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가상화폐를 소각하면 해당 가상화폐의 시세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가상화폐를 소각하면 주식과 마찬가지로 유통량이 줄어드니 가치가 상승하여 가격은 올라가게 됩니다.물론 가치가 있는 코인이라면 그렇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처음엔 오르는 가 싶어도 세력들은 다 던질 겁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최근 달러강세의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달러가 오르는 것은 금리가 올랐기 때문입니다.금리가 오르면 화폐가치가 상승하고 많은 돈이 달러로 모이니까요.거기에 더 오를 것이라는 불안심리 덕분에 주식,부동산 같은 시장에 돈이 다시금 현금으로 들어오는 것입니다.그러면 자연스레 강달러가 형성되죠.이러다가 물가가 또 떨어지는게 보이고 금리인상 불안감 해소와 타국가들의 금리가 인상되어 쫓아오면다시 낮아지게 되어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여러 분야에서 사람 대신에 로봇이 일을 하면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로봇이 늘어 실업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인구가 매년 늘어야한다는 것인데한국만봐도 인구가 앞으로 20~30년 내 최대 500만명까지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치가 나왔습니다.점차 출산율이 주는데 죽어가는 사람은 많은 것이죠.거기에 분명 새로운 세상에서 새로운 직업들이 계속 생겨날 것입니다.예전에 유튜버, BJ 가 있었습니까? 새로운 인터넷세상으로 생겨났습니다.앞으로 웹3기술로 메타버스 기술이 발전하고 3D공간안에서 새로운 문화와 세상이 펼쳐지면또 다른 직업들이 생겨날 것입니다.때문에 점차 일반 회사에 젊은 사람이 줄어들고 평균 나이대가 올라갈 것이고새로운 직업으로 실업률은 줄지 않을 것입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으로 부터 자금을 빌리는 경우를 알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시중은행이 그렇게 돈을 굴릴만큼의 엄청 크지 않습니다.대기업도 못하는 것을 시중은행이 어떻게 하겠습니까.대부분의 돈은 중앙은행으로부터 빌려오고 이자에 이윤을 붙여 상품을 만들고 그 이윤으로 영업이익을 내는 방식입니다.본연의 자금은 중앙은행 것이라는 얘기입니다.
경제정책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물가지표 CPI와 PCE는 무슨 차이가 있죠?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cpi 는 전체 물가지표라고 하구요.pce 근원소비자물가라고해서 변동성이 큰 에너지, 기름, 식료품을 제외한 품목을 말합니다.변동성이 작은 것들이 실제로 물가가 낮아져야 찐물가가 낮아졌다고들 하죠.연준도 전체cpi 보다 pce보고 물가 하향세인지 파악 후 금리인상여부를 두고 있는 것 같습니다.현재 pce는 5%대이고 낮아지질 않고 있어서 시장에서 불안심리가 많은 듯 합니다.
경제동향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면 경제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상대적으로 물가는 올라가게되고 물가를 감당하지 못하게 되어 돈으로 불 때우는 시기가 옵니다.이후 각종 도둑질, 강도, 사기 등 범죄는 물론 시위와 함께 내부 전쟁이 벌어지게 될 것입니다.한 나라가 없어지는 건 시간 문제죠.
예금·적금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은행마다 금리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은행도 사기업입니다. 서로 경쟁임과 동시에 일반 기업 목표에 따라 결정되죠.목표치가 있고, 고객 수 , 소득 수준 등 모든 지표를 활용하여 그 지점 , 지역에 맞게 금리를 설정합니다.보통 1금융권은 안정성과 고객 수가 많다보니 금리적용이 2금융보다 낮습니다.그래도 들어오니까요. 반면 2금융권은 고객유치를 위해 보다 많이 금리를 주는 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주식회사의 대주주는 어떤기준에 의해서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대주주라고하면 작년 기준한 종목에 10억 이상, 혹은 지분율 1% 이상 금액을 가지고 있는 자를 말합니다.10년전에는 100억이였는데 세금 때리기 위해서 계속해서 30억 ,25억 이런식으로 낮췄다고 합니다.사실상 10억있다고 대주주라고 하기엔 기업의 의결권가지고 뭐라 하긴 좀 그렇고한 10% 이상 지분율이 된다하면 기업을 움직일만한 힘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물가는 대략 언제쯤 내릴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올해 하반기는 되어야 3%중후반대가 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잘 내려오다가 6%대에 정체가 왔고 이건 예상보다 높은 수치이기에 금리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지구요.물가하락은 보다 늦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아직 사람들이 심각성을 인지 못하고 있는데 빠르면 3~5월에 물가 하향세가 없으면 피부로 와닿게 경기가 급격하게 안 좋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은 한해에 몇번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한해 보통 8번 결정합니다.1,2월4,5월7,8월10,11월총재가 나와 발표하죠.뚜렷하게 물가가 오르지도 않았고 미국도 0.25%만 올린 것과3월은 없기에 2월에 0.25%아닌 동결로 가고 3월 cpi를 보고 4월에 올릴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도 많습니다.
336
337
338
339
3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