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십니까. 김효진 과학 분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십니까. 김효진 과학 분야 전문가입니다.

김효진 전문가
KICST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배수 시설 설계 할때 주의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공사 중의 배수시설은 차치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배수시설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구조물별로 필요한 배수시설, 독립적인 배수시설 등이 있습니다. 범위가 넓어서 지하수도 제외하겠습니다. 홍수에 대비한 것을 생각하자면 공통적으로 기준으로 삼을 강우강도의 선정이 중요합니다. 강우강도를 잘못 선정하면 서울시처럼 장마철마다 물난리를 겪게 되므로 나머지 설계나 시설물 등의 존재 이유조차 없기 때문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토목 설계를 할때 건물의 재료 까지 신경 쓰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건설하는 재료에는 국가에서 정한 한국산업표준이 있습니다. 보통 KS 규격이라는 표현을 합니다. 기준에 없는 재료는 외국의 기준을 참조하여 발주자나 설계자가 설계도서에 명시합니다.가령 참고하는 미국의 자료는 ASTM, 미군 공병단, ACI 등이 있습니다. 재료의 예를 들면 건설공사에 필요한 자재들이 다른 산업보다 느슨할 것 같지만 의외로 다른 산업보다 더 정밀 시공을 합니다. 시멘트에 들어가는 물조차도 사람이 마실 수 있는 물이나 증류수, 1급수 등으로 매우 엄격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다리의 종류 중에서 현수교와 사장교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현수교와 사장교는 얼핏 보면 비슷한 외관이지만 케이블의 형태를 보면 구별할 수 있습니다. 현수교는 용어 그대로 매단 수직재 교량입니다. 주탑에서 늘어뜨린 케이블에 현수재라는 수직재를 이용하여 바닥판을 매단 형태입니다. 사장교는 용어 그대로 주탑에서 케이블을 경사 방향으로 확장하여 바닥판을 연결한 교량입니다. 연장, 즉 교량의 길이가 긴 장대 교량은 현수교가 경제적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전세계에는 엄청나게 높은 고층빌딩들이 존재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고층빌딩이 지진이나 바람 등의 자연재해에 대비해 설계를 하고 관련 시험 및 실험 등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토를 합니다. 취약한 부분은 다시 보완하여 시공합니다. 공사를 진행할 때에도 지속적으로 현장에서 실험과 시험을 합니다. 설계시 예상하지 못한 부분들은 보완 설계를 하면서 시공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아파트나 건물을 건축할때 엄청나게 많은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아파트를 설계할 때, 콘크리트와 철근의 양을 정밀하게 계산합니다. 철근콘크리트의 결합물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콘크리트와 철근의 구성 비율까지 정밀하게 계산하여 설계 및 시공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보강토 옹벽은 어떨때 사용하는지 궁금합닞다.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보강토 옹벽은 용어처럼 보강재를 넣은 양질의 토사로 뒷채움한 옹벽입니다.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경제적이고 시공도 단순작업의 반복이므로 빠르며, 비교적 외관이 미려합니다. 모든 시설물은 물과의 싸움인데, 보강토 옹벽은 물에 취약하여 배수계획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가격이 싼만큼 요즘은 보강토 옹벽이 대세인데, 올해도 뉴스를 보면 붕괴사고는 모두 보강토 옹벽입니다. 제대로 설계 및 시공하면 콘크리트 옹벽보다 수 배 비싸고 유지관리 비용도 추가로 소요되며,안정성도 좋다고 볼 수 없습니다. 제가 책임자라면 보강토 옹벽으로는 절대 계획하지 않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사면파괴중 국부 전단파괴는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기초지반의 파괴는 전반전단파괴와 국부전단파괴가 있습니다. 얕은기초에서 발생되는 기초지반의 파괴형태입니다. 국부전단파괴는 용어 그대로 국부적으로 발생되는 전단파괴입니다. 즉 기초지반의 지지력이 부족하여 기초의 침하로 인해 지반이 부분적으로 파괴되는 것을 말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콘크리트 건물에 덩쿨이 자라는것은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콘크리트는 불투수성 재료이므로 덩쿨은 구조물에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다만 냉난방기의 실외기에 간섭이 되면 안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하천에 가면 보같은곳 밑에 큰 돌덩어리를 갖다 놓던데 왜그런거죠?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인공적인 보의 설치로 인한 유속의 조절 기능도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토목 공학 전공할시에 따는 자격증은 어떤거에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토목 기사,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기사, 건설재료시험기사, 건설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 철도토목 기사, 토목구조기술사, 토질 및 기초 기술사 등이 있습니다. 환경, 도시, 건축, 안전의 자격증은 모두 해당됩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