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3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양성자와 양자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양성자는 훨씬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원자를 이루는 입자의 하나로, 양성자의 개수에 따라 원자번호가 결정되게 되죠. 양자라는 것은 좀 더 다양하게 쓰이는데,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에너지의 최소단위를 양자라고 합니다.즉, 양자와 양성자는 전혀 다른 개념이고 비슷하지도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28일 작성 됨
Q.
태양의 대기권을 탐사를 한 목적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파커 태양탐사선은 2018년 8월 12일 발사된 나사의 무인 탐사선이라고 합니다. 가장 가까울때는 태양 표면에서 600만 킬로미터 정도까지 접근해서 코로나탐사, 태양풍, 태양 대기권등을 조사한다고 합니다. 파커탐사선은 2025년까지 지속적으로 탐사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전기·전자
2023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일반 X선 감마선에 비해서 어느정도의 파장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파는 전자기기에 따라서 다양한 파장 및 주파수를 가지게 됩니다. 자외선은 0.6 nm에서 400 nm의 가지며 전자레인지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파는 1mm에서 1m까지의 파장을 지닙니다. 즉, 일반적인 자외선이나 X-ray등에 비하면 훨씬 파장이 길고 인체에 대한 영향도 훨씬 적을거라고 판단됩니다.
전기·전자
2023년 10월 28일 작성 됨
Q.
무한동력 장치라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무한동력 장치는 에너지 공급없이 작동한다는 뜻인데 절대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에너지 없이 움직인다는 것은 물리 법칙에 어긋나기 때문에 아예 기본전제부터 틀려서 만들수 없습니다.
화학
2023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오존층이 파괴되면 미래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오존층이 파괴되면 자외선의 일부를 흡수하는 오존의 영향이 없어지면서 자외선의 영향이 훨씬 커지게 됩니다. 현재도 햇빛의 자외서은 여러 피부 노화, 피부암과 연관이 있는데 이런 현상들이 훨씬 심해질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28일 작성 됨
Q.
높이가 높을 수록 떨어지는 속도도 오래걸리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당연히 높은 곳에서 떨어트리는게 더 오래 걸립니다.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10배 차이나는 건 물론 아니지만, 높은곳에서는 이동해야 되는 거리가 길기 때문에 당연히 더 오래걸리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봤을 때 색깔이 푸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이유는 대기가 파란색 빛을 산란시켜서 파란색이 제일 잘 보인다고 합니다.우주에서 지구를 봤을때 파란이유는 바다가 파랗기 때문입니다. 바다가 파란 이유는 태양빛이 물속으로 들어가면서 파란색이 가장 적게 흡수되기 때문에 파랗게 보인다고 합니다.
물리
2023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우리 몸의 뼈는 어느정도의 무게나 압력까지 버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뼈의 인장강도는 50 ~ 120MPa (메가 파스칼) 정도 된다고 합니다. 강철의 10분의 1수준이라고 하네요.당연히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고, 뼈에 따라서 차이도 있습니다. 단단한 뼈의 경우는 화강암보다 단단하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28일 작성 됨
Q.
햇빛을 보면 비타민D가 생성된다고 하는데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피부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햇빛을 받으면 프리비타민 D3 으로 변환되고, 이후에 활성 비타민 D로 변형된다고 합니다.흡수하는 영역은 자외선이 맞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생물학적으로 변을 볼 때 어떤 경우에 설사가 나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상한 음식같이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 장으로 들어오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서 액체가 발생하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수분이 많은 설사양상의 대변을 보게 됩니다.
216
217
218
219
2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