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경제 뉴스 기사를 보니 풍선 효과라는 것이 보이던데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풍선을 눌렀을 때 다른 한쪽이 튀어 나오는 것을 보고 풍선효과라 붙였는데요.문제 해결을 하였는데 뜻하지 않게 다른 쪽에서 문제가 불거지는 현상을 말합니다.대부분은 근본적이고 미래예측을 하지 않고 수박 겉핧기식으로 앞에 당면한 문제만 해결하려고하다보니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주식이 오르고 이있을때 사야 할까요? 아니면 내릴때 사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에 정답은 없고 또한 단순히 오르고, 내리고 있을 때 사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기본적으로 괜찮은 회사인지를 먼저 파악한 후여러가지로 발전가능성있고 괜찮은 회사인데 적정가격보다 훨씬 떨어져 있다면 매수 하는 것이 확률적으로 좋다고 할 것입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미국 기준금리 인하 언제쯤 시작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여러 견해가 있습니다만 개인적인 견해를 말씀드리면 내년 하반기는 되어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일단 예측상으로 미국의 초과저축 규모가 4,000억 달러 정도 아직 50% 정도 남아있다고 보고 있는데월 평균 약 800~900억달러정도 사용하는 것을 보아서 4~6개월 정도는 버틸 수도 있다는 점이 있고서서히 물가가 낮아지고 있지만 사실 코어CPI를 보게 되면 여전히 높은 물가로 9%->3%대는 충분히 빨리 내려올 수 있지만 목표인 3%->2%대 진입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더군다나 빚을 내서라도 소비를 하는 소비의 나라이고 지금 연준의 판단에서 금리 인하 기대감을 한층 끌어올려소비를 부추길 가능성이 높아 1~2월에는 유지 혹은 반등할 가능성도 있습니다.그러기에 5.5%에서 더 올리진 못하더라도 시장 기대보다 장기간 5.5%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인플레이션은 많이 들어봤고 실제 일어나는 것도 봤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디플레이션의 가장 큰 건 일본입니다.잃어버린 30년이라고 하죠.굉장히 크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급격한 금리인상과 또 경기침체로 인한 급격한 금리인하시에물가가 낮은데 소비도 낮은 디플레이션이 오게됩니다.일반적인 인플레이션 문제와 차원이 다르게 굉장히 장기간이게 되고 서서히 국가가 망하는 길로 가는 지름길입니다.일본의 경우 미국과 견줄정도였지만 30년사이 디플레이션으로 인하여 경제 발전이 없어 전쟁 때 엄청나게 쌓아둔 외환보유액으로 버티고 있었던 것이지 일반 국가라면 진작에 더 크게 망할 수도 있었습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카드의 한도는 어떤 조건으로 올라가게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은행마다 차이가 있고 자세한 건 은행약관을 보셔야하겠지만크게는 2가지 입니다.1. 소득 수준 증가2. 평균 지출 감소보다 중요한 것은 지출 감소로 예를 들면평균 300만원 정도 버시는 분이 평소에 200씩 소비를 하다가 150~100정도로 소비를 약 3개월 정도 유지를 한다?소비 대비 소득 수준은 증가하게 되어 신용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은행에서 한도를 높여도 이정도 신용 있는 분이라면 한도를 높여도 상환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겠구나 판단하기 때문에 한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여기서 한가지 꿀팁은 신용도를 단기간에 빨리 올리는 방법최대한의 한도로 늘리고 지출을 줄이고 소득을 늘리는 것을 2~3개월 유지하면 어느 순간 빠르게 올라가 있으실겁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부동산 경기에는 어떤 영향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단순하고 가장 큰 것은 "금리" 입니다.이유는 부동산을 사는 데 자기 돈으로 사는 비중은 거의 없이 대출로 구입하기 때문입니다.금리가 낮으면 대출의 이자가 낮아 부동산 투자를 하여 임대료, 월세로 괜찮아 수요가 높기 때문에 부동산 거품이 잔뜩끼게됩니다.그러나 대출이자가 높아지면 점차 월세 낼 임차인도 힘들어지고 이자를 낼 임대인도 힘들어져 매도하는 물량이 많아지니가격이 내려가게 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경기 선행 지표라는 것은 무엇이고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기 선행 지표는 지표가 나올 때 앞으로 어떻게 될 것 같다는 방향을 보는 지표입니다.자세한 설명보다 목록을 공유드릴테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기본적으로 인베스팅닷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CPI - 소비자물가지수PPI - 생산자물가지수PCE - 개인소비지출기준금리, 기타 실업률 , 유가, 국채금리 10년 물, 달러 , 경상수지 등 있습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슈링코노믹스의 뜻과 내용을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슈링크 - "축소"이코노믹스 - "경제"혼합어로 저출산, 저성장으로 인한 축소경제를 말합니다.슈링코노믹스가 진행되면 나라 경제 성장률은 급감하게 되고 멀지 않아 붕괴될 가능성이 높습니다.해결할 방법은 기존에 갇혀있는 틀을 깨고 문화, 가치의 다양화를 인정하고 바꾸려고 노력해야만 바뀔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 시장에서 공개 매수라는 건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쉽게 설명드리면 공개적으로 일정기간에 일정가격에 사겠다는 표현이며 장외에서 거래됩니다. 하는 이유는 기업의 지배권을 강화하기 위해서입니다.주로 지금과 같이 경기가 안 좋을 때 많이 나타나는게 최대한 싸게 사서 지배권 확보 후 인수절차를 통해 기업을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3%대와 우리나라 소비자 물가지수 3%대는 서로 다른 경제상황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단순히 숫자로 보는 것이 아닌 다르게 보는 시각의 차이입니다.미국의 3.5%라는 의미는 그동안 엄청난 물가상승률이 꺾였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것이 곧 금리 인상을 멈추될 확률이 높아지고 인하로 바뀌게 될 전환점이라는 것에서 낙관적으로 보는 것입니다.미국의 금리인하가 곧 세계의 금리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인데요. 금리가 낮아지면 자국의 금리도 낮춰 경제를 회복할 수 있는 여력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그러나 한국의 경우는 미국과 달리 소비자물가지수가 3.3%라는 의미는 현재 경제상황이 매우 안 좋고 금리도 높은데 높은 물가지수가 계속 유지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면 금리를 내릴 수도 없는 상황에서 경제는 더 크게 악화될 가능성이 높기에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662672682692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