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8일 작성 됨
Q.
주식에서 하루에 100 프로 이상 올라 갔던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국장은 상하한이 30% 제한이 걸려있기 때문에 100%는 안되구요.미장을 비롯한 제한이 없는 국가들의 거래소에서는 심심찮게 보여지고 있습니다.보통은 100% 찍는다고 해도 종가에는 떨어지긴 마련이라 종가까지 100%는 보기 힘들구요.한번 상치고 쭉 100% 이상 찍는 것은 예기치 못한 엄청 큰 호재로 인하여 기업이 큰 기대감을 가지는 경우나 작전주가 보통 그렇게 나옵니다.
자산관리
2025년 2월 18일 작성 됨
Q.
디플레이션은 어떤걸 디플레이션이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디플레이션이란 물가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살아나지 않아 경제발전을 더디게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이게 오는 것은 버블이 크게 터졌을 때 나오는 공포심에 의하여 사람들 인식속에서 만들어지는 최악의 경제 상황을 말합니다.거품이 터지고 나면 물가는 급속하게 내려가게 되며 그로 인해 금리가 0%대로 진입하게 됩니다.이렇게 낮은 금리를 통해 기업들은 다시 재건하면서 소비가 활성화되고 경제가 다시 회복되는 흐름을 보이는데너무 크게 터지면 그 때의 고통때문에 소비가 활성화단계에서 오히려 저축을 늘리는 습관이 자리잡게 됩니다.이렇게 경제성장이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발전하는 다른 국가들 대비 따라잡히거나 오히려 퇴화하게 되는 것이죠.또한 이 디플레이션은 한번 발동되면 뭔가 크게 판을 뒤집지 않는 이상 계속 이어지면서 서서히 가라앉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과거 전쟁과 IT를 통해 외환보유액을 그만큼 쌓지 않았다면 벌써 경제적 몰락으로 사라질 뻔 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최근 코로나 이후 급변동성으로 인하여 금리 인상을 조금씩하면서 판을 뒤집으려는 것이 보여 일본이 금리 정책을 잘 이용한다면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8일 작성 됨
Q.
현대해상 올해 배당 안준다고 하는데 내년엔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매년 주었는데 올해 이익이 적어 안준다고 하는 경우 보통 그 후년엔 기업이 너무 심한 적자가 아닌 이상은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주환원이 2번 연속 진행되면 신뢰가 깨져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기도 한데요.이번엔 조금 힘든 상황이니 내년에 주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8일 작성 됨
Q.
주식 기업에서 자사주 소각을 한다는 것은 어떤 뜻이고 주가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자사주 소각한다는 말은 유통량을 줄여 주식가치를 높이겠다는 뜻이 되며 이로인해 주가가 올라가게되어 호재로 받아들입니다.그러나 꼭 그런것만은 아닌 것이 기대값이 높은 상태에서 소각하면 큰 호재로 올 수있지만기업상황이 안 좋다는 것을 알고 향후 기대도 낮다면 오히려 투매가 확산하여 조금 오르다 다 던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8일 작성 됨
Q.
카카오페이 증권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예수금의 경우 출금하지 않으면 그대로 예수금 형태로 남아있게됩니다. 그것보다는 cma로 옮겨서 이자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혹여 다시 투자를 진행할때 편하게 이체가 가능합니다.
대출
2025년 2월 17일 작성 됨
Q.
카드론 한번에 50% 갚으면 신용점수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카드론 대출의 경우 현재 내 신용점수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갚는 %에 따라 점수가 오를 수 있겠으나 그렇게 많이 오르진 않으며 신용점수의 판단은 크게 소득수준, 순자산규모, 연체 등으로 봅니다.즉 대출이 있어도 내 소득수준이나 순자산이 높다면 신용점수의 영향이 덜가게되며 낮으면 조금만 대출받아도 내려가는 것이죠.질문자님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되겠으나 갚는다는 것에서 소폭 상승은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경제용어
2025년 2월 17일 작성 됨
Q.
경제가 안 좋을수록 고가의 물건을 사는 상류층이 느는 것을 베블런효과라고 하던데,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경제상황이 어려울 때 베블런효과는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는데상류층의 더욱 큰 차별화적 모습을 통한 과시적 성향하류층은 상류층의 집단을 모방하여 그 집단의 소속감을 느끼고 싶어하는 경향이 도드라짐명품이라는 물품 특성상 리셀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돈이 된다는 면에서 구매력이 증가됨보통 위 세가지 이유로 인하여 경제상황이 악화될 때 베블런효과가 증대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그리고 추가적으로 하류층에서도 나름 또 그 그룹집단에서 상,하위를 계속해서 나누기 때문에조금이라도 비싼 명품을 두르고 있어야 그들 집단에서도 상위에 속한다는 느낌을 받기 위해서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자산관리
2025년 2월 16일 작성 됨
Q.
전재산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38살에 1억이면 보통 평균으로 흔히 그래도 성실히 잘 모았다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여러 전문가들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계산하지만현재 만35세 즉 36, 37살정도 되었을 때1억~1억2천만원 정도가 평균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그정돈 되어야 이제 돈의 스노우볼이 점차 커지는 시기에서 앞으로 집이나 결혼 등을 보았을 때 희망과 가눙성이 생기게됩니다40대가 되서도 돈 천만원 없이 마통에 빚진사람들이 태반입니다.정말 잘 모으셨고 앞으로 이 목돈을 잘 불리는 공부만 하시면 부자되실 것입니다.
자산관리
2025년 2월 16일 작성 됨
Q.
금값이 많이 오른지금 금을 팔고 미국주식을 사는게 더 효과적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로서 금값이 많이 오른 것은 맞으나 수요가 주는 것이 아닌 계속해서 늘고 있는 상황이고 미국경제상황 불안감이 점차 커짐에 따라 금의 가격은 최소 상반기까지는 계속적 오를 것으로 보여지며추후 미국경제 큰 하락과 동시에 금리인하쪽으로 기운다면 그 때 금을 팔고 동시에 당기 채권 또는 주식을 사는 전략을 취하시는 게 좋을 듯 보입니다.
예금·적금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은행의 예금 적금 금리는 같은은행이라도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차이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은행의 경우 각 지점마다 지역별 소득수준과 수요를 파악하여 그 특색에 맞게 대출상품을 만들어야 잘 팔리기 때문입니다.은행도 사기업이며 그저 일반 기업처럼 수익을 목표로 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각기 다르게 전략을 구사하여 상품을 만들고 파는 것입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