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현재 물가가 계속 오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건의 가격은 어쨌든 계속 올라갑니다. 그런데 그것이 경제성장률대비 얼마나 오르냐에 물가가 높냐 낮냐 정해지는 것이죠.한번오른 것은 거의 내려가지 않습니다. 그 물건 값에 맞춰 경제가 성장하는 거죠.지금은 펜데믹으로 인하여 경기부양정책을 사용했고 그로인한 버블로 화폐가치가 많이 낮아졌기 때문에 물가가 치솟은 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보통주는 회사의 정책에대해 의결권이 있음우선주는 배당을 우선적으로 받음간단하죠?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언제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보통 1년에 한번 주는 것으로 가시려면 12월 28일 이전으로만 가지고 있으시면 됩니다.분기별로 주는 것은 분기말에 가지고 있어야합니다.3,6,9,12 4번을 줍니다. 삼성이 그렇죠. 분기별로 준다고 많은 것은 아니구요. 1년은 4번으로 쪼갠다고 보시면됩니다.분기별로 주는 데는 많이 없고 거의 대부분 1년에 한번씩 주고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한미 통화 스와프의 장단점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스와프라는 것 자체가 현재 환율로 다른 나라의 돈을 빌려오는 것을 말합니다.장점 - 외환 유동성이 낮은 위기 상황일 때 스와프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단점 - 환율은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환율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상대방의 환율이 낮아지면 오히려 한국에겐 손실인 것이죠.미국과의 스와프는 단점보다는 장점이 있기에 연장하는게 유리합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농협중앙회와 농협은행은 다른 곳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농협중앙회과 농협은행은 동일합니다. 중앙회는 없어졌고 NH농협은행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ㄴ예전에 중앙회였으니 계속 그렇게 쓰시는 분들이 많아서 헷갈리시는 겁니다.ㄴ1금융권임-농축협, 지역농협, 농협협동조합은 2금융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위 농협은행과 다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인수히고 합병하고의 차이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인수 - A기업이 B기업의 전체를 사들이는 것합병 - A기업이 B기업의 전체 혹은 인수하여 새로운 C회사를 만드는 것합병에서 흡수 합병이 되어 B기업이 없어진다면 B기업의 주식은 없어집니다.대부분 혼용해서 쓰긴합니다. 일단 타기업을 사들이는 건 마찬가지이고 일단 인수를 해야하는 건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대출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미국 금리가 올라도 한국 금리는 내려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미국이 올리면 국내 금리도 오를 수 밖엔 없습니다. 이유는 한국은 무역으로 먹고 사는 나라인데 미국의 물가가 상승시에 결국 연쇄적 작용으로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치솟을 수 밖에 없습니다.물가가 오르면 당연히 금리는 올라야 하기에 한국은 미국의 금리를 어느 정도 따라 갈 수 밖에 없습니다.다만 그 간격을 잘 조절한다면 미국이 금리를 올려도 한국의 물가 수준이 낮아진다면 금리인하의 속도는 더 빠를 수도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미국 전에는 어떤 나라가 세계 경제를 이끌어 갔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메리카대륙을 발견 하기 전까지는 한동안은 유럽이 지배했었습니다.유럽 중에서도 영구,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가 가장 힘이 강력했었구요.지금도 강하지만 당시에 함대며 총이며 엄청난 발전이 있었던 건 유럽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국내 증시 왜 오르고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주식시장은 선행과 심리로 움직입니다.그러니 아무도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것이죠.지금 현재 지표가 나쁘다고 해서 앞으로는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있으면 오를 수도 있는 것입니다.모든 건 악재에 사라는 말이 있지 않습니까?그리고 지금 증시가 올랐다고 말할 수 없는게 사실상 구간으로 보면 계속 그 자리입니다.올랐다 내렸다를 반복하며 보합구간을 나타내죠.2600이상을 찍어야 하는데 2300~2500선에서 노는 걸 3개월치만 봐도 보실 수 있습니다.아직 시장이 애매하는 뜻이라 확실하게 물가가 잡히는 모습이 보이기 전까지 계속 이럴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출
2023년 2월 20일 작성 됨
Q.
개인의 자산이랑 부채를 볼수있는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완전 정확하게 따질 순 없는게 감가라는 것도 있으니까요.크게 자산은 건물, 땅, 차 정도만 계산하시면되고그 중에서 지금 현재 은행에 갚을 돈을 부채라고 보시고 적어주시면 됩니다.건물 10억인데 대출이 5억이면 자산은 10억 , 부채 5억
336
337
338
339
3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