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배당 성향은 높을수록 좋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높으면 소액 주주들에겐 더할나위 없이 좋지만 뭐든 과유불급으로 영업이익에서 너무 벗어나게 주게되면오히려 회사에 대한 의심을 해보셔야합니다.너무 퍼주기 식이라면 개미 끌어모으고 자기주식처분 해버릴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물가는 오르고 경기침체는 심해지는 상황에서 공공요금 인상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가는 정점을 찍고 내려오고 있으나 이미 올린 금리로 부채가 급증하여 이번 년은 고통의 인내의 해로 생각됩니다.버블이터지면 한번은 맞닥뜨려야할 상황이고 생산자인 기업에게 왔으니 이제는 직접적으로 시민들에게 와닿을 정도가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정책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실내 마스크 착용이 오늘부터 부분 해제가 되는데 마스크 착용 해제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이번 마스크해제는 사실상 계속 쓰라는 얘기라서 크게 변화는 없을 것 같고어디서든 벗는 정도라면 일상회복으로 경제적 활동이 커져소비도 활겅화되니 경제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예금·적금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기존 금리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를 높여야 화폐가치가 높아지니 물가가 안정될 수 있습니다.아직은 5%대고 이제 4%대로 진입이되면 더이상 유지나 0.25%정도만 올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월 28일 작성 됨
Q.
대주주는 주식의 몇%를 들고 있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대주주요건22년8월 기준 바뀌어서종목당 100억 이상(가족지분 제외) 가지고 있으면 대주주라고 판단합니다.
경제용어
2023년 1월 28일 작성 됨
Q.
푸드테크 스마트팜이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스마트팜이란 여러 과학적시스템 이용과 DNA조작을 통해 실질적인 태양 없이 인공 조명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농작을 할 수 있게만드는 것을 말합니다.현재 건설업계에서 아파트에 대한 차별화를 위함과 넓은 평수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고급아파트는 스마트팜을 옵션으로 넣고 개발할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집에서 다양한 식물을 직접 키우고 먹을 수 있죠.점차 발전하면 건강은 물론 자급자족이 가능해지고 비용도 많이 감수할 수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많은 산업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월 28일 작성 됨
Q.
미국 20년물 채권에 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모든게 이론적인 것만으로 예측가능하면 다 부자되겠죠.어느정도 상승할 가능성이 있겠지만금리가 내려갔을 때 과연 돈의 흐름이 채권 시장에 있느냐 없느냐입니다.내가 엄청난 부자라고 가정한다면 금리가 내려간다면 채권 시장에 돈을 투자하시겠습니까?주식, 부동산에 투자를 하시겠습니까?더 돈을 많이 버는 쪽으로 투자를 하시겠죠?그 어느 것도 장담할 수 없는게 시장이며 앞으로 금리가 내려서 돈이 풀렸을 때 돈이 어디로 흘러 많이 들어가는지를 보시는 안목을 키우시는 것이 좋습니다.주식, 부동산 말고도 점차 가상화폐도 늘고 또 우리가 모르는 다른 시장이 형성되어 돈의 흐름이 바뀔 수 있습니다.
대출
2023년 1월 28일 작성 됨
Q.
미국이 디폴트 위기라는데 그 이유가 멀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미국은 현재 높은 금리에서 부채가 엄청나게 늘고 있는데 부채감당을 위해 부채한도를 늘리고 돈을 반대로 엄청 찍어내면서 부채탕감을 하였습니다.그래도 세계 시장의 중심인 미국은 강달러 기조를 만들기만 하면 별 탈 없었는데이제는 세상이 조금씩 바뀌기 시작하였습니다.점차 중국,중동지역이 조금씩 치고 올라오고 있고 달러가 화폐 세계의 중심이였는데 가상화폐가 나오고 실제 공식화폐로 사용하는 나라들이 많아지는 등 점차 다각적 변화가 시작하면서 미국의 영향력의 비중이 점차 줄고 있는 것이죠.이렇게 굳건하게 있던 것이 금이 가기 시작했고 굳건해야만 지킬 수 있었던 위의 돈 찍어내기 수법이 앞으로는 안 통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디폴트 우려의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월 28일 작성 됨
Q.
한국주식과 미국주식 배당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미국이든 한국이든 무조건 1년에 한번 주는 것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보통 많은 건 1년에 한번이고 분기별로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삼성도 분기별로 주고 있죠.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출
2023년 1월 28일 작성 됨
Q.
금리가 오르는데 대출금리는 내리는 것이 말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1.금융감독원의 제제입니다.은행의 이윤만 보고 너무 많이 오르게 되면 기업, 가계 부채 부담율은 굉장히 커지기 때문에 경제침체로 더 빠른 속도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제제를 하죠. 2.은행 상환율을 높여서 이익 극대화아무리 이자가 높다고 한들 갚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은행은 오히려 적자를 면치 못하고 파산할 수도 있습니다.지금 현재 경제상황, 빌려간 사람들의 경제수준 등을 고려하여어느 시점까지 금리를 맞춰야 상환율이 높은지를 따져서 조금씩 조정할 수 있습니다.
361
362
363
364
3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