는 염화칼슘의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칼슘은 무게의 14배의 물을 흡수할 정도로 흡습성이 좋으면, 물에 녹을때 열을 방출해서 주변의 눈을 녹인다고 합니다. 염화칼슘이 눈에 녹게 되면 녹는점이 영하 50 도 까지 낮아져서 물이 잘 녹지 않는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31일 작성 됨
Q.
물수제비의 과학적 원리가 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물수제비가 비스듬하게 물과 접촉하면 넓은 표면적에 의해 압력이 분산됩니다. 물은 수소결합으로 인한 표면장력이 있어, 물의 응집력이 물수제비의 분산된 압력보다 크다면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튕기게 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31일 작성 됨
Q.
가을철에 단풍이 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여름에는 광합성을 위해 엽록소가 많기 때문에 초록색으로 보입니다. 햇빛이 약하고 추워지는 가을에는 광합성의 효율이 좋지 않기때문에 오히려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이 떨어집니다. 엽록소가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색깔을 보이는 색소들이 증가하면서 여러가지 색깔로 보이게 됩니다.
211
212
213
214
2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