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은 어떤걸 디플레이션이라고 하나요?
요즘 주식이나 시장경제를 보면 인플레이션 얘기를 많이 듣습니다.
근데~ 일본은 디플레이션의 공포에서 벗어났다는 얘기를 봤습니다.
디플레이션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이란 시중에 유통되어 있는 통화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경기가 침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품,서비스등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것을 말합니다.
어떤 집을 사려고 하는데 지속적으로 하락중이라면 더 떨어질것을 기대하게 되는데
현재 서울 경기권 부동산이 그러한 부분들이 있지요
이렇게 되면 거래가 되지않아 서로에게도 좋지않고
매매등으로 인한 세금을 걷히지않게 됩니다
인플레보다 안좋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디플레이션은 상대적으로 화폐 가치가 올라감에 따라(또는 높게 유지됨에 따라) 물가가 떨어지는 현상으로, 이렇게 되면 가계는 소비를, 기업은 투자, 고용을 줄이게 되기 때문에 정부 입장에서 제일 싫어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은 물가의 하락을 의미 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물가는 2~3% 정도 상승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물가가 오히려 꾸준히 하락하게 된다면 장기침체의 늪에 빠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은 저성장에 빠진 경제에서 특히 자주 보이는 현상이기 때문에 일본도 빠져나오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고 인플레 보다 오히려 어렵다고 보는 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디스플레이션은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는 현상인데요. 경기가 전반적으로 위축되면서 발생하는 디플레이션의 경우 생산, 소비 및 투자 감소의 악순환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점점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을 말합니다.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과는 반대되는 말로, 디플레이션이 지속되면 경기가 침체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deflation)'은 재화와 서비스 가격이 하락하는 '물가 하락'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장하는 경제는 경제 규모와 국가마다 다르나 일정 부분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물가하락을 의미하는 디플레이션이 좋은 것이 아닌가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디플레이션 발생하는 경제는 대부분 불경기 하에 있고 주식이나 부동산 등 자산 가격 하락을 겪게 됩니다. 일본이 2000년대 초반부터 겪었던 잃어버린 20년은 대표적인 자산 가격 하락을 동반한 디플레이션 경제였습니다. 익히 아시겠지만 당시 일본 정부는 현금성 소비 쿠폰을 전국민에 살포 해도 국민들이 장롱에 저축할 정도로 경제가 경색된 바가 있습니다.
물론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닥치는 스테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경제 운영 당국 입장에서는 재앙에 가깝지만 본격적인 디플레이션도 못지 않게 경제에 큰 내상을 입히게 됩니다.
한국 경제를 예로 들자면 연2% 내외의 물가 상승을 감내하며 성장하는 모델이 가장 이상적이라 판단됩니다.
인플레이션은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물가가 올라가는 현상입니다. 다만 인플레이션율이 너무 높으면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경제적인 고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은 이와 반대로 물가가 내려가는 현상으로 경기가 침체할 시 나타나는 예외적인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이란 물가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살아나지 않아 경제발전을 더디게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게 오는 것은 버블이 크게 터졌을 때 나오는 공포심에 의하여 사람들 인식속에서 만들어지는 최악의 경제 상황을 말합니다.
거품이 터지고 나면 물가는 급속하게 내려가게 되며 그로 인해 금리가 0%대로 진입하게 됩니다.
이렇게 낮은 금리를 통해 기업들은 다시 재건하면서 소비가 활성화되고 경제가 다시 회복되는 흐름을 보이는데
너무 크게 터지면 그 때의 고통때문에 소비가 활성화단계에서 오히려 저축을 늘리는 습관이 자리잡게 됩니다.
이렇게 경제성장이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발전하는 다른 국가들 대비 따라잡히거나 오히려 퇴화하게 되는 것이죠.
또한 이 디플레이션은 한번 발동되면 뭔가 크게 판을 뒤집지 않는 이상 계속 이어지면서 서서히 가라앉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과거 전쟁과 IT를 통해 외환보유액을 그만큼 쌓지 않았다면 벌써 경제적 몰락으로 사라질 뻔 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 이후 급변동성으로 인하여 금리 인상을 조금씩하면서 판을 뒤집으려는 것이 보여 일본이 금리 정책을 잘 이용한다면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지 않고 그리고 상대적으로 화폐가치가 오르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일본은 장기적 저성장과 이로 인하여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 소득이 오르지 않는 현상과 물가가 오르지 않는 현상을 발생하였습니다.
즉 이런 구조적 저성장과 소득이나 물가가 오르지 않는 전반적인 침체적인 이런 장기적 불황을 디플레이션상태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으로, 경제 전반에 걸쳐 수요 감소, 공급 과잉, 통화 가치 상승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본은 1990년대 버블 붕괴 이후 장기간 디플레이션을 경험했으며, 최근 들어 이러한 상황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은 소비자에게는 물가 하락으로 이득이 될 수 있지만, 기업의 수익 감소, 투자 위축, 실업률 증가 등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