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30일 작성 됨
Q.
태양의 수명이 다하면 태양계 전체의 운명은?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너무 먼 미래라서 걱정하실 필요는 없지만, 태양이 수명이 다하면 적색거성으로 크기가 커지면서 태양계 행성 일부를 집어삼키게 되고, 지구도 그에 포함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절단 환자들에게 가끔 나타나는 환상통은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결국 통증은 뇌에서 느끼는 것입니다. 절단된 부위에서 지속적으로 감각정보를 받고 있었으나 감작스럽게 더 이상 절단부위에서 감각신호가 오지 않게 되면서, 뇌에서는 그 상황에 적응하면서 이상신호를 받게 되는 것 같습니다.환상통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에서의 정보전달체계 이상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30일 작성 됨
Q.
가을되면 단풍이 물드는 과학적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에는 엽록소가 많아서 대부분의 식물이 초록색으로 보입니다. 날씨가 추워지고 광합성을 적게하면서 엽록소가 파괴되고 다른 색소들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면서 단풍이 들게 됩니다. 안토시아닌 이라는 색소가 빨간색으로 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네요.
생물·생명
2023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인간의 눈은 몇가지 색깔까지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의 눈이 몇가지 색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무지개를 7가지라고 하는것도 어디까지나 임의의 분류니까요,, 무지개가 100가지 색깔이라고 나눌수도 있습니다.결론적으로 인간이 볼 수 있는 빛의 영역을 가시광선이라고 하는데, 380~780 나노미터 범위의 파장 빛이 여기에 속합니다.적외선, 자외선등은 인간이 볼 수 없는 영역이 되겠죠
생물·생명
2023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인간의 수명은 심장이 튼튼하면 늘어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심장이 가장 중요한 장기중에 하나이긴 하지만 수명을 결정하는데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많습니다.말씀하신 것처럼 심혈관, 뇌혈관 질환이 사망원인과 밀접한 연관있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그 외에도, 폐렴이나 암, 만성콩팥병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사망할 수 있기 때문에 심장문제는 가장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이다. 이정도로 보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10월 30일 작성 됨
Q.
눈과 우박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빗방울이 차가운 기온에 의해 얼어 내려오다가 지상의 기온이 낮으면 다 녹지 않고 눈이 되어 내려옵니다.예외적으로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면 상승 및 하강을 하면서 얼음덩어리가 점점 커지면서 우박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우박은 특수한 상황에서 예외적으로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30일 작성 됨
Q.
화이트홀이란 어떤 것인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이 모든것을 빨아드리기 때문에, 그 빨아드린 물질이 어딘가로 나오는게 아닐까? 라는 개념으로 화이트홀을 생각하였지만,, 결론적으로는 화이틀홀이 존재한다는 증거는 없다고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화학
2023년 10월 30일 작성 됨
Q.
대한민국 영토내에서는 석유가 한방울도 안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석유가 전혀 나오지 않는것 같습니다. 한때 7광구에서 석유나온다는 기대감도 있었지만, 결론적으로는 석유 발견을 하지 못했습니다.
화학
2023년 10월 30일 작성 됨
Q.
피부에 묻은 물기가 마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당연히 증발 + 피부흡수가 둘 다 될거 같습니다. 어떤 요인이 큰지는 개인 피부에 따라 다르겠지만, 건조한 상태라면 피부에 흡수되는 양이 꽤 많을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10월 30일 작성 됨
Q.
곤충 중에 성충이 된 곤충은 얼마나 사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당연히 곤충마다 차이가 워낙 커서 알기 어렵지만, 매미 같은경우는 성충되고 15일 정도 밖에 살지못하지만, 사슴벌레는 성충된 후에도 1년정도 살기도 하고 워낙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216
217
218
219
2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